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Rural Community Planning through the Stepwise Empowerment System in Jinan-gun

단계별 주민역량강화를 통한 농촌마을만들기의 효과 연구 - 전라북도 진안군을 대상으로 -

  • Lee, Weon-Ju (Graduate School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
  • Lee, Yoo-Jick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Pusan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3.08.12
  • Accepted : 2013.12.19
  • Published : 2013.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rural community planning focusing on the stepwise empowerment system in Jinan-gun, Jeollabuk-do province. This paper also tries to examine how this system affect the awareness for community planning and empowerment of the residents. The satisfaction of the people who join this program were also investigated.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A consisted of the people who join the system from the first stage, and group B consisted of the people who joined the fourth stage directly. The differences of the recognition, capability changes and satisfaction between two group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first, group A recognized the community planning system in Jinan-gun more positively than group B. They thought that it's very useful and beneficial for their community and this system should be continued further. The second, group A considered that they achieved bigger advancement in community design capabilities in terms of personal, relational and social aspects than group B. In addition, group A also showed higher satisfaction for rural community planning than group B. Based on the results, alternatives for rural community planning were drawn as follows. The first, considering that group A showed more positive responses, starting from the first stage is more stable way to succeed in rural community planning. Which means the critical condition of community design is not the community business but the improving the public awareness and community mind. The second, it's considered that the number of participation is proportional to the advancement of capability in community project, so improving residents' opportunity to participation in community design might be effective. The third, community leader is another critical condition. It is needed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education for the rural community leader with good experience and capability of community affairs.

Keywords

References

  1. 곽동원, 2008, 주민주도형 마을만들기와 행정의 역할에 관한 연구: 전북 진안군 마을만들기 사례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농업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구자인, 유정규, 곽동원, 최태영, 2011, 마을만들기 진안군 10년의 경험과 시스템. 안양: 국토연구원.
  3. 김정흠, 2009, 농촌형 거버넌스 구축과 지방의회의 역할에 관한 연구: 진안군 마을만들기 사업을 중심. 전북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진경, 이재준, 황기원, 2011, 공공시설계획에서 주민역량강화를 위한 도시대학 교육프로그램의 활용 가능성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2(4): 105-125.
  5. 문지환, 2012, 주민참여형 농촌마을만들기에 관한 연구: 해남군 마을만들기 중심으로. 광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방한영, 2003, 농촌활성화를 위한 지역유산 활용 및 마을만들기에 대한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배기택, 2012,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농촌마을만들기.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송승현, 2008, 지속적인 마을만들기의 운영.관리에 관한 연구-농촌 마을규약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안종현, 2008, 농촌 마을만들기와 주민참여: 광양시 신촌마을과 장흥군 진목마을 사례.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이영아, 2009, 지역역량 강화에 영향을 미치는 주민참여 요소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5(2): 261-272.
  11. 이윤화, 2000, 역량강화적 접근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 지역사회복지관 자립지원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진안군, 2011, 진안군마을만들기의 경험과 과제 PPT.
  13. 최용감, 2010, 도.농통합형 마을만들기에 관한 연구. 동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허소영, 2013, 전통시장 상인역량강화를 통한 시장 활성화 효과 분석: 수원 못골시장 사회적기업 활용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Cited by

  1. 농촌 마을 역량의 축적 - 역량단계별 지원 체계를 중심으로 - vol.23, pp.4, 2016, https://doi.org/10.12653/jecd.2016.23.4.0431
  2. 역량강화 중심의 마을 만들기 참여에 따른 주민인식변화 분석: 충청남도 공주시를 사례로 vol.23, pp.1, 2013, https://doi.org/10.26863/jkarg.2017.02.23.1.89
  3. 농촌 지역사회 주민역량이 지역사회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지역사회 애착도의 조절효과 - vol.24, pp.4, 2017, https://doi.org/10.12653/jecd.2017.24.4.0279
  4. 지역대학생의 농촌경관 개선사업 참여를 위한 발전방안 연구 - 금산읍 농촌중심지 사업을 대상으로 - vol.24, pp.2, 2018, https://doi.org/10.7851/ksrp.2018.24.2.0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