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Energy education' program for Creative Activities in middle school

중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에너지 교육' 수업 자료 개발

  • Received : 2012.08.03
  • Accepted : 2012.09.21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energy education' program for Creative Activities in middle school.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secondary student of middle school in Daegu. The development of 'energy education' program for middle school creative activies was carried out preparati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The details of each phase are as follows; The preparation phase was consised of collecting and research datas, energy education programs andliterature review for development of program. The development phase was developed through program that based on setting goals, designing of teaching-learning plans, development of materials of teaching and evaluation. The improvement phase was to modufy energy education instructional materials by running CD validity test of the expert, (2) preliminary tests and field trials of students. More than 65% of students to take class of this program agreed with the program of 'energy education' in class of creative activities was appropriate.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에너지 교육' 수업 자료를 개발하는 데에 있다. 연구의 대상은 대구의 H 중학교 2학년 남학생 3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중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에너지 교육' 수업 자료 개발은 준비, 개발, 개선 단계의 세 단계로 이루어진다. 각 단계별 내용은 다음과 같다. 준비 단계는 수업 자료의 개발을 위해 에너지 교육 프로그램 및 관련 문헌을 연구하고 자료를 수집하였다. 개발 단계는 목표 설정, 학습지도안 설계, 수업 자료 제작, 평가 자료 개발의 구성 단계에 따라 수업 자료를 개발하였다. 개선 단계에서는 (1) 전문가에 의한 타당도 검증, (2) 학생들에 의한 예비 시험과 현장 시험을 실행하여 '에너지 교육' 수업 자료를 수정 보완하였다. 개발한 '에너지 교육' 수업 자료를 H중학교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적용한 결과 학생들은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에너지 교육'을 하는 것에 대해 65% 이상의 학생이 긍정적인 대답을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2009). 2009 개정 교육과정 고시 제 2009-41호. 교육과학기술부.
  2. 에너지관리공단(2005) 에너지 절약 편람.
  3. 김영준(2010) 고둥학교 신 . 재생 에너지 교육 내용 분석 및 교수학습 교재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배선아(2011). 중학교 전기전가기술 영역의 활동 중심 STEM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6(1), 1-22.
  5. 서주희 (2011). 신 . 재생 에너지 교육 프로그램 개발,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오동규(2011).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녹색 기술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6(1), 23-45.
  7. 왕창수(2012).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창의적 체험활동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 분석, 경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8. 이광우(2010) 창의적 체험 활동 교육과정 편성 . 운영에 관한 시론, 교과서 연구, 59, 66-69
  9. 이현주(2011). 창의적 체험활동 Q&A 손에 잡히는 창의적 체험활동, 전북교육, 50, 152-153.
  10. 최돈형, 이양락, 노석구, 홍미영, 심규철(1994). 중학교용 에너지 교육자료 개발 연구. 한국 교육개발원.
  11. 최돈형, 김기대, 이재봉, 이행미, 천은주, 이성희, 남윤희, 조성화, 여상인, 신명경, 전영석, 조수민(2006). 중학교 재량 활동용 신 . 재생 에너지 교육자료 개발, 한국환경교육학회 발표 논문집, 83-87.
  12. 최준섭 (2001). 환경, 에너지 분야에서의 21세기 기술전략. 기계저널, 41(5), 88-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