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한국의 글로벌 과학기술협력 연구 -한국 중소기업의 R&D 국제화 가속방안과 중소기업코디네이터-

Korea's Global Science & Technology(S&T) Agenda -A study on Internationalization of Industrial R&D for Korean SME-

  • 이상윤 (부경대학교 공간정보시스템공학과) ;
  • 윤홍주 (부경대학교 공간정보시스템공학과)
  • 투고 : 2012.07.27
  • 심사 : 2012.08.09
  • 발행 : 2012.08.31

초록

최근 들어 기술협력의 필요성은 세계 각국에서 점점 더 증대하고 있는데, 이러한 기술개발을 위한 국제적 협력은 비용과 위험을 분산시키며, 또한 개발된 기술의 오용을 방지하고, 기업의 해외시장접근을 용이하게 하는 주요한 방법이기 때문이다. 현재 한국의 과학기술외교는 과학과 기술혁신의 기초를 강화하기 위한 관련 기술들을 보장하는데 목적을 두고, 과학기술에 있어서의 국제협력에 중점을 두고 있다. 사실상, 이러한 과학기술 관련 국제협력은 거버넌스 이슈로서, 기업들을 국제화하는 것에 연계되지만, 한국의 중소기업 같은 작은 회사에 있어, 일정기간 동안 보다 우위의 기술적 이점을 유지하는 것은 쉽지 않으며, 나아가 한국의 중소기업은 축적된 정보와 경험이 제한된 이유로 국제 R&D 역시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고자, 본고는 한국 중소기업의 기술적 이점을 유지하는 그리고 과학기술의 국제협력을 강화하는, 역할조정자(혹은 역할자)로서 '중소기업 코디네이터'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안한다. 곧 본고의 '중소기업 코디네이터'는 한국중소기업의 산업에 있어서의 R&D국제화를 위한 국제적인 과학기술협력을 조력하기 위한 목적에서, 적당한 파트너와 능력 있는 종업원에 대한 적합한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닫힌 혁신'이 아닌 '열린 혁신'으로 이끈다.

It is increasing the necessity of technology cooperation between nations, in the world, more and more.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 for the technology development have the dissipating effect of costs and risks and encourage efficient use of the knowledge and eventually help the firms better access overseas market easily. The S&T diplomacy of Korea is, at present, on international S&T cooperation to secure technologies to strengthen base of 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 This tendency is closely related with the governance issue in international S&T cooperation. And This international S&T cooperation is connected with the internationalization of firms. But it is getting more difficult for a firm, especially smaller firm like Korean SME to sustain the technological advantage over any significant period. The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as Korean SME, internationalization of R&D is difficult just to think in terms of one framework with the limited accumulation of informations and experiences. So against that situation, this paper shows a new concept 'SME co-ordinator' as the role client(or player) reinforcing international S&T cooperation, sustaining the technological advantage for Korean SME. And 'SME co-ordinator' leads Korean SME to progress 'open innovation' not 'close innovation' as well as serving adequate information about appropriate partners and capable employer to help manage the international S&T cooperation for Internationalization of Industrial R&D for Korean SME.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욱향, 김나영, "개방형R&D국가를 위한 공동연구의 국제화 방안", 산업자원부, pp. 3-78, 2005.
  2. 이상윤, "기술, 배, 정치", 높은새 출판사, p. 460, 2010.
  3. Royal Society, New Frontiers in Science Diplomacy, pp. 5-14, 2010.
  4. James Rosenau, "Governance in the Twenty-first Century", Global Governance 1, pp.13-43, 1995.
  5. 이상윤, "과학기술과 국제정치:한국의 글로벌 해양전략", 높은새 출판사, pp. 129-130, 2011.
  6. 임영모, 복득규, "개방형 기술혁신의 확산과 시사점", 삼성경제연구소, 575호, p. 5, 2006.
  7. 윤종민, 정승일, 전수범, 장태미, "국제공동연구 성과물관리제도 개선연구", 한국기술혁신학회 춘계학술대회, pp. 5-6, 2009.
  8. 권태완, "국제공동연구사업의 효율적 추진에 관한 연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p. 25-35, 1986.
  9. Chiesa, V., "Global R&D Project Management and Organization: A Taxonomy",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Vol. 17, No. 5, pp. 341-359, 2000. https://doi.org/10.1016/S0737-6782(00)00049-7
  10. 하병조, "연구개발(R&D)분야의 산학연 연계를 통한 기술혁신 네트워크 구축과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경제학박사, pp. 5-31, 2000.
  11. Cloodt, M., J. Hagedoorn, "Trends and patterns in interfirm R&D networks in the global computer industry : an analysis of major developments, 1970-1999", Business History Review, Vol. 80, No. 4, pp. 725-746, 2006. https://doi.org/10.2307/25097267
  12. Brockhoff, K., B. Schmaul, "Organization, autonomy, and success of internationally dispersed R&D facilities", IEEE, Transactions on Engineering Management, pp. 33-40, 1996.
  13. Olk, P., C. Young, "Why membersstay in or leave an R&D consortium: performance and conditions of membership as determinants of continuity",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 18, No. 11, pp. 855-877, 1998.
  14. Katz, L., "An Analysis of Cooperative Research and Development", RAND Journal of Economics, Vol. 17, No. 4, pp. 527-543, 1986.
  15. Narula, R., J.H. Dunning, "Explaining international R&D alliances and the role of governments", International Business Review, Vol. 7, No. 4, pp. 377-397, 1998. https://doi.org/10.1016/S0969-5931(98)00019-5
  16. Narula, R., G. Duysters, "Globalisation and trends in international R&D alliances", Journal of International Management, Vol. 10, No. 2, pp. 199-218, 2004.
  17. Lichtenthaler, U., E. Lichtenthaler, "Alliance functions: implications of the international multi-R&D-alliance perspective", Technovation, Vol. 24, No. 7, pp. 541-552, 2004. https://doi.org/10.1016/S0166-4972(03)00093-2
  18. Hagedoorn, J., "Inter-firm R&D partnerships: an overview of major trends and patterns since 1960", Research Policy, Vol. 31, No. 4, pp. 477-492, 2002. https://doi.org/10.1016/S0048-7333(01)00120-2
  19. OECD, "Main Science and Technology Indicator", Jan. 2008.
  20. 교육과학기술부, "과학기술연감", 한국산업과학기술원, p. 1014,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