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rent Situation of Psychiatry in North Korean : From the Viewpoint of North Korean Medical Doctors

북한 의사들이 바라보는 북한의 정신의학 현황

  • Kim, Seog-Ju (Center for Korean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Park, Young-Su (Department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Hae-Won (Department of Anthrop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Social Science) ;
  • Park, Sang-Min (Center for Korean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김석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통일의학센터) ;
  • 박영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학교실) ;
  • 이혜원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인류학과) ;
  • 박상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통일의학센터)
  • Received : 2012.04.19
  • Accepted : 2012.05.25
  • Published : 2012.07.01

Abstract

Objective : Psychiatry in North Korea is believed to seem very different from psychiatry in South Korea. However, there is nearly no information regarding psychiatry in North Korea until now. Our study aimed to get information about North Korean psychiatry. Methods : Three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whose clinical experience as medical doctors in North Korea was over 10 years, were recruited. They underwent the semi-structured interview, content of which included the clinical experience with psychiatric patients, the details of psychiatry, the treatment of psychiatric patients, the stigma of mental illness, and the suicide, in North Korea. Results : In North Korea, psychiatric department was called as 49th(pronounced as Sahsip-gu-ho in Korean). Only patients with vivid psychotic symptoms came to psychiatric department. Non-psychotic depression or anxiety disorders usually were not dealt in psychiatry. The etiology of mental illness seemed to be confined to biological factors including genetic predisposition. Psychosocial or psychodynamic factors as etiology of mental illness appeared to be ignored. Psychiatry was apparently separated from political or ideological issues. The mainstay of psychiatric treatment is the inpatient admission and out-of-date therapy such as insulin coma therapy. Stigma over mental illness was common in North Korea. Suicide is considered as a betrayal to his/her nation, and has been reported to be very rare. Conclusion : The situation of psychiatry in North Korea is largely different from that of South Korea. Although some aspects of North Korean psychiatry are similar to psychiatry in former socialist countries, North Korean psychiatry is considered to have also its unique characteristics.

연구목적 : 남북한의 정신의학 체계나 내용이 매우 다를 수 있지만 현재까지 북한의 정신의학에 대한 정보가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의 정신의학의 현황에 대해 알아보려 하였다. 방 법 : 남한에 거주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 중 북한에서 10년 이상 의사 경력이 있던 3명을 면담하였다. 정신건강의학과 환자 진료 경험, 북한 정신의학의 실상, 북한의 정신건강의학과적 치료, 일반 북한 주민들의 정신장애 인식도, 북한의 자살에 대해 반구조화 면담이 진행되었다. 결 과 : 북한의 정신건강의학과는 49호라고 불리며, 대부분 확연한 정신병적 증상이 있는 경우에만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진료를 하였으며, 비정신병적 우울증이나 불안장애는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주로 다루지 않는 편이었다. 정신장애의 병인은 유전적 이유 등 생물학적 요소에 집중되었으며, 사회심리적 요소나 정신역동적 요소는 정신장애의 병인으로 중시되지 않았다. 정치이념적 요소와 정신의학은 별개로 간주되었다. 주로 입원과 생물학적 치료를 시행하였으나, 인슐린 혼수 요법과 같이 상당히 뒤떨어진 치료법이 사용되고 있었다. 사회 전반적으로 정신장애에 대한 편견은 심하였다. 북한에서는 자살을 민족 반역으로 간주하며 자살이 드물었다. 결 론 : 북한의 정신의학 현황은 남한의 정신의학 현황과는 큰 차이를 보였다. 과거 사회주의 국가의 정신의학과 유사한 점이 많지만, 북한 고유의 정신건강의학과적 특성도 가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