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공공건설사업에서의 국가기반시설 건설정보 서비스 방안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Plans of Construction Information for National Infrastructure in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 옥현 (한국건설기술연구원 ICT융합연구실) ;
  • 김진욱 (한국건설기술연구원 ICT융합연구실)
  • 투고 : 2013.10.28
  • 심사 : 2013.11.22
  • 발행 : 2013.12.28

초록

최근 정보화는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 요소로서 업무 수행의 보조적인 역할에서 벗어나, 새로운 전략적인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건설분야는 국내외 경기침체에 따른 건설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해 다양한 정보기술의 접목과 활용을 통해 비용절감 및 업무프로세스 개선을 실시하고 있다. 이에 국토교통부 소속 산하기관은 정보화를 통한 건설사업 관리의 투명성 및 효율성을 강화하고, 고부가가치 창출 및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보시스템을 구축하여 건설사업관리 및 유지관리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구축된 정보시스템이 일부 공공건설사업에 국한되어 활용됨에 따라 국가기반시설 전반의 현황을 파악하기에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국토부 소속기관에서 활용되고 있는 건설사업정보시스템(건설CALS시스템)을 중심으로 산하기관 정보시스템으로부터 주요 건설정보의 수집 및 연계, 가공을 통해 공공건설사업에서의 국가기반시설 전반에 대한 건설정보 서비스 방안과 향후 추진방법 및 절차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공공건설사업에서의 효율적인 사업관리 및 유지관리가 가능하며, 향후 정책입안 등 주요 의사결정을 위한 유용한 도구로 활용할 수 있으며, 또한 국가기반시설의 구축에서 유지관리까지의 건설정보 관리 및 활용이 가능하리라 예상된다.

The construction field is implementing cost savings and business process improvements by adopting and applying various information technologies to secure the construction sector's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amid the economic recessions inside and outside South Korea. Therefore, affiliated agencies of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re reinforcing transparency and efficiency in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through informatization. These agencies are also performing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and maintenance and management businesses by constructing various information systems to create higher added values and secure competitiveness. However, as the application of the constructed information system is limited to a portion of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it is not yet possible to understand the whole status of the national infrastructures.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propose a construction information service plan, its future promotion method and procedure of application on the entire national infrastructures. This plan would be carried out by collecting, linking and fabricating the main construction information from the information systems of the affiliated agencies around the construction project information system(Construction CALS System) being applied at the organizations under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Such a plan is expected to facilitate effective project management and maintenance of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and serve as a useful tool for major decision making endeavors such as future policy planning. The proposed plan is also expected to facilitate the management and application of construction information from the construction up to the maintenance management of the national infrastructures.

키워드

참고문헌

  1. 국토교통부, 국토교통부 정보화기본계획, 국토교통부, 2009.
  2. 김진욱, 제4차 건설사업정보화(CALS) 기본계획, 한국건설관리학회, 2013.
  3. 국토교통부, 10 건설CALS시스템 운영 및 기능개선(II) 최종보고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11.
  4. 국토교통부, 11 건설CALS시스템 운영 및 기능개선(II) 최종보고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12.
  5. 정영수, "건설 정보화 연구개발의 동향과 시사점", 한국건설관리학회지, 제12권, 제5호, pp.86-87, 2011.
  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CALS 운영체계 선진화 방안 연구 최종보고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12.
  7. http://www.calspia.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