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Bronze Artifacts and Gold Ornaments Excavated from Xiongnu Tombs No. 2~4 at Duurlig Nars in Mongolia

몽골 도르릭나르스 흉노 무덤 2~4호분 출토 청동 및 금제 유물 분석

  • Yu, Hei-Sun (Curatorial Affairs Office, Gongju National Museum)
  • 유혜선 (국립공주박물관 학예연구실)
  • Received : 2012.04.12
  • Accepted : 2012.05.31
  • Published : 2012.06.20

Abstract

A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characteristic of bronze artifacts and gold ornaments excavated from Xiongnu tombs No. 2~4 at Duurlig Nars in Mongolia through scientific analysis of them. The Tombs are comparatively small. There were still lots of relics remaining although the tombs had been already robbed. Also the tombs are evaluated important since the origin of them show coexisting of chinese and northern style. First of all, an analysis result about bronze vessels found in this site, they have high lead(Pb) content and relatively low tin(Sn) content, as compared with the Bronze Han Mirror and End-fittings of Bronze Parasol Rib. Especially in case of bronze tray and bronze lamp from the no. 2 tomb and also bronze cauldron from the no. 4 tomb contain only 1wt% of tin which means binary alloy composition(Cu-Pb). Also, in the case of gold ornaments found in the no. 2 tomb, they have comparatively high purity. And the research suppose that the high possibility of that they were used soldering using alloy of Au-Cu or diffused bonding(using malachite and copper oxide) for joining gold grains of gold granulation ornament. Further scientific research and analysis in Mongolia and other countries will provide more clues to solve mystery of Xiongnu culture.

본 연구는 몽골 도르릭나르스 유적 2호, 3호 및 4호분에서 출토된 청동제 및 금제 유물에 대한 과학적 분석 결과로부터 각 유적 출토품의 특징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몽골의 흉노무덤인 도르릭나르스 유적 2호, 3호 및 4호분은 비교적 소형이고, 도굴 된 상태였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유물이 다양하게 출토되었다. 특히 출토 유물에는 중국계 유물과 북방계 유물이 공존하고 있어 매우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먼저 청동 용기류의 경우 중국제인 한경이나 일산살 꼭지의 성분 조성과는 달리 주석에 비하여 납의 함유량이 높은 특징을 보였는데, 특히 2호의 청동쟁반, 청동등잔 그리고 4호의 청동솥의 경우는 주석이 1wt% 정도로 적게 함유되어 있어 Cu-Pb의 2원계 합금 조성을 보였다. 금제품의 경우는 2호분 장식품의 제작에 비교적 높은 순도의 금이 사용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금제 누금 장식의 금 알갱이의 접합에는 금과 구리를 합금한 금땜이 사용되었거나 확산접합(말라카이트나 산화구리 화합물 가루를 사용함)에 의하여 접합했을 가능성이 높았다. 향후 몽골지역 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의 흉노 무덤 출토품에 대한 과학적 조사 및 분석이 더 많이 진행된다면 흉노 문화에 대한 더 많은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Gelegdorj Eregzen, "몽골 흉노 무덤 연구 ".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2. 국립중앙박물관, 몽골 흉노무덤 자료집성. (2008).
  3. 장은정, 황보창서, 윤상덕, "몽골 도르릭나르스 흉노 무덤 발굴조사 보고". 초원의 대제국 흉노-2000년전 무덤의 발굴, 국립중앙박물관, p204-213, (2007).
  4. 유혜선, "국보 제141호 다뉴세문경 성분 조성에 관한 연구". 다뉴세문경 종합조사연구, p102-121,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2009).
  5. McEwan, 2000: 229의 내용을 34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Archaeometry, p189, 2004, Zaragoza, Spain에서 재인용함.
  6. 허우영, "5-6세기 금제 귀걸이 누금세공에 사용된 접합 기법". 삼성미술관 Leeum 연구논문집, 1, p135-143, (2005).
  7. 문환석 외, "재질분석을 통한 제작특성 연구". 감은사지 동삼층 석탑 사리장엄, 국립문화재연구소, p154-171, (2000).
  8. 유혜선, 윤은영, "횡혈식석실 출토 금제태환이식의 성분 조성 및 금립세공기법". 경주 보문동합장분, p106-117, (2011).
  9. Christiane Eluere, Secrets of Ancient Gold. p163-207, Trio,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