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Investigation into the Structure and Formation Process of the Capital of Balhae

발해 도성의 구조와 형성과정에 대한 고찰

  • 김진광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진흥사업단)
  • Received : 2012.02.06
  • Accepted : 2012.05.20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The transition process of the Balhae's capital system(都城制度) is a step-by-step marker of the completion of the state's governing system(支配體制). The most important subject in investigating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capital of Balhae is Shanggyeongsheng(上京城). That's because Shanggyeongsheng(上京城) with a threefold-castle structure(三重城) of royal palace(宮城)-internal castle(內城)-external castle(外城) in the side-to-side checkerboard type symmetrical structure has the most paradigmatic castle structure not only in Balhae but also in East Asia. Despite the fact that such structure of Shanggyeongsheng(上京城) has a lot of similarities in the type with Sudangchangansheng(上京城) in Chungwon, scholars were skeptical that it had the same structure with Sudangchangansheng(上京城) at the time when transferring the capital. If we review the result of excavation of Shanggyeongsheng(上京城) and the findings of the senior scholars, it can be understood that Shanggyeongsheng(上京城) has not only the structure of Sudangchangansheng(上京城) but also accepted the principle of construction projected in i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room for reconsideration on the theory of step-by-step construction(段階別築造) which was claimed based on the point that the construction like today's construction was impossible with the level of national power at that time in that the layers whose difference in construction time between the place No. 2, the central point of the royal palace, and the palaces No. 3~5 could be found were not identified, in that the whole Shanggyeongsheng(上京城) was planned by the same standard scale and finally in that there is a good possibility of accepting Samjoje(三朝制). The Shanggyeongsheng(上京城) is the result of the construction conducted by careful planning from the beginning, and with its close relation with the King Mun's(文王) policy of civilian government(文治), it shows that the governing system of the state was completed during the reign of King Mun. Therefore, the construction of the capital and the principle of construction(造營原理) projected in it are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Chungwon culture(中原文化) was being understood to a considerable level, and this means that the view of the world(天下觀) that he wanted to implement expanded throughout the whole Balhae.

바둑판식 좌우대칭구조로서 궁성 - 황성 - 외성의 3중성 구조를 지닌 상경성은 발해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에서 가장 전범적인 도성 구조를 지니고 있다. 그래서 발해 도성제도의 변천과정은 발해 중앙행정체제의 완비로 발해정체제도 보편화과정의 단계적 표지라고 할 수 있다. 그중 가장 중요한 대상은 상경성으로, 그 구조는 중원의 수당장안성(隋唐長安城)과 그 형식면에서 많은 유사점을 지니고 있음에도, 상경천도 당시 수당장안성과 같은 구조를 지니고 있었을까에 대해서는 회의적이었다. 그러나 상경성 발굴결과와 선학들의 연구결과를 검토해 보면, 상경성은 수당장안성의 외적 구조만이 아니라 그 내면에 투영되어 있는 조영원리도 수용했음을 엿볼 수 있다. 따라서 당시 발해의 국력수준에서 현재와 같은 조영이 불가능함을 주장했던 단계별축조설은 궁성의 중심점인 2호 궁전과 3~5호 궁전 사이에서 조영시기의 차이를 발견할 만한 층위가 확인되지 않은 점, 상경성 전체가 동일한 영조척에 의해서 계획되었다는 점, 그리고 3조제를 수용했을 가능성이 농후한 점 등의 측면에서 좀 더 깊이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결국 상경성 조영은 치밀한 계획에 의한 문왕 치세 당시 국가의 운영원리가 반영되었음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따라서 상경성의 조영과 그 원리는 초축 당시 상당한 정도로 중원문화를 이해하고 있었음을 전제하는 것이며, 상경성이 지니는 위상과 구체적인 의미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하겠다. 더 나아가 이것은 국가의 통치체제가 마련되고 사회전반으로 투영되었으며, 그가 구상하는 천하관(天下觀)이 발해국 전체로 확대되어갔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