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operation and Development Plan of Inter-Korean Logistics on through the Case between China and Taiwan

중국-대만 사례를 통해 본 남북한 물류협력 및 발전 방안

  • 홍동희 (경기과학기술대학교 IT경영학부 e-비즈니스과) ;
  • 이경근 (경기과학기술대학교 IT경영학부 e-비즈니스과)
  • Received : 2012.06.08
  • Accepted : 2012.06.21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On June 29th, 2010, a cross-straits "Economic and Cooperation Framework Agreement" (ECFA) is signed between China and Taiwan. This pact seems to be the greatest step forward on cooperation between the two sides, reflecting China-Taiwan thaw. As these countries are especially economically interdependent, great economic incomes and security benefits are expected for both sides after cooperation. this development of enlightened cooperation between China and Taiwan, gives many implications for Korea, the two divided countries. Recently, rel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is developing in an entirely different situation compared to the former Kim Dae-Jung or Roh Moo-hyun administrations. But exchange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has not been stopped, though reduced. This reflects the necessity of exchange of the north and the south, and this means that making preparation for the efficient conduct of exchange is needed. So in this study, we consider the China-Taiwan exchange and cooperation development carefully as a model for exchange and cooperation of the north and south Korea, and sought realizable ways to exchange and cooperate between the north and south Korea, which is also a win-win strategy for northeast Asia.

2010년 6월 29일 중국 충칭에서 중국과 대만 간의 경제협력기본협정(ECFA)이 서명되었다. 이는 중국과 대만 지역의 교류 협력 중 가장 진일보 한 협력으로서 최근 중국과 대만 간의 해빙무드를 반영한 것이라 생각할 수 있다. 특히 양국은 경제적 상호의존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통합이 이루어지면 큰 경제적 이익을 누릴 수 있고 안보차원에서도 양국 모두에게 이로울 것이다. 이러한 중국과 대만의 진일보된 교류관계의 발전은 분단국가인 한국에게도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특히 최근의 남북한 관계는 김대중, 노무현 정권 시기와는 완전히 다른 형국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남북한의 교류는 이전보다 많이 감소하였으나 중단되지는 않고 있다. 이는 남북 교류의 필요성에 대한 반증이며, 이를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준비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남북한 교류협력을 앞당기고 물류 통합을 위한 사례로 중국과 대만 간의 교류 협력 발전을 고찰하고, 실천 가능하고 동북아시아 상생을 위한 남북한 물류 협력 및 발전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