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oblem-Finding Process and Effect Factor by University Students in an Ill-Structured Problem Situation

비구조화된 문제 상황에서 이공계 대학생들의 문제발견 과정 및 문제발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Received : 2011.08.25
  • Accepted : 2012.06.07
  • Published : 2012.08.30

Abstract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for secondary school emphasizes scientific problem solving. In line with the national curriculum, many education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relation to science education. The objects of these studies were well-defined and well-structured problems. The studies were criticized for overlooking ill-defined and ill-structured problems. Some research has dealt with problem finding in ill-structured problems, which is related to creativity. There is a need for a study of scientific problem finding process in an ill-structured problem situation, because this study will help teachers wanting to teach scientific problem-finding in an ill-structured problem situa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n empirical study on the scientific problem finding process in an ill-structured problem situation. One task of scientific problem finding in an ill-structured problem situation was assigned to 92 university students; thereafter, 32 of them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through interviews. Results indicated that the scientific problem finding process depended on initial clues and tentative solutions. Initial clues were affected by students' experiences, such as major classes, films, and novels. Tentative solutions were influenced by background knowledge of the tasks. Students screened information browsed on the Internet. They applied some standards for selection, particularly emphasized reliability standards, which are supposed to be studied in other contexts. All the students used assumptions to make their problems appear probable, which could be a useful tool to articulate.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문제해결력이 중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과학 교육에서 문제해결력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이러한 연구들은 잘 정의된 문제, 구조화된 문제를 대상으로 연구하였기 때문에, 빈약하게 정의된 문제, 비구조화된 문제의 해결과정에 대한 연구가 더 이루어져야 한다는 지적을 받았다. 비구조화된 문제는 전체적인 목표는 존재하지만, 제공되는 정보가 적거나 거의 없는 상황이므로, 비구조화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문제발견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비구조화된 상황에서 문제발견은 창의성과 관련되기 때문에,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비구조화된 문제발견을 학습할 필요가 있다. 과학 영역에서 비구조화된 문제발견에 대해, 교실현장에 구체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가이드를 만들기 위해서, 비구조화된 상황에서 과학적 문제발견 과정에 대한 경험적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이공계 대학생 32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통해서 실제로 비구조화된 상황에서 과학적 문제발견 과정과, 그 과정에 영향을 준 요소가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비구조화된 문제 상황에서 학생들의 문제발견 과정은, 문제와 관련된 단서나 잠정적 해결책을 염두에 두고, 정보를 검색한 후 몇 가지 선별 기준에 따라서 검색된 정보를 선별하여 문제를 발견하는 것으로 이루어졌다. 학생들의 문제발견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먼저, 문제에 관한 단서를 떠올리는데 전공 수업과 영화, 소설 등 학생의 경험이 영향을 미쳤다. 문제해결자의 문제 관련 배경 지식이 잠정적 해결책에 영향을 미쳤고, 검색한 정보를 선별하는 선별 기준으로 정보의 신뢰도, 정보의 출처, 내용 적합성, 이해 가능성, 주제와 관련성, 언급된 회수가 사용되었다. 그런데 연구에 참여한 대학생들이 제시한 정보선별 기준이 타당한지, 중등학교 현장에서 교사가 안내할 가치가 있는지, 학습에 도움이 되는지 여부는 알 수 없으므로 이에 대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연구에 참여한 대학생들은 개연성 있는 모델을 만들기 위해, 문제를 명료화할 때 가정을 사용하였다. 가능한 모든 변수를 포함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가정을 사용해서 불필요한 요소를 배제하는 접근법은 적절한 전략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중등학교 현장에서 교사는 학생들에게 비구조화된 상황에서 문제를 발견할 때 적절한 가정을 사용함으로써 문제를 명료화할 수 있다는 점을 알려 줄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소현, 최병순(2002). 고등학교 학생들의 인지 양식과 인지 수준이 화학 문제 해결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1), 132-140.
  2. 김선자, 최병순(2005). 변인통제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난 초등학생의 실험설계 및 증거제시 특성.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2), 111-121.
  3. 남정희, 김성희, 강순희, 박종윤, 최병순(2002). 변인통제 문제해결 활동에서 학생들의 인지수준에 따른 상호작용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1), 110-121.
  4. 노태희, 성을선, 강훈식, 정영선, 강석진(2004). 해결자.청취자 활동을 이용한 화학 문제 해결에서 소집단 구성 방법에 따른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6), 1063-1069.
  5. 류시경, 박종석(2006). 낮게 구조화된 과학적 문제 상황에서 고등학생들의 문제발견 활동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6), 765-774.
  6. 류시경, 박종석(2007). 고등학생들의 독창적인 문제발견 능력과 학업성취도, 과학 탐구능력, 창의적 성격과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3), 263-271.
  7. 류시경, 박종석(2008). 과학 영재 학생들의 과학적 문제발견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2), 139-149.
  8. 박윤배, 조윤경(2005). 정성적, 정량적 문제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물리 문제해결과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4), 526-532.
  9. 박윤배, 김미영(2006). 협동해결과 개별해결에서 나타난 물리문제해결과정의 차이.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1), 114-121.
  10. 서정아, 조광희, 송진웅, 박승재(2004). 어림 활동이 문제 해결 과정에서 개념 이해, 해답 예측, 계산에 미치는 영향 : 속력과 밀도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5), 814-824.
  11. 윤경미(2004).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문제발견의 차이 및 문제발견에 영향을 미치는 제변인 분석.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윤경미, 김정섭(2006). 영재판별의 새로운 변인. 교육심리학연구, 20(3), 587-604.
  13. 이혜주(2005). 구조화 정도가 다른 문제 상황에서 문제발견에 대한 제 변인의 상대적 기여도 분석. 초등교육연구, 18(2), 123-148.
  14. 전경문, 강훈식, 노태희(2003). 문제 해결 전략을 사용하는 해결자.청취자 활동에서 내.외향성에 따른 소집단 구성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1), 57-65.
  15. 전경문, 박현주, 노태희(2006). 동기 및 인지 변인이 화학 선다형 수리 문제 해결에 미치는 영향: 성취 목적, 유능감, 학습 전략, 자기 조절 능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1), 1-8.
  16. 전윤식, 김정섭, 윤경미(2003). 창의성 교육의 새로운 접근: 문제 찾기. 교육학연구, 41(3), 215-238.
  17. 최정임(2004). 사례 분석을 통한 PBL의 문제설계 원리에 대한 연구. 교육공학연구, 20(1), 37-61.
  18. 최혁준, 박호진, 권재술(2004). 복합개념상황에서 고등학생들의 문제해결력과 정신용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5), 937-945.
  19. Csikzentmihalyi, M., & Getzels, J. W. (1970). Concern for discovery: An attitudinal component of creative production. Journal of Personality, 38(1), 91-105. https://doi.org/10.1111/j.1467-6494.1970.tb00639.x
  20. Jausovec, N. (1994). Metacognition in Creative Problem Solving. In Runco, M.A.(Ed.). Problem Finding, Problem Solving, and Creativity, (pp. 77-95). Norwood, NJ: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21. Jonassen, D. H. (1997). Instructional Design Models for Well-Structured and Ill-Structured Problem-Solving Learning Outcomes.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45(1), 65-94.
  22. Mumford, M. D., Reiter-Palmon, R., & Redmond, M. R., (1994). Problem Construction and Cognition: Applying Problem Representations in Ill-Defined Domains. In Runco, M. A. (Ed.). Problem Finding, Problem Solving, and Creativity, (pp. 3-39). Norwood, NJ: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23. Okuda, S. M., Runco, M. A., & Berger, D. E. (1991). Creativity and the Finding and Solving of Real-World Problems. Journal of Psychoeducational Assessment, 9(1), 45-53. https://doi.org/10.1177/073428299100900104
  24. Reiter-Palmon, R., Mumford, M. D., Boes, J. O., & Runco, M. A. (1997). Problem Construction and Creativity: The Role of Ability, Cue Consistency, and Active Processing.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0(1), 9-23. https://doi.org/10.1207/s15326934crj1001_2
  25. Simon, H. A. (1978). Information-Processing Theory of Human Problem Solving. In W. K. Estes (Ed.), Handbook of learning and cognitive processes: Vol. 5. Human Information Processing (pp. 271-295).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6. Weisberg, R. W. (2006). Creativity: Understanding Innovation in Problem Solving, Science, Invention, and Arts. Hoboken, NJ: John Wiley & Sons, Inc.

Cited by

  1. Hermeneutics and Science Education : Focus on Implications for Conceptual Change Theory vol.35, pp.1, 2015,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1.0085
  2. The Effect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Creative Leadership and Self-Concept on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according to the Organizational Types vol.12, pp.2, 2016, https://doi.org/10.35637/klehrd.2016.12.2.004
  3. 대학생들의 융합형 문제 해결 활동에서 문제발견 및 과학기술 분야 활용 양상 분석 vol.36, pp.6, 2016, https://doi.org/10.14697/jkase.2016.36.6.08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