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reativity Theory of Body Movement and Analysis of Creativity Factor

신체움직임의 창의성 이론과 요인분석

  • 안병순 (순천향대학교 연극무용학과)
  • Received : 2013.08.21
  • Accepted : 2013.11.25
  • Published : 2013.12.28

Abstract

Creativity is the thinking ability and the expression of new image by imagination as a problem recognition and way of solution. This study aims to search for the creativity theory of body movement and to analyze the creativity factor. According to the study, the creativity of body movement needs four steps: movement awareness, movement design, movement discovery and movement use. The use of new image through self-perception and self concept brings about a creative improvement in the problem recognition and its resolution function. In conclusion, the creativity of body movement means the infinity of body movement as 'the third energy' and 'the flexibility of flow' by interaction.

창의성은 문제인식과 해결방법으로 상상력을 통한 새로운 이미지의 사고능력과 표현이다. 이 연구는 신체움직임의 창의성이론을 탐구하고 창의성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신체움직임의 창의성은 첫째, 움직임 자각 둘째, 신체움직임 디자인 셋째, 움직임의 발견, 넷째, 움직임활용이라는 단계가 필요하다. 자기지각과 자아개념을 통한 새로운 이미지의 활용은 문제인식과 해결기능에 대한 창의적인 향상을 가져온다. 결론적으로 신체움직임의 창의성은 상호작용에 의한 '제3의 힘'과 '흐름의 유연성'으로 신체움직임의 무한성을 의미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안주경, "무용창작에 적용된 로미오와 줄리엣의 이중성 표현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 권, 제12호, pp.146-155, 2012.
  2. R G. 콜링우드, 이일철 역, 예술철학개론, 정음사, pp.125-130, 1978.
  3. J. P Guilford, "Structure of intellect," Psychological Bulletin, Vol.53, pp.267-293, 1956. https://doi.org/10.1037/h0040755
  4. 고주연, 창작무용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5. 권영훈, 창작무용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및 신체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6. 권정숙, 움직임의 4가지 요소를 통한 무용학습이 창의성 개발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7.
  7. 한혜리, 무용에서 감성과 창의성의 개념 연구, 한국무용교육학회지, 제19권 2호, pp.1-12.
  8. 최효진, 유아의 창의성 개발을 위한 무용 학습 프로그램 시안,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9. 오레지나, "무용창의성의 요인분석", 한국무용교육학회, 제17권, 제1호, pp.205-222, 2006.
  10. 박중길, K-12무용교육과정 개념 틀 개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11. 강혜련, 창의적 사고와 신체지각과의 관계,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12. 안병순, "즉흥무용교육의 창의성이론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제47권, 제6호, pp.579-591, 2008.
  13. 브루스터 기세린, 이상섭 역, 예술창조의 과정, 연세대학교 출판부, pp.108-110, 1980.
  14. 질베르 뒤랑, 진형준 역, 상징적 상상력, 문학과 지성사, pp.71-90, 1988.
  15. 쟌느 베르니스, 이재희 역, 상상력, 탐구당, pp.8-10, 1988.
  16. 한혜리, "무용에서 감성과 창의성의 개념 연구", 한국무용교육학회지, 제19권, 제2호, pp.1-12, 2008.
  17. 안병순, 라반의 움직임교육을 통한 즉흥무용프 로그램이 대학무용수의 창의성에 미치는 참여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5.
  18. R. W. Burns and G. D. Brooks, "Processes, problem solving and curriculum reform," Educational Studies, pp.8-10, 1970.
  19. 황혜선, 메타인지 학습방법을 적용한 접촉즉흥 무용교육과정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20. 안병순, "즉흥무용의 수행과정에 관한 질적 접근", 한국체육학회지, 제44권, 제5호, pp.769-778, 2005.
  21. John Martim 저, 김태원 역, 현대 춤의 인식, 현대미학사, pp.11-67, 1983.
  22. 안병순, "즉흥무용교육의 창의성이론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제47권, 제6호, pp.579-591,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