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Climate Change Researches Related to Water Resources in the Korean Peninsula

한반도 수자원분야 기후변화 연구동향 분석

  • Lee, Jae-Kyoung (Dep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Young-Oh (Dep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ang, Noel (Dep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이재경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 김영오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 강노을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Received : 2011.12.05
  • Accepted : 2012.03.16
  • Published : 2012.03.31

Abstract

The global warming is probably the most significant issue of concern all over the world and according to the report published by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the average temperature and extent of global warming around the globe have been on the rise and so have the uncertainty for the future. Such effects of global warming have adverse effects on basic foundation of the mankind in numerous ways and water resource is no exception. The researches on water resources assessment for climate change are significant enough to be used as the preliminary data for researches in other fields. In this research, a total of 124 peer-reviewed publications and 57 reports on the subject of research on climate change related to water resources, that has been carried out so far in Korea has been reviewed. The research on climate change in Korea (inclusive of the peer-reviewed articles and reports) has mainly focused on the future projection and assessment. In the fields of hydrometeorology tendency and projection, the analysis has been carried out with focus on surface water, flood, etc. for hydrological variables and precipitation, temperature, etc. for meteorological variables.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large, seasonal deviation in the amount of rainfall and the difficulty of water resources management, which is why, the analysis and research have been carried out with focus on those variables such as precipitation, temperature, surface water, flood, etc. which are directly related to water resources. The future projection of water resources in Korea may differ from region to region; however, variables such as precipitation, temperature, surface water, etc. have shown a tendency for increase; especially, it has been shown that whereas the number of casualties due to flood or drought decreases, property damage has been shown to increase. Despite the fact that the intensity of rainfall, temperature, and discharge amount are anticipated to rise, appropriate measures to address such vulnerabilities in water resources or management of drainage area of future water resources have not been implemented as yet. Moreover, it has been found that the research results on climate change that have been carried out by different bodies in Korea diverge significantly, which goes to show that many inherent uncertainties exist in the various stage of researches. Regarding the strategy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the voluntary response by an individual or a corporate entity has been found to be inadequate owing to the low level of awareness by the citizens and the weak social infrastructure for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Further, legal or systematic measures such as the governmental campaign on the awareness of climate change or the policy to offer incentives for voluntary reduc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s have been found to be insufficient. Lastly, there has been no case of any research whatsoever on the anticipated effects on the economy brought about by climate change, however, there are a few cases of on-going researches. In order to establish the strategy to prepare for and respond to the anticipated lack of water resources resulting from climate change, there is no doubt that a standardized analysis on the effects on the economy should be carried out first and foremost.

지구온난화는 전 세계적으로 21세기 최대 관심사이며, IPCC 보고서에 의하면 지구의 평균온도와 범위가 점점 증가하며, 이에 따른 불확실성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지구온난화의 영향은 인간 삶의 기반과 관련된 여러 부문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수자원 분야도 예외가 아니다. 기후변화에 따른 수자원 영향평가는 다른 분야의 기초 자료로도 사용될 만큼 중요한 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과거 우리나라에서 수행되었던 수자원과 관련한 기후변화 연구에 대하여 총 논문 124편과 보고서 57편을 살펴보았다. 국내 기후변화 연구(보고서 및 연구논문 포함)는 현재 전망이나 영향평가에 매우 편향되어 진행되어 왔다. 수문기상인자의 경향성과 전망 분야에서는 수문변수로 지표수, 홍수 등이, 기상변수로 강수, 온도 등에 집중되어 분석되었다. 이는 우리나라가 계절적 강우 발생의 편차가 크고 수자원 관리가 매우 힘들기 때문에, 강수, 온도, 지표수, 홍수 등 수자원과 직접적 관련이 있는 변수에 초점이 맞추어져 수행이 되어 왔다. 우리나라 미래 수자원 전망에서는 지역적으로 다르겠지만, 과거 강수, 온도, 지표수 등이 대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홍수나 가뭄에서 인명 피해는 줄어드는 반면, 재산 피해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미래 전망에서 강우 강도, 온도, 유출량 등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아직 이를 이용한 수자원 취약성이나 미래 수자원 유역 관리까지는 수행되지 못하였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수행된 기후변화 연구 결과들이 상이하여 기후변화 연구 단계별로 많은 불확실성이 발생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기후변화에 대한 적응전략의 경우,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대국민 인식 및 사회적 기반이 취약하며, 개인 및 기업의 자발적인 대응이 부족하였다. 또한, 정부 차원에서의 기후변화 관련 대국민 홍보와 기업의 자발적인 온실가스 등의 감축에 상응하는 인센티브 제공 등의 법적 또는 제도적인 장치가 부족하였다. 마지막으로 기후변화에 대한 국내 경제성 분석에 대한 연구 사례는 전무하며, 진행 중에 있는 극소수 의 연구 사례가 있었다. 하지만 기후변화에 따른 수자원 부족에 대한 대비 또는 적응전략을 세우기 위해서는 정형화된 경제성 분석이 마련되어야 함을 파악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Grant : 한국 기후변화 평가보고서

Supported by : 국립환경과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