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곽승훈, 정훈용, 김창환, 길봉섭, 1991, 변산반도 국립공원의 식생, 한국생태학회지, 14(2), 181-194.
- 국립수목원, 한국식물분류학회, 2007, 국가표준식 물목록, 국립수목원.한국식물분류학회.
- 길봉섭, 1990, 변산반도 국립공원의 식물상, 원광대학교 논문집, 24, 443-480.
- 김석규, 2011, 도시지역 곰솔림의 식생복원모델, 환경영향평가, 20(2), 151-162.
- 김유신, 2012, 백두대간 괘병산, 갈미봉 일대의 식물상과 식생,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김인택, 정선우, 2001, 와룡산의 식물상과 곤충상, 환경연구논문집, 1(1), 1-11.
- 김창환, 명현, 2008, 주암호 복내천 인공습지 조성 후 4년간의 식물상 변화연구, 한국환경복원 기술학회지, 11(5), 25-37.
- 김철환, 2000, 자연환경 평가-I. 식물군의 선정-, 환경생물, 18(1), 163-198.
- 김하송, 2011, 신안군 칠발도 식물상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연구, 23(4), 183-192.
- 김하송, 이점숙, 2009, 한국 서.남해안 염습지 복원을 위한 자원식물 분포 특성, 한국도서연구, 21(1), 79-91.
- 김한수, 오충현, 2011, 우리나라 농촌마을 경관생태 학적 특성에 따른 귀화식물 분포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5(3), 389-403.
- 남정칠, 서정범, 조국희, 김석규, 2010, 금정산성 등 산로 주변 식생의 생태적 특성 평가, 환경영향평가, 19(6), 527-537.
- 노재현, 2008, 국내 야생 난과식물(Orchidaceae) 의 희귀성 평가, 한국녹지환경디자인학회지, 4(3), 6-12.
- 박광래, 강방훈, 최재웅, 김창환, 2010, 농업생태계 의 서식지 질 지표 개발을 위한 식생분석, 한국토양비료학회지, 43(6), 1040-1046.
- 박선주, 송임근, 박성준, 임동옥, 2010, 독도의 식물상과 식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4(3), 264-278.
- 박성준, 안보람, 장순영, 박선주, 2011, 무제치늪 식물상의 다양성, 한국식물분류학회지, 41(4), 370-382.
- 박수현, 2009, 세밀화와 사진으로 보는 한국의 귀화식물, 일조각.
- 박용진, 유기억, 1998, 경포도립공원 일대의 관속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2(3), 224-235.
- 방광자, 김광두, 강현경, 주진희, 2004, 제주도의 상록양치식물 자생지 환경특성 및 식생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7(3), 64-72.
- 백원기, 1999, 특산식물의 현황과 21세기 우리의 책무, 한국식물분류학회지, 29(3), 263-274.
- 변무섭, 오현경, 2007, 석불산 일대의 관속식물분포와 군락 분류, 한국자원식물학회지, 20(5), 375-382.
- 송종석, 1996, 우리나라에 있어서 식물상과 식생과 관련한 환경영향평가의 문제점-송라골프장 사업예정지구의 사례연구에서-, 안동대학교 기초과학 연구논문집, 7, 91-100.
- 심현보, 조원범, 최병희, 2009, 한반도 해안염습지와 사구 염생식물 분포, 한국식물분류학회지, 39(4), 264-276.
- 오충현, 최일기, 이은희, 임동옥, 2010, 전주지역비 오톱 유형별 귀화식물의 분포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4(1), 37-45.
- 오현경, 변무섭, 2006, 전주 도심 하천의 귀화식물 현황과 환경지수 분석, 환경생물, 24(3), 248-257.
- 오현경, 사공정희, 유주한, 2011, 계룡시에 분포하는 귀화식물과 환경지수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5(4), 479-489.
- 오현경, 신현탁, 2007, 인천 송도임해매립지의 자원식물상과 귀화식물 분포현황, 한국자원식물학회지, 20(4), 312-320.
- 오현경, 임동옥, 김용식, 2009, 변산반도국립공원의 귀화식물 분포특성 및 관리대책,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3(2), 105-115.
- 유주한, 2005, 퍼지이론을 도입한 생태계 평가지표 선정 및 우선순위 결정,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유주한, 박경훈, 정성관, 2005, 환경친화적 국토보전을 위한 자연생태계 평가요인 및 평가지표의 중요도에 관한 연구, 환경영향평가, 14(4), 165-177.
- 이경림, 문성기, 이정훈, 2011, 부산광역시 장산의 식물상, 한국환경과학회지, 20(4), 443-455.
- 이석우, 김선창, 김원우, 한상돈, 임경빈, 1997, 희귀수종 모감주나무 자생집단의 잎의 형태적 특성, 식생특성 및 유전변이, 한국임학회지, 86(2), 167-176.
- 이유미, 박수현, 정수영, 오승환, 양종철, 2011, 한국내 귀화식물의 현황과 고찰, 한국식물분류학회지, 41(1), 87-101.
- 이정희, 2005, 생태 및 가시특성에 기초한 봉명산 군립공원 경관평가, 진주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창복. 2003, 원색 대한식물도감(상, 하), 향문사.
- 이호준, 1985, 외나로도 식생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건국대학교 이학논집, 10, 51-85.
- 이호준, 이재석, 전영문, 정흥락, 강재구, 방제용, 류병혁, 1993, 조종천 상류 인접지역의 식생, 이학논집 18, 87-108.
- 이희천, 제갈은기, 임동옥, 2011, 내장산국립공원 일대의 특정식물과 귀화식물,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5(3), 267-283.
- 임동옥, 김용식, 이희천, 2008, 북한산국립공원의 특정식물과 그 보전대책,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2(2), 138-144.
- 임동옥, 김하송, 박문수, 2009, 전남 북부지역의 귀 화식물 분포 및 관리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3(6), 506-515.
- 임동옥, 제갈은기, 최현우, 황인천, 2010, 태안해안 국립공원 일대의 특정식물과 귀화식물, 한국환경생태학회, 24(2), 117-129.
- 임양재, 전의식, 1980, 한반도의 귀화식물 분포, 한국식물학회지, 23(3-4), 69-83.
- 장창석, 양선규, 박민수, 김기홍, 서상원, 오병운, 2011, 소백산 국립공원의 관속식물상, 한국식물분류학회지, 41(4), 398-414.
- 정승선, 이강협, 여경택, 2006, 광릉숲 양치식물의 분포와 생활형,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9(5), 592-597.
- 정재민, 홍경낙, 2006, 우리나라 무인도서의 귀화 식물 분포에 대한 섬생물지리적 연구, 한국 생태학회지, 29(6), 489-494.
- 조동길, 2011, 생태복원계획.설계론, 넥서스환경 디자인연구원.
- 조우, 한봉호, 최진우, 노태환, 2011, 원주시 도시 거점산림과 잔존산림의 식생구조 비교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5(5), 767-786.
- 지성진, 정수영, 장진, 장정원, 이철호, 양종철, 박명 순, 정규영, 2011, 청태산 지역(강원도 평창 군)의 식물상, 한국식물분류학회지, 41(4), 415-428.
- 한국양치식물연구회, 2005, 한국양치식물도감, 지오북.
- 한종원, 김현준, 강신호, 박정미, 장창기, 2010, 양 산시(경상남도) 중.북부 일대의 관속식물 분포와 자원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자원식물학회지, 23(4), 274-292.
- 한준수, 이혜정, 이우철, 유기억, 2008, 춘천 동북부 지역의 식물상과 식생, 한국자연보호학회지, 2(2), 104-103.
- 환경부, 2006,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지침, 환경부.
- 환경부, 2009, 생태계교란야생동.식물자료집, 환경부.
- http://www.nature.go.kr
- http://www.sacheon.go.kr
Cited by
- 사찰림에 분포하는 식물상을 이용한 식물생태지수 분석 vol.23, pp.4, 2014, https://doi.org/10.14249/eia.2014.23.4.251
- Study on Flora of Specially Protected Area in the Cheoneun Reservoir, Jirisan National Park for Management of Forest Recreation and Natural Resource vol.18, pp.4, 2012, https://doi.org/10.34272/forest.2014.18.4.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