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enditures Patterns by Korean Wave Event Audiences and Economic Impact of Direct Spending on a Inchoen City

인천한류관광콘서트 방문객의 소비지출 패턴 및 경제적 파급효과

  • 유창근 (경민대학교 호텔관광경영과)
  • Received : 2012.06.25
  • Accepted : 2012.07.31
  • Published : 2012.08.28

Abstract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xpenditure patterns that was generated by visitors who attended The Korean Music Wave Festival and analyze economic impact derived from that event. The target is the foreign visitors who attended '2011 Incheon Korean Music Wave'. Total of 407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produce spending patterns using Tobit models. Also, tourism multipliers were employed to identify the economic impact. This results show that expenditure determinants such as demographic variables and satisfaction as independent variables are significant in estimating visitors' expenditures. Also, In addition economic impact derived from direct spending was substantially over committed cost. Accordingly, this result can contribute to providing basic information for marketing strategy that generates the economic effect on the destination. Moreover, the result can be utilized when establishing the strategy that can maximize the economic impact based on the spending patterns.

본 연구의 목적은 한류관광의 대표적인 스페셜이벤트인 인천한류관광콘서트에 대한 외래관광객의 소비 지출 패턴을 규명하고 그로인해 창출되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자료는 2011년 인천한류관광콘서트에 관람한 외래관광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지출의 패턴은 토빗모형을 설정하여 분석 하였으며, 경제적 파급효과는 인천지역의 관광유발계수를 적용하여 산출하였다. 분석결과, 인구통계적 특성, 국적, 만족도 등 지출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들은 선택된 지출 항목별로 다양하게 표출되었으며 경제적 파급효과는 투입된 비용보다 상회하는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지출패턴에 따라 한류관광콘서트에 대한 경제적 파급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조성룡, 신한류 개념부터 바로세우기, 문화시론, 11월 24일, 2005.
  2. 오용수, "한류의 변천과 한류관광의 경쟁력 창출 : 일본 내 한류, 신한류, 한류 2.0을 중심으로", 한국관광정책, 제42권(2010년 겨울), pp.78-83, 2010.
  3. J. Crompton and S. L. Mackay, "Motives of visitors attending festival events," Annals of Tourism Research, Vol.24, No.2, pp.425-439, 1997. https://doi.org/10.1016/S0160-7383(97)80010-2
  4. 조우정, "지역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해양스포츠 이벤트 개최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43권, 제1호, pp.327-336, 2011.
  5. 김애랑, 조우정, "생활체육이벤트 방문객 소비지출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2010 전국생활 체육대축전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42권, 제1호, pp.409-419, 2010.
  6. 이충기, 최영준, "지역산업연관모델을 이용한 보령머드축제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관광연구, 제25권, 제5호, pp.83-100, 2011.
  7. 이지석, "안동국제탈춤페스티발의 경제적 파급효과분석-지역산업연관모델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호, pp.371-378, 2011
  8. 이충기, 윤유식, 이병원, 풍기인삼축제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연구 -지역산업연관모델을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제22권, 제2호, pp.21-33, 2008
  9. 이희찬, "축제참가자의 관광지출 결정요인: Tobit 모형을 적용", 관광학연구, 제26권, 제1호, pp.31-46, 2002.
  10. 이승길, 김현, 유창근, "지역축제방문객의 지출결정요인", 호텔경영학연구, 제15권, 제4호, pp.177-187, 2006.
  11. 이범재, 정경일, "지역축제 유형별 방문객의 소비지출 차이분석", 관광학연구, 제32권, 제4호, pp.235-253, 2008.
  12. 기노용, 한상우, "지방정부 문화관광축제 방문객 특성의 만족도 및 소비지출 영향분석: 연천전곡리 구석기축제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제15 권, 제1호, pp.317-336, 2011.
  13. 이지석, 윤정희, "지역축제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2007 제천국제음악영화제에 대한 산업연관 모델분석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 제12권, 제 1호, pp.573-593, 2008.
  14. 고동우, 부소영, "기획축제 관람자의 소비지출 기제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제2권, 제2호, pp.61-79, 2001.
  15. 한진영, 오지은, "지역축제 방문객의 축제경험이 지출에 미치는 영향: 2006 효석문화제 방문객을 대상으로", 관광연구저널, 제21권, 제2호, pp.311-323, 2007.
  16. C. Throne, "Jazz Festival Visitors and Their Expenditures; Linking Spending Patterns to Musical interest," Journal of Travel Research, Vol.40, No.2, pp.281-286, 2002. https://doi.org/10.1177/0047287502040003006
  17. 전호문, "스포츠이벤트관광객들의 소비지출 패턴 및 경제적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제10권, 제2호, pp.51-62, 2005.
  18. J. Leones, B. Colby, and K. Crandall., "Tracking Expenditures of the Elusive Nature Tourists of Southeastern Arizona," Journal of Travel Research, Vol.36, No.3, pp.56-64, 1998. https://doi.org/10.1177/004728759803600306
  19. P. T. Long and R. R. Perdue., "The Economic Impact of Rural Festivals and Special Events: Assess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Expenditures," Journal of Travel Research, Vol.28, No.4, pp.10-14, 1990. https://doi.org/10.1177/004728759002800403
  20. J. Mak, J. Moncur, and D. Yonamine., "How or How Not to Measure Visitor Expenditures," Journal of Travel Research, Vol.16, No.1, pp.1-4, 1997.
  21. N. Asgary, G. De Los Santos, V. Vincent, and V. Davila. "The Determinants of Expenditures by Mexican Visitors to the Border of Texas," Tourism Economics, Vol.3, No.4, pp.319-28, 1997. https://doi.org/10.1177/135481669700300402
  22. M. Fish and D. Waggle, "Current Income versus Total Expenditure Measures in Regression Models of Vacation and Pleasure Travel," Journal of Travel Research, Vol.35, No.2, pp.70-74, 1996. https://doi.org/10.1177/004728759603500212
  23. D. Getz, "Event Management & Event Tourism," New York: Cognizant Communication, 1997.
  24. Y. K. Lee, C. K. Lee, S. K. Lee, and B. J. Babin, "Festival scapes and Patrons's Emotions, Satisfactions, and Loyalty,"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61, No.1, pp.56-64, 2008. https://doi.org/10.1016/j.jbusres.2006.05.009
  25. 정성호, 주수현, "부산불꽃축제의 산업연관효과 분석", 홍보학연구, 제13권, 제1호, pp.36-61, 2009.
  26. 김연형, "지역문화축제의 지역경제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전주 국제 영화제를 중심으로", 응용 통계연구, 제21권, 제1호, pp.125-140, 2008.
  27. 김대관, 한연주, 이상민, 최영배, 송수엽, "지역산업연관모델을 이용한 2011년 서울모터쇼의 경제적 파급효과분석: 전시참관객의 지출액을 바탕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0호, pp.187-196, 2011.
  28. 신윤환, "동아시아의 한류현상: 비교분석과 평가", 동아연구, 제41권, pp.5-34, 2009.
  29. 문화체육관광부, "2010 외래관광객 실태조사", 2011.
  30. 이원희, "신 한류를 활용한 인바운드 관광정책 방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1.
  31. 김은정, 박상준, "중국의 한류현상이 한국 관광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항공경영학회, 제8권, 제1호, pp.171-184, 2010.
  32. 김성섭, 김미주, "태국사회에서 한류 대중문화 상품이 한국의 국가이미지 인식과 한국 방문의향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제23권, 제4호, pp.101-125, 2009.
  33. 허중욱, "한류 문화관광객의 소비지출구조에 관한 연구: 삼척시 방문 일본인 관광객 사례를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제20권, 제2호, pp.319-334, 2009.
  34. 이희승, 이희찬, 장세유, "지불의사를 통한 한류 관광의 가치 추정에 관한 연구", 호텔경영학연구, 제17권, 제2호, pp.167-181, 2006.
  35. 이희찬, 양일용, "라스베이거스 한국인 방문객의 관광행동 및 카지노게이밍 수요분석", 호텔경영학연구, 제20권, 제1호, pp.93-111, 2011.
  36. G. S. Maddala, "A Note on the Estimation of Limited Dependent Variable Models under Rational Expection," Economics Letters, Vol.38, No.1, pp.17-23, 1992. https://doi.org/10.1016/0165-1765(92)90155-R
  37. W. Greene, "Econometrics Analysis,"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1993.
  38. 이강욱, "지역산업연관표를 활용한 관광산업의 경제파급효과 분석,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