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Modern Korean Costumes on Kisan Genre Painting

기산풍속화를 통하여 본 한국 근대복식 고찰

  • Lee, Ho-Jung (Dept. of Fashion design, Sungkyunkwan University) ;
  • Cho, Woo-Hyun (Dept. of Fashion design, Sungkyunkwan University)
  • Received : 2011.05.09
  • Accepted : 2012.04.09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This study is intended to understand the styles, colors and color arrangements of costumes expressed on Kisan Kim Jun-geun's genre paintings of Joseon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paintings vary according to the status and gender of the person wearing the costume as well as the time period and different situations the person belongs to. Also,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aning and value of Kisan's paintings in terms of the history of Korean costumes.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basic and common attire for people of all status and class is the jeogori(jacket), baji(pants) for men and Banhoijang jeogori, chima(skirt) for women. Men wear Po(coat) that represents their status and age, and they put on various hats according to different weather conditions or work-skill even when in the same status and class. However, women wear the Baeja(vest), Durumagi(coat) and head-dresses when they are cold. Overall, the costume patterns and shapes that appear on Kisan's paintings show the same patterns and structures when compared to different data during the same time period. Thus, they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help not only understand the changes of patterns and structures of costumes, but also the situations and emotions of the people of that time period. Moreover, it can be understood that various colors and color arrangements that reflect the situations and emotions of the late 19th century were used. This study that analyses the colors and color arrangements used in Kisan's genre paintings can provide the very basic and systematically arranged data to help understand the unique colors in Korea. These data can also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to understand the use of dyes and pigments during that time. Therefore, Kisan's genre paintings are meaningful and valuable in terms of the history of Korean costumes for these are the data, from which we can review the costumes, colors and color arrangements in the years from 1890 to 1910.

Keywords

References

  1. 정병모 (2000), 한국의 풍속화 (제 1판), 서울: 한길아트, pp. 387-426.
  2. 박효은 (2007), 근대전환기 개항장의 조선화가 김준근, 한국기독교박물관 소장 기산풍속도 연구,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제 4회 매산기념강좌, p. 5.
  3. 정병모 (2000), 한국의 풍속화 (제 1판), 서울: 한길아트, pp. 420-426.
  4. 조흥윤 (2004), 민속에 대한 기산의 지극한 관심 (초판), 서울: 민속원, pp. 5-20.
  5. 장계수 (2003), 기산 김준근의 풍속화 연구: 프랑스기메국립동양박물관 소장품을 중심으로, 생활문물연구, 10, pp. 127-159.
  6. 정형호 (2008), 기산 김준근의 풍속화에 나타난 민속적 특징, 중앙민속학, 13, pp. 179-224.
  7. 신선영 (2006), 기산 김준근 풍속화에 관한 연구, 미술사학, 20, pp. 105-141.
  8. 김수영 (2007), 수출회화로서 기산 김준근 풍속화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조은희 (2010), 개항장의 풍속화가 기산(箕山) 김준근(金俊根)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정혜정, 최수진 (2004), 기산 김준근의 풍속화를 통해 본 조선후기 복식색에 대한 연구, 한복문화, 7(2), pp. 55-62.
  11. 이윤경 (2007), 기산풍속도에 나타난 복식 연구-독일함브르크본과 프랑스 기메본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William R. Carles (1888), Life in Corea, London: Macmillan Co. (30)
  13. HEINRICH F. J. JUNKER (1958), KI-SAN ALTE KOREANISCHE BILDER, LANDSCHAFTEN UND VOLKSLEBEN. (44)
  14. Stewart Culin (1895), Korean Games-With Notes on the Corresponding Games og China and Japan,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22)
  15. 국립문화재연구소 외 편 (1999), 프랑스 국립기메동양 박물관 소장 한국문화재, pp. 101-143. (170)
  16. 한국국제교류재단 편 (1991), 유럽박물관소장 한국문화재, pp. 271-273. (네덜란드 라이덴 국립민속박물관, 10)
  17. 조흥윤 (2000), 그림으로 본 19세기 한국풍속과 민중의식 (초판), 서울: 완자무늬. (W. Danzel, 18)
  18. 한국국제교류재단 편 (1991), 유럽박물관소장 한국문화재, pp. 274-277. (대영 박물관, 13)
  19. 한국국제교류재단 편 (1991), 유럽박물관소장 한국문화재, pp. 278-282. (영국 도서관, 20)
  20. 한국국제교류재단 편 (1991), 유럽박물관소장 한국문화재, pp. 261-270. (덴마크 국립박물관, 55)
  21. A. E. J. Cavendish (1894), Korea and the Sacred White Mountain, London: GEORGE PHILIP & SON. (18)
  22. 조흥윤 (2000), 그림으로 본 19세기 한국풍속과 민중의식 (초판), 서울: 완자무늬. (Konsul H.C Eduard Meyer, 61)
  23.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편 (2008 a), 기산 김준근 조선풍속도-김양선 수집본, 서울: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100)
  24. 청계천 문화관 편 (2008), 기산풍속도- 그림으로 남은 100년 전의 기억, 씨티파트너. (98)
  25.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편 (2008 b), 기산 김준근 조선풍속도-스왈른 수집본, 서울: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124)
  26. 국립문화재연구소 외 편 (2002), 모스크바 국립동양박관 소장 한국문화재, pp. 70-90. (42)
  27. 국립중앙박물관 편 (2002), 조선시대 풍속화, p. 243. (2)
  28. 박효은 (2008), 기산풍속도의 미술사적 해제, 기산 김준근 조선풍속도-매산 김양선 수집본, 서울: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p. 119.
  29. 정형호 (2008), 기산 김준근의 풍속화에 나타난 민속적 특징, 중앙민속학, 13, p. 221.
  30. 정형호 (2008), 기산 김준근의 풍속화에 나타난 민속적 특징, 중앙민속학, 13, p. 218.
  31. 조효순 (1988), 한국복식풍속사연구, 서울: 일지사, p. 301.
  32. 조효순 (1988), 한국복식풍속사연구, 서울: 일지사, p. 302.
  33. 조효순 (1988), 한국복식풍속사연구, 서울: 일지사, p. 306.
  34. 한국국제교류재단 편 (1991), 유럽박물관소장 한국문화재, p. 264. (덴마크 국립박물관, 55)
  35. 국역 사례편람 (2003), 서울: 명문당, pp. 39-66.
  36. 조효순 (1988), 한국복식풍속사연구, 서울: 일지사, pp. 280-300.
  37. 한국국제교류재단 편 (1991), 유럽박물관소장 한국문화재, p. 263. (덴마크 국립박물관, 55)
  38. 김정자 (1998), 한국 군복의 변천사, 서울: 민속원, p. 307.
  39. 국립문화재연구소 외 편 (2002), 모스크바 국립동양박관 소장 한국문화재, pp. p. 87.
  40.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편 (2008 b), 기산 김준근 조선풍속도-스왈른 수집본, 서울: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p. 49.
  41.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편 (2008 b), 기산 김준근 조선풍속도-스왈른 수집본, 서울: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p. 53.
  42.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편 (2008 b), 기산 김준근 조선풍속도-스왈른 수집본, 서울: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p. 83.
  43.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편 (2008 b), 기산 김준근 조선풍속도-스왈른 수집본, 서울: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p. 102.
  44. 조흥윤 (2004), 민속에 대한 기산의 지극한 관심 (초판), 서울: 민속원, p. 61.
  45. 박춘순, 이호정, 조우현 (2009), 근대이후 여자저고리 실물의 색채와 배색에 관한 연구, 복식, 59(2), p. 2.
  46. 이미경 (1999), 조선시대 풍속화에 나타난 복색 특성에 관한 연구 -단원과 혜원의 작품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66-75.
  47. 조은희 (2010), 개항장의 풍속화가 기산(箕山) 김준근(金俊根)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86-87.
  48. 조은희 (2010), 개항장의 풍속화가 기산(箕山) 김준근(金俊根)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26.
  49. 박효은 (2008), 기산풍속도의 미술사적 해제, 기산 김준근 조선풍속도-매산 김양선 수집본, 서울: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p. 118.
  50. 조흥윤 (2000), 그림으로 본 19세기 한국풍속과 민중의식 (초판), 서울: 완자무늬. p. 244.
  51. 국립민속박물관 편 (2006), 1906-1907 한국.만주.사할린 독일인 헤르만 산더의 여행, 서울: 국립민속박물관, p. 191.
  52. 김순영 (2010), 개화기의 염료와 염색업에 관한 연구, 복식, 60(9), p. 82.

Cited by

  1.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aximalism in Men's wear vol.65, pp.5, 2015, https://doi.org/10.7233/jksc.2015.65.5.001
  2. 근대 유물을 통하여 본 여자한복의 전통색 vol.62, pp.8, 2012, https://doi.org/10.7233/jksc.2012.62.8.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