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fluencing Factors on Empowerment Improvement in Health-related College Students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임상실습을 경험한 보건계열 학생들의 임파워먼트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강영한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 박종삼 (대구보건대학교 방사선과)
  • Received : 2012.04.30
  • Accepted : 2012.06.12
  • Published : 2012.07.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uggest proper alternatives of college practice and to do a effective practice in institute of clinical training, through analyze empowerment factors of health-related college students who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The scale of empowerment was consisted of self-esteem, self-control, personal control, major career control, morale for major, growth of knowledge and technique. Reliability of scale(Cronbach ${\alpha}$ value) was .944. Factors of health-related college students' empowerment was related to gender(${\beta}$=-.029), satisfaction to major department(${\beta}$=.194), satisfaction to supervision(${\beta}$=.196), and satisfaction practice class(${\beta}$=.204). As results, to increase empowerment, students have to be content with major and class, supervisor have to make full use of the clinical manual for student and supportive relation with student to be a systematic practice. In college, students have to take an clinical class and sufficient orientations before practice, and assign clinical institution and practical duration that they want.

임상실습을 경험한 보건계열 학생들의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습교육요인과 실습기관요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함으로써, 학교 실습교육에 대한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고, 임상실습기관에서 효율적으로 실습이 이루어지도록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평가하기 위한 임파워먼트 척도는 자아존중감, 자기통제, 대인통제, 전공진로통제, 전공에 대한 사기, 지식 및 기술적 성장으로 구성되었으며, 척도의 신뢰도 Cronbach's ${\alpha}$=.944로 높았다. 보건계열 학생들의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beta}$=-.029), 학과 선택 만족여부(${\beta}$=.194), 슈퍼비전 만족도(${\beta}$=.196), 학교실습수업만족도(${\beta}$=.204) 이었다. 즉 보건계열학과의 학생들의 임파워먼트를 높이기 위해서 학생은 본인의 학과에 만족하며 실습수업에 충실히 임하여야 하고, 슈퍼바이저는 체계적인 실습교육이 될 수 있도록 임상지침서를 충분히 활용하며, 학생들과 지지적인 관계를 형성하여야 한다. 학교에서는 사전에 실습과목이 수강될 수 있도록 하고, 학생들이 원하는 실습기관과 실습기간을 정할 필요가 있고, 실습 전에 충분한 실습 오리엔테이션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조미영, "간호학 실습교육에 대한 국내 연구현황분석",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6권, 제2호, pp.239-248, 2010.
  2. 김학성, "방사선과 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에 관한 연구", 방사선과학회지, 제27권, 제4호, pp.75-83, 2004.
  3. 한수정, "임상실습 시 간호학생이 지각하는 힘 북돋우기(empowerment)와 실습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6권, 제1호, pp.132-146, 2000.
  4. 손수경, 정복례, 정승은, 박진미, 이수연, "간호학생의 임상실습경험",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3권, pp.59-77, 1997.
  5. 양진주, "임상실습시 간호학생이 지각하는 간호 가치관과 실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6권, 제2호, pp.276-286, 2000.
  6. 신성규, 임인철, "방사선과 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와 관련요인", 한국콘텐츠학회, 제10권, 제9호, pp.276-284, 2010.
  7. J. A. Conger and R. N. Kanungo, "The empowerment process: Integrating Theory and Practic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3, pp.471-482, 1988.
  8. D. R. Leslie, C. M. Holzhalb, and T. P. Holland, "Measuring staff empowerment development of a worker empowerment scale," Research on Social Work Practice, Vol.8, No.2, pp.212-222, 1998. https://doi.org/10.1177/104973159800800205
  9. L. H. Staples, "Powerful ideas and empowerment," Administration in social work, Vol.14, No.2, 1990.
  10. 조결자, 강현숙, "일부 간호대학생의 자아개념과 임상실습만족도와의 관계", 간호학회지, 제14권, 제2호, pp.63-74, 1984.
  11. 유광열, 김현수, "대학 방사선학과 학생들의 임상실습에 대한 만족도 현황과 발전방향", 방사선기술과학, 제29권, 제4호, pp.303-310, 2006.
  12. 김영숙, 김명순, 조원순, "간호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자기효능감과 임상실습수행, 학업성취, 전공실습결정과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8권, 제1호, pp.51-61, 2002.
  13. 김영희, "일 대학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교육에 대한 자기효능감, 자기주도성 및 임상실습 만족도와의 관계", 기본간호학회지, 제16권, 제3호, pp.307-315, 2009.
  14. 박예린, 양 수, "간호관리자의 촉진적 의사소통과 간호사의 조직몰입, 직무만족 및 임파워먼트", 정신간호학회지, 제17권, 제3호, pp.342-352, 2008.
  15. 박종선, 박복남. "간호사의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 업무생산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제14권, 제2호, pp.150-158, 2008.
  16. 신선정, 정원균, 김기영, "치과위생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 하위 요인들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구강보건학회지, 제34권, 제4호, pp.525-533, 2010.
  17. 이혜경, "임파워먼트가 치과 의료종사자에게 미치는 영향", 한국치위생교육학회지, 제10권, 제2호, pp.297-309, 2010.
  18. 최민영, 현장실습경험이 사회복지전공학생들의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9. 김주리, "사회사업 실습에 대한 학생의 만족도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2.
  20. 정수경, "사회복지전공학생의 실천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실습지도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56권, 제3호, pp.327-355, 2004.
  21. 문영순, 간호학생이 평가한 수술실 실습 교육의 교수효율성과 실습만족도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22. A. Valle, R. G. Cabanach, J. C. Nunez, J. Gonzalez-Pienda, S. Rodriguez, and I. Pineiro, "Multiple goals, motivation and academic learning," British J. Educational Psychology, Vol.73, No.1, pp.71-87, 2003. https://doi.org/10.1348/000709903762869923
  23. L. Chenoweth, "Facilitating the process of practical thinking for nursing," Nurse Education Today, Vol.18, No.4, pp.281-292, 1998. https://doi.org/10.1016/S0260-6917(98)80045-2
  24. S. V. Dunn and B. Hansford,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perception of their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J Adv Nursing, Vol.25, pp.1299-1306, 1996.
  25. P. Evridiki, L. Ekaterini, T. Haritini, S. Mikko, and L. K. Helena, "Student nurses experience of learning in the clinical environment," Nurse Education in Practice, Vol.10, No.3, pp.176-182, 2010. https://doi.org/10.1016/j.nepr.2009.07.003
  26. D. S. Chan and Y. I. Wan, "Perception of hospital learning environment: A survey of Hong kong nursing students," Nurse Education Today, Vol.27, No.7, pp.677-684, 2007. https://doi.org/10.1016/j.nedt.2006.09.015
  27. D. Lewin,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s for student nurses: Key indices from two studies compared over a 25 year period," Nurse Education in Practice, Vol.7, No.4, pp.238-246, 2007. https://doi.org/10.1016/j.nepr.2006.08.002
  28. I. Papp, M. Marjatta, and B. Mikaela, "Clinical environment as a learning environment: student nurses' perceptions concerning clinical learning experiences," Nurse Educ Today, Vol.23, No.4, pp.262-268, 2003. https://doi.org/10.1016/S0260-6917(02)00185-5
  29. 이여진, "Blended learning을 이용한 임상실습 오리엔테이션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4권, 제1호, 2008. https://doi.org/10.5977/JKASNE.2008.14.1.030
  30. C. Bradbury-Jones, S. Sambrook, and F. Irvine, "The meaning of empowerment for nursing students: a clinical incident study," J Adv Nurs, Vol.59, No.4, pp.342-351, 2007.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7.04331.x

Cited by

  1. Spirituality and Stress of Clinical Practice among Nursing Students vol.13, pp.6,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6.361
  2. Suggestions for a standard clinical practice curriculum and learning objectives for physical therapy education in Korea vol.14, pp.1975-5937, 2017, https://doi.org/10.3352/jeehp.2017.1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