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Selection and Measures of the Apprehensive Areas of Soil Loss in the So-ok Stream Watershed

소옥천유역 토양유실 우심지역 선정 및 대책에 관한 연구

  • Jeong, Dong-Hwan (Geum-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 Kim, Haejung (HydroCore Ltd.) ;
  • Lee, Young Joon (Geum-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 Hong, Sunhwa (Geum-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 Yoon, Johee (Geum-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 Choi, Heelak (Geum-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 Cho, Hong-Lae (HydroCore Ltd.)
  • 정동환 (국립환경과학원 금강물환경연구소) ;
  • 김해정 ((주)하이드로코어) ;
  • 이영준 (국립환경과학원 금강물환경연구소) ;
  • 홍선화 (국립환경과학원 금강물환경연구소) ;
  • 윤조희 (국립환경과학원 금강물환경연구소) ;
  • 최희락 (국립환경과학원 금강물환경연구소) ;
  • 조홍래 ((주)하이드로코어)
  • Received : 2012.06.02
  • Accepted : 2012.08.13
  • Published : 2012.10.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find out critical areas of a soil loss and propose feasible measures to reduce the water quality deterioration by a soil lose. As a study area, the So-ok stream catchment locating at the upper area of Daecheong Reservoir is selected and intensive field observation was carried out. RUSLE model is applied to assess the impact of the pollution migration by a soil ross from the critical areas during storms on the water quality of Chusori embayment. As results, total amount of the soil ross assessed against to the critical area on which major type of land use is a orchard for fruits is 54.3 ton/ha/yr and that of an abandoned mine site is about 200 ton/ha/year. In particular as effective measures, a plantation of an appropriate species of fruit trees and an application of ecologic restoration schemes are proposed against to the orchard and the abandoned mine site, respectively.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1992, 댐설계를 위한 유역단위 비유사량 조사연구.
  2. 곽동욱, 조기성, 2006, 유역특성을 고려한 GIS 기반 토양침식량 평가, 한국측량학회지, 24(1), 89-97.
  3. 곽한강, 2005, 전국 토양 침식 위험성 평가, 농업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4. 금강물환경연구소, 2011a, 2010년 대청호 및 보령호 조류예보제 운영보고서.
  5. 금강물환경연구소, 2011b, 대청호 및 보령호 수질관리를 위한 조류발생 억제방안 연구.
  6. 김민경, 허승오, 권순익, 2010, 우리나라 강우량 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밭토양의 토양유실량 변화 예측, 한국토양비료학회지, 43(6), 789-792.
  7. 김영진, 남경필, 유찬, Tammo, S., 2007, 축산폐수 처리용 초생대의 인 제거효율에 관한 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782-785.
  8. 김익재, 이병국, 최지용, 한대호, 2007, 수생태계보호를 위한 토사관리 방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9. 김주훈, 김경탁, 이효정, 2009, 한국토양유실량 및 토양유실위험 지역 분석, 한국GIS학회지, 17(3), 261-268.
  10. 김주훈, 오덕근, 2004, 빈도별 R인자에 의한 토양침식 위험지역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7(2), 47-56.
  11. 박경훈, 2003, GIS 및 RUSLE 기법을 활용한 금호강 유역의 토양침식위험도 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6(4), 24-36.
  12. 박의정, 김철, 김윤환, 2005, RUSLE와 MUSLE를 이용한 토사유출량 비교분석, 대한토목학회학술대회 논문초록집, 315-318.
  13. 박종근, 2005, 대청호의 남조세균 수화발달 특성, 한국환경생물학회지, 23(3), 304-314.
  14. 박지상, 김건하, 2006, RUSLE 모델을 이용한 금강유역의 토지 이용별 토사유출량 추정, 한국물환경학회지, 22(4), 619-625.
  15. 신계종, 1999, 지형공간정보체계를 이용한 유역의 토양유실 분석, 강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신재기, 김동섭, 이혜근, 맹승진, 황순진, 2003, 옥천천(만) 유역 하천과 만입부의 수환경 평가. 한국하천호수학회지, 36(2), 181-190.
  17. 오정학, 유주한, 김경태, 이우성, 2011, RUSLE 기법을 이용한 경주지역의 토양침식 위험도 평가, 환경영향평가, 20(3), 313-324.
  18. 오정학, 정성관, 2005, 토지자원관리를 위한 낙동강 유역의 잠재적 토양유실량 산정, 농촌계획, 11(2), 9-19.
  19. 오희목, 김도한, 1995, 대청호의 남조류 수화발생에 대한 단기간적 예측. 한국육수학회지, 28, 127-135.
  20. 유순주, 황종연, 채민희, 김상용, 2006, 대청호 유속에 다른 조류이동 영향, 한국물환경학회지, 22(5), 887-894.
  21. 윤용남, 2007, 수문학의 기초와 응용, 경기도: 청문각
  22. 이계준, 박철수, 이정태, 장용선, 진용익, 황선웅, 2005, 고랭지 무재배지에서 호밀과 옥수수초생대 설치에 의한 토양유실 경감 효과,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2, 125-125.
  23. 이근상, 장영률, 조기성, 2003, 토양침식량 산정에서 토양도 축척에 따른 적정 해상도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6(3), 1-10.
  24. 이환주, 김환기, 2001, GSIS 공간분석을 활용한 토양침식 모형의 입력인자 추출에 관한 연구, 한국측량학회지, 19(1), 27-37.
  25. 장영률, 이근상, 조기성, 2002, GIS 기반에서 토양침식의 정량화를 위한 해상도 결정에 관한 연구, 한국GIS학회지, 10(2), 301-316.
  26. 조홍래, 정종철, 2005, RUSLE와 SEDD를 이용한 고랭지 경작지로부터의 토양유실 평가, 한국GIS학회지, 13(1), 79-90.
  27. 호소수질연구소, 1993, 호소 만입부에서의 조류 대량증식 제어기술 개발(III), 국립환경과학원.
  28.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1996, Preceeding soil erosion by water : A guide to conservation planning with the 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RUSLE),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29. Desmet, P. and Govers, G., 1996, A GIS procedure for automatically calculating the USLE LS factor on topographically complex landscape units, Journal of Soil and Water Conservation, 51(5), 427-433.
  30. Nearing, M.A., 1997, A single, continuous function for slope steepness influence on soil loss, Journal of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61(3), 917-919. https://doi.org/10.2136/sssaj1997.03615995006100030029x
  31. OECD, 2001, Environmental indicators for agriculture. Vol.3: Soil quality, 197-226, Paris.
  32. Toxopeus, A.G., 1996, ISA: An ineractive spatial and temporal modeling system as a tool in ecosystem management, Ph.D. Thesis, ITC.
  33. Wischmeier, W.H. and Smith, D.D., 1958, Rainfall energy and its relationship to soil loss, Trans. Am. Geophys. Union, 39, 285-291. https://doi.org/10.1029/TR039i002p00285

Cited by

  1. Assessment of soil loss in South Korea based on land-cover type vol.29, pp.8, 2012, https://doi.org/10.1007/s00477-015-102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