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복합지구물리탐사에 의한 매립 문화재 위치 추정 분석

Analysis for Reclaimed Cultural Asset Location Estimation with Complex Seismic Survey

  • 장호식 (경남도립남해대학 조선토목계열) ;
  • 노태호 (부경대학교 건설공학부)
  • 투고 : 2012.04.18
  • 심사 : 2012.08.06
  • 발행 : 2012.08.28

초록

매립 문화재 위치 추정에 있어서 비파괴검사인 복합지구물리탐사 방법이 최근에 많이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탐사방법은 건설 현장에서 효율적으로 빠른 시간 내에 매립 문화재 위치를 추정하는데 있어서 가장 합리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과거 매립 문화재가 조성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지역을 대상으로 그 분포 영역을 파악하기 위해 자력변화율탐사, 전기비저항탐사, 지하투과레이더탐사 방법을 병행하여 매립 문화재 위치를 추정하였다. 본 연구대상지역에서의 연구성과로는 도면좌표로 X축 방향으로 약 +15m, Y축 방향으로 약 +90m에 위치하고 있으며, 장축으로 북북동방향으로 약 20m, 폭이 약 5m의 형태로 나타났고, 예상 이상대 발달분포의 심도는 약 1.5~3.0m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와 같은 해석 결과로 향후 매립 문화재 예상 지역 및 발굴작업에 있어서 지구물리탐사 방법을 이용한다면 보다 효율적으로 정확한 측정방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 complex seismic survey, which is nondestructive inspection, is used often recently in estimating the location of reclaimed cultural assets. Such a method is the best way to estimate the location of cultural assets most effectively in a short time at a construction site. This study estimated the reclamation location of a cultural asset by using magnetic gradient survey, earth resistivity survey, and ground penetrating radar survey (GPR) in order to figure out the distribution territory in the area with possibility of creation of reclaimed cultural assets in the past. As a result, it was located at +15m on the X axis and +90m on the Y axis on the floor plane coordinate of the study target area. It was shown that the major axis is about 20m long in the north-northeast direction and the width is about 5m. The depth of development distribution of anomaly zone was estimated as about 1.5~3.0m. Geophysical surve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efficient and accurate way to excavate the reclaimed cultural assets in future.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정호, 손정술, 이명종, 임성근, 조성준, 정지민, 박삼규, "부여지역 유적지 발굴을 위한 3차원 GPR 탐사",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학술발표회 특별심포지옴, pp.49-69, 2004.
  2. 장호식, 김진수, 이종출, "지하레이더를 이용한 유적지 위치 해석",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논문집, 제11권, 제1호, pp.45-49, 2003.
  3. 손호웅, 이강원, 김형수, "고심도 지중매설물의 지하측량을 위한 비파괴 정밀 전자측량", 한국측량학회지, 제21권, 제2호, pp.109-121, 2003.
  4. 김만일, 이창주, 김종태, 김지수, 김사덕, 정교철, "석조문화재 기초지반 파악을 위한 모형지반에서의 탐사기법 적용", 지질공학회지, 제18권, 제4호, pp.537-543, 2008.
  5. 임성근, 김정호, 이윤수, 손정술, 송영수, 유기정, "고고학적인 장소에서 자력탐사의 효율적인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지, 제41권, pp.17-25, 2004
  6. S. Oh and B. Kwon, "Geostatistical approach to Bayesian inversion of geophysical data: Markov chain Monte Carlomethod," Earth Planets Space, Vol.53, pp.777-791, 2001. https://doi.org/10.1186/BF03351676
  7. S. Oh, H. Chung and D. K. Lee, "Geostatistical integration of MT and borehole data for RMR evaluation," Environmental Geology, Vol.46, pp.1070-1078, 2004. https://doi.org/10.1007/s00254-004-1115-z
  8. 오석훈, "측정 범위가 다른 다중 물리 탐사 자료의 지구통계학적 복합 해석", 지구물리와 물리탐사, 제12권, 제4호, pp.309-315, 2009.
  9. 변지환, "효과적인 문화재발굴조사보고서를 위한 편집디자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7권, 제11 호, pp.167-174, 2007. https://doi.org/10.5392/JKCA.2007.7.11.167
  10. 김성호, "RTK 시스템과 3차원 게임엔진을 이용한 실시간 지하 매설물 관리 시스템 개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8호, pp.51-58,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8.051
  11. 유복모, 측량공학, 박영사, 2006.
  12. 이재기, 최석근, 박경식, 측량학II, 형설출판사,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