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Nostalgia, Expectation, and Evaluation on the Intention to Watch a Movie -Focused on the Case of -

향수(nostalgia), 기대 및 평가가 영화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써니>의 사례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3.09.09
  • Accepted : 2013.11.07
  • Published : 2013.12.28

Abstract

The nostalgia marketing is active in various industrial areas. The nostalgic theme is emerging as a new trend in the film industry. This thesis attempts to investigate empirically the effect of nostalgia, the expectation and the evaluation on the intention to watch a movie. Nostalgia is a sentimental yearning for a former place or time. Expectation is classified into the utilitarian and the hedonic one; the evaluation into the subjective and the objective one. This thesis analyzed the effects of these five factors on the intention to watch a movie. The result shows that the older group felt more nostalgic than the younger; women more than men. Regarding the age, 10-20s are affected by the hedonic expectation, the subjective evaluation, and nostalgia, and over 30s are affected in order of the hedonic expectation and nostalgia. In terms of sex, men are affected most in order of the hedonic expectation, nostalgia and the subjective evaluation. Women are affected most in order of the hedonic expectation and the subjective evalu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marketing strategy needs to vary according to age and sex.

다양한 산업 영역에서 향수 마케팅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영화 산업에서도 향수라는 주제는 새로운 트렌드를 형성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향수를 중심으로 기대 및 평가가 영화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향수는 과거의 장소나 시간을 그리워하는 감정이다. 기대는 실용적 기대와 정서적 기대로 나누어지며, 평가는 객관적 평가와 주관적 평가로 구분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 다섯 가지요소가 영화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높은 연령이 낮은 연령보다, 여성이 남성보다 향수가 높게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10~20대는 정서적 기대 주관적 평가 향수 순으로, 30대 이상은 정서적 기대 향수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남성의 경우 정서적 기대 향수 주관적 평가 순으로, 여성의 경우 정서적 기대 주관적 평가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연령과 성별에 따라 마케팅 전략이 달라져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Euromonitor International, Global nostalgia marketing, 2012.
  2. 문화체육관광부, 2011 콘텐츠산업백서, 2012.
  3. C. Goulding, "Romancing the past: Heritage visiting and the nostalgic consumer," Psychology & Marketing, Vol.18, No.6, pp.565-592, 2001. https://doi.org/10.1002/mar.1021
  4. 박설영, 향수영화가 하이맛(heimat)을 재현하는 방식에 관한 연구 : <워낭소리>, <웰컴 투 동막골>,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5. 김나경, 90년대와 通한 2012년의 복고형 감성코드, LG Business Insight, 2012.9.19, pp.25-30, 2012.
  6. J. Eliashberg and M. S. Sawhney, "Modeling goes to Hollywood: Predict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movie enjoyment," Management Science, Vol.40, No.9, pp.1151-1173, 1994. https://doi.org/10.1287/mnsc.40.9.1151
  7. 최문성, 소비자의 영화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영화선택요인과 마케팅요소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8. R. Neelamegham and D. Jain, "Consumer choice process for experience goods: An econometric model and 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36, No.3, pp.373-386, 1999. https://doi.org/10.2307/3152083
  9. 정윤희, "영화관람 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 과거만족도과 현재비평의 영향", 상품학연구, 제28권, 제5호, pp.23-32, 2010.
  10. 박철, "실물구매의도와 인터넷 구매의도간의 차이요인에 관한 실험연구", 광고연구, 제47권, pp.37-60, 2000.
  11. 황유선, 김유정, 심홍진, "뉴미디어 환경에서 영화 관람 그리고 반복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개인의 특성 및 영화 관람 유형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5권, 제2호, pp.128-154, 2011.
  12. T. Hennig-Thurau, M. B. Houston, and G. J. Walsh, "Determinants of motion picture box office and profitability: An interrelationship approach," Review of Managerial Science, Vol.1, No.1, pp.65-92, 2007. https://doi.org/10.1007/s11846-007-0003-9
  13. B. R. Litman and L. S. Kohl, "Predicting financial success of motion pictures: The 80's experience," Journal of Media Economics, Vol.2, No.2, pp.35-50, 1989. https://doi.org/10.1080/08997768909358184
  14. E. Cooper-Martin, "Consumers and movies: Information sources for experiential products,"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19, pp.756-761, 1992.
  15. E. C. Hirschman and A. Jr. Pieros, "Relationships among indicators of success in broadway plays and motion pictures," Journal of Cultural Economics, Vol.9, No.1, pp.35-63, 1985. https://doi.org/10.1007/BF02267487
  16. 김용, 영화의 관람 전 태도형성요인과 관람만족의 선행 및 결과변수에 관한 연구, 전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17. 서철현, "지역축제에 대한 사후이미지가 방문객 만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청도 소싸움 축제를 중심으로", 대한관광경영학회, 제16권, 제2 호, pp.7-23, 2001.
  18. 강순화, 이경모, "축제 품질이 관계 질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자치행정학보, 제24 권, 제2호, pp.294-314, 2010.
  19. 성영신, 박진영, 박은아, "온라인 구전정보가 영화관람 의도에 미치는 영향 : '기대'를 중심으로", 광고연구, 제57권, pp.31-52, 2002.
  20. 김혜정, 정은주, "일반인의 무용공연 관람동기가 정서경험과 무용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제21권, pp.1-19, 2010.
  21. 정원현, 한국 영화 시장 점유율 향상 방안 연구 : 소비자 의식 성향을 통해서 본 마케팅 전략 방안, 명지대학교 무역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22. C. Sedikides, T. Wildschut, and D. Baden, "Nostalgia: Conceptual issues and existential functions," Handbook of experimental existential psychology, The Guilford Press, 2004.
  23. 김나현, 향수(Nostalgia)광고의 연령과 향수성 수준별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24. K. Naughton and B. Vlasic, "The nostalgia boom: Why the old is new again," Business Week, March 23, Vol.3570, pp.50-54, 1998.
  25. 남수영, "'포스트-노스탤지어' : 90년대 르네상스 영화와 욕망의 시선", 비교문학, 제52권, pp.307-331, 2010.
  26. 김대승, 영화 흥행 결정 요인에 대한 통합적 연구 : 정보 가능 시기별 경로 분석을 기반으로, 한국과학기술원 석사학위논문, 2006.
  27. F. M. Schneider, Measuring subjective movie evaluation criteria: Conceptual foundation,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the SMEC scales, Unpublished Ph.D. dissertation, Koblenz-Landau University, 2012.
  28. 김정호, "한국영화 스타파워 분석 -2003-2007 배우와 감독-", 영화연구, 제38권, pp.11-52, 2008.
  29. 서구원, 민형철, "전통시장 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실증적 연구", 조형미디어학, 제14권, 제4호, pp.97-108, 2011.
  30. 황병일, "향수광고(nostalgia advertising)의 감정 특성에 관한 연구", 광고연구, 제45권, pp.51-71, 1999.
  31. 김나민, 정근미, 이문규, "로맨틱 코미디 영화의 남녀 주연배우가 관객의 영화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관리연구, 제16권, 제1호, pp.125-143, 2011.
  32. 최화열, 안대천, 이혁진, "신한류 열풍시대의 휴먼브랜드 파워가 영화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 영화배우와 감독을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제26권, 제4호, pp.135-153, 2012.
  33. A. Field, Discovering statistics using SPSS for Windows, Thousand Oaks, 2000.
  34. L. Y. Muilenburg and Z. L. Berge, "Student barriers to online learning: A factor analytic study," Distance Education, Vol.26, No.1, pp.29-48, 2005. https://doi.org/10.1080/01587910500081269
  35. T. Dinev and P. Hart, Internet privacy concerms and trade-off factors: Empirical study and business implications, Working paper, Florida Atlantic University, 2002.
  36. http://www.kofic.or.kr/cms/72.do
  37. 박선영, "SNS를 통한 구전 효과가 영화 흥행에 미치는 영향 -<써니>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7호, pp.40-53,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