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High School of Arts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and Nature of Art

과학과 예술의 본성에 대한 예술고 학생들의 인식

  • Received : 2011.11.11
  • Accepted : 2012.04.16
  • Published : 2012.08.30

Abstract

This study is a survey conducted to explore what art high school students specifically see as nature of science. Third-year students of a high school of arts in Gyeonggi-do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questionnaire was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 the formative arts in the fine arts, the sound arts in music, the performing arts in dance, and drama and play. The study analyzed what they think of as similar aspects of science and art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ir majors, with focus on the extracts. As a result, they mentioned 'creative imagination', 'correlation with technology', 'social and cultural relation', 'subjectivity', 'variability', and 'inquiring attitude' as similarities between science and art. The results are almost the same as the elements of the nature of science as agreed on by scientists. From the result, we can assume that students majoring in art, indeed, need an education on the nature of science. Also, while the fine arts students have more tendency to perceive inquiring attitude than others, music students are more likely to perceive variability than others. Therefore, teaching strategy in experimental inquiring context for the former is more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nature of science, and teaching strategy in the context of scientific history for the latter.

이 연구는 경기도 소재 예술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과 예술의 속성의 관련성을 통하여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조사연구이다. 미술, 음악, 무용과 연극영화의 전공별로 학생들이 과학과 예술의 관련성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발췌문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은 과학과 예술의 관련성으로 '창의적 상상력', '기술과의 연관성', '사회문화적 관련성', '주관성', '가변성'과 '탐구적인 태도'를 주로 인식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과학과 예술이 일반적인 생각과 달리 공통점이 많아서 비교가능성이 많으며, 또한 이 두 분야가 어떻게 다른지를 통하여 학생들의 경험이 과학의 본성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알게 해 준다. 과학교육학자들에 의해 합의된 과학의 본성 요소들과 상당히 일치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문환 (1996). 과학과 예술의 비교. 과학과 사상 13, 여름호.
  2. 정광수 (2009). 과학과 예술의 공약 가능성과 한계, 과학철학 12-2, 87-109.
  3. 홍성욱 (2005). 과학과 예술: 그 수렴과 접점을 위한 시론, 과학기술학 연구 5권 1호, 1-24.
  4. Abd-El-Khalick, F., Bell, R. L., & Lederman, N. G. (1998). The nature of science and instructional practice: Making the unnatural natural. Science Education, 82(4), 417-436. https://doi.org/10.1002/(SICI)1098-237X(199807)82:4<417::AID-SCE1>3.0.CO;2-E
  5. Bartholomew, H., & Osborne, J. (2004). Teaching students "ideas about science": Five dimensions of effective practice. Science Education, 88(5), 655-682. https://doi.org/10.1002/sce.10136
  6. Lederman, N. G., Abd-El-khalick, F., Bell, R. L., & Schwartz, R. S., (2002). Views of nature of science questionnaire: Toward valid and meaningful assessment of learners' conceptions of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6), 497-521. https://doi.org/10.1002/tea.10034
  7. Miller, A. I. (2001). 천재성의 비밀: 과학과 예술에서의 이미지와 창조성. 김희봉 역. 서울: 사이언스북스. 원전: Insights of Genius. Spring-Verlag New York, Inc. 1996.
  8. O'Hear, A. (1995). 현대의 과학 철학 입문. 신중섭 역. 서울: 서광사. 원전: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science. Oxford Univ. Press. 1989.
  9. Shea, W. R. & Spadafora, A. (1990). Creativity in the arts and science. Watson Publishing International.
  10. Strosberg, E. (2001). 예술과 과학. 김승윤 역. 서울: 을유문화사. 원전: Art and science. UNESCO. 1999.
  11. Weisberg, R. W. (2009). 창의성: 문제해결 과학 발명 예술에서의 혁신. 김미선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전: Creativity. John Wiley & Sons. 2006.

Cited by

  1. 예술 고등학생들의 명시적 과학의 본성 수업을 통한 개념 변화의 특성 vol.33, pp.2, 2012,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2.2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