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기관 레포지토리 실무자 연수 체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ining System of Institutional Repository Staffs

  • 조재인 (인천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투고 : 2013.11.20
  • 심사 : 2013.12.11
  • 발행 : 2013.12.30

초록

기관 레포지토리는 오픈 엑세스 기반의 학술 커뮤니케이션을 실현할 뿐 아니라, 기관의 각종 지적 자산을 수집, 보존, 배포하기 위한 연구 도서관의 핵심 시설로 간주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운영 필요성을 인식해, 많은 대학 및 연구 기관이 도입하고 있으나, 레포지토리 운영 지원 및 실무자 연수 체계 미비로 아직까지 많은 기관에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영국, 일본의 기관 레포지토리 실무자 연수 체계를 비교 분석하고, 국내 실무자들의 의견을 참고하여 레포지토리의 건전한 성장을 유도할 수 있는 연수 체계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실무자 연수 체계는 첫째, 기관 레포지토리의 역할과 본질을 이해하고 기관의 전폭적 지지를 유도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하며, 둘째, 컨텐츠 수집, 등록 정책뿐 아니라, 저작권 확인 절차와 같은 실무적 수준의 교육과 실습이 균형을 이루어야 하겠다. 마지막으로 시스템 운영 기술을 성숙시켜 나갈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의 제공과 기관간 기술 정보 공유의 장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Institutional repository has been regarded as core facilities of research libraries to realize open access by collecting, preserving, distributing of intellectual asset what institution has created. In our country, many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ions are trying to introduce institutional repository system. But almost universities not only take the negative attitude to manage properly, but also never give basic training to staff members who take over institutional repository job. This study brightens up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training system and compares the British and Japanese cases what shows diverse advanced managing cases. Furthermore, by putting together demands of hands-on workers, suggest direction of future institutional repository staff training system. First, institutional repository staff training system has to suggest strategies to induce strong support from institution. Second, it has to give not only courses about content collecting and registering, but also practical training. Finally, the program for enhancing system management technology has to be provided, and the place where technical staffs can share their system information mutually has to be provided.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규환. 2010. 오픈액세스를 통한 공공도서관 정보서비스 확장 방안. 한국비블리아학회 2010년도 발표논집, 23: 63-83.
  2. 國立情報學硏究所. 2010. 學術ポ-タル担当者當修. [cited 2013.11.5]..
  3. 國立情報學硏究所. 2013. 次世代學術コンテンツ基盤. [cited 2013.11.5]..
  4. Digital Repository Federation. 2013. Training.[cited 2013.11.5]..
  5. Henty, M. 2007. "Ten Major Issues in Providing a Repository Service in Australian Universities."D-Lib Magazine, 13(5/6). doi:10.1045/may2007-henty.
  6. JISC InfoNet. 2012. Traing Repository Staff.[cited 2013.9.5]..
  7. Jones, E. 2008. E-Science Talking Points for ARL Deans and Directors. [cited 2012.11.5]..
  8. NII Institutional Repository Program. 機關リポジトリ統計. [cited 2013.8.1]..
  9. Nimmo, E. 2011. Repository Support Project. [cited 2013.8.1]. .
  10. OCLC. 2011a. Changes in Scholarly Communication. [cited 2012.11.5]. .
  11. OCLC. 2011b. Support for Research Workflows. [cited 2012.12.3]. .
  12. OCLC. 2011c. Role of Libraries in Data Curation. [cited 2012.12.3]. .
  13. OpenDOAR Homepage. [cited 2013.3.8].
  14. Robinson, M. 2007. SHERPA Document -Institutional Repositories: Staff and Skills Requirements. [cited 2012.11.13]..
  15. Ranking Web of Repositories. [cited 2013.10.8]. .
  16. Simons, N. and J. Richardson. 2012. "New Roles, New Responsibilities: Examining Training Needs of Repository Staff." Journal of Librarianship and Scholarly Communication, 2(2): 1-16.
  17. Wolski, M., J. Richardson, and R. Rebollo. 2011. "Building an Institutional Discovery Layer for Virtual Research Collections." D-Lib, 17(5/6). doi:10.1045/may2011-wolski.

피인용 문헌

  1. Shared-operation models for institutional repositories 2018, https://doi.org/10.1177/0266666916687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