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search of User's Respondence for Application in Image Achiev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무형문화유산 영상아카이브 활용을 위한 수용자 반응 연구

  • 김미숙 (전북대학교 디자인제조공학과) ;
  • 정성환 (전북대학교 산업디자인과)
  • Received : 2012.07.03
  • Accepted : 2012.07.23
  • Published : 2012.08.28

Abstract

The world focus on enhancing national prestige based on the value of traditional culture and history to preserve cultural heritage that make an effort to popularize in public. Hence, the true issue of paradigm for traditional culture are given at recreation for the value of cultural heritage. To study level of awareness of the importance in cultural heritage, proceed on experimental research for two groups that each group as for professionals and laymen. There are five experiment with two groups that of level of immersion, educational effect, interest, intelligibility score in the documentary in achieve which are recorded image and recorded film. The result of experiments, it showed difference between professionals and laymen, high scored of immersion and intelligibility score in professionals group of recorded image, other highly scored of immersion and educational effect in laymen of recorded film. Consequently, it will need historical recording documents to supply divisively with as considering levels and cognitive situation for professionals and laymen to satisfy their intention. And also, the needs for public to develop various source and contents of heritage to have people's interests. For the expert, it demand on educational projects and contents to be initiated in skills and arts.

최근 전통문화의 패러다임은 무형문화유산의 가치 재창출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무형문화유산의 중요성에 대한 가치인식과 이를 통해 무형문화유산을 기록 보존하고 관리하는 아카이브를 활용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방법의 기초연구이다. 무형문화유산의 중요성에 대한 가치인식을 전문가와 일반인을 구분하여 실증적인 연구를 하였고, 아카이브의 기록물 중 기록영상과 기록영화를 전문가와 일반인을 대상으로 몰입도, 교육효과, 흥미도, 이해도, 행동의지에 대한 수용자 반응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전문가와 일반인의 차이점이 나타났는데. 전문가 집단에서는 기록영상에 대한 몰입도, 이해도가 높게 측정되었으며, 일반인 경우는 기록영화에 대한 몰입도와 교육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전문가와 일반인을 모두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그에 수준에 맞는 기록영상, 기록영화 등을 따로 분리 하여 제작 보급하여야 하며, 일반인들을 위해서는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몰입과 흥미를 갖게 하는 요소가 무엇인지 파악하여 그에 해당하는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하고 전문가를 위해서는 그 기.예능을 전수 받을 수 있는 다양한 교육적인 콘텐츠가 요구 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소현, 무형문화재의 기록화 방안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11, 2010.
  2. 박신영, "커뮤니케이션 메시지 자극에서 문자와 음악이 수용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보, 제24권, 재6호, pp.166-208, 2010.
  3. 안현정, 광고크리에이티브에 있어서 시각적 은유의 수용자 반응에 대한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53, 2007.
  4. 위주영, 무형문화재 기록화와 활용방안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20, 2006.
  5. 이희재, "아카이브의 효율적인 운영과 정리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8권, 제4호, p.233, 2004.
  6. 임승범, "한.일 무형문화유산 연구 I 한․일 무형 문화재 영상기록의 의미", 한일무형문화유산연구소교류보고서, pp.176-187, 2011.
  7. 정수진 "원형의 기록화, 기록의 원형화", 한국민속학회, 제173차 학술발표회, p.138, 2006.
  8. 전홍필, 기록물관리시스템에 대응하는 아카이브의 공간설계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27, 2009.
  9. 최지원, 시.도 지정 무형문화재 무용부문의 가치 인식을 통한 전승방안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95, 2008.
  10. 효키 사토루, "한.일 무형문화유산 연구 I 한국 무형문화재 영상기록의 아카이브화 현황" 한일무 형문화유산연구소교류보고서, pp.159-273, 2011.
  11. 무형문화재 기록화 가이드북, 국립문화재연구소, 2010.
  12. J. A. H. Murray, The Compact Edition of the English Dictionary. Vol.1, Oxford University Press, p.10, 1984,
  13.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12042 #0000
  14. http://www.archives.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