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irector Oshii Mamoru's Recognition and Representation of Modern World Shown in

<스카이 크롤러>를 통해 본 오시이 마모루 감독의 '현대세계' 재현과 인식

  • 문재철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예술학과 애니메이션이론 전공) ;
  • 박남기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예술학과 애니메이션이론 전공)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Oshii Mamoru attempts to project the perception of reality about his own modern world as it is through animation. The precedent studies on Oshii Mamoru put their focus on the point that his works have a tendency to represent the devastation of reality as the image of 'a ruin.' In addition, they gave an impression that Oshii Mamoru's animation has gradually developed to expose the 'realistic taste[beauty]' from the design perspective. However, this study is going to put its focus on the point that Mamoru's works were created as an attempt at finding the subversive possibility of the suppressed modern world under the modern capitalism in the aspect of 'everyday life' of the modern world. First, for its analytical purpose, this study intends to do that by dividing the work into the three layers such as space, body and everyday life. In Chapter II, this study, in relation with the issue of 'space' representation, analyzed the space in into the modern, mechanical, compactly capitalized space and also the space just like a closed circuit having the nature of 'repetition.' In Chapter III, this analyzed that suggests the body moving freely between a human named 'Kildren' and the inhuman from the aspect of character's body, through which Mamoru represents the capitalized, reified body of the modern world. In addition, this analyzed the extreme anxiety facing the body into the reflection of the phenomena of 'anxiety' and 'placelessness' consequent on the labor flexibility of the modern world. In Chapter IV, this study,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of layers of space & body, analyzed that the 'everyday life' of the modern world was represented in the respects of 'memory' and 'habit', and in the aspects of Mise-en-Sc$\grave{e}$ne, design and direction. In Chapter V, this rooted out the fact that Mamoru suggested the attempt at 'appropriation' based on his perception of reality about such a modern world. Such a finding includes unearthing the fact that Oshii Mamoru's work is raising a question about how to desert and appropriate the modern space. In conclusion of Chapter VI, this drew the conclusion that Oshii Mamoru's work represented the layer of 'everyday life' while dealing with the post-modern themes shown by the existing modern SF genre, provided the 'window' through which people can perceive the 'modern world radically by recommending an attempt at 'appropriation', and blazed a trail in a new realm of creation for animations.

오시이 마모루에 대한 연구는 대체로 그의 작품들이 현실의 황폐함을 '폐허'의 이미지로 재현하고 있다는데 집중해 왔다. 또 오시이 마모루의 애니메이션이 점점 디자인적으로 '현실미'를 드러내기 위해 발전해 갔다고도 주장해 왔다. 그러나 본 연구는 그의 작품이 근대적 자본주의의 억압된 '현대세계'를 벗어날 수 있는, 전복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음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스카이 크롤러>(The Sky Crawlers)를 공간, 신체, 일상성 세 가지 층위로 나누어 분석했다. 2장에서는 <스카이 크롤러>의 공간이 근대적이고 기계적인 빈틈없이 자본화된 공간이자 '반복'의 성질을 지닌 폐쇄된 회로와 같은 공간임을 분석했다. 3장에서는 캐릭터 신체의 측면에서 <스카이 크롤러>가 '키르도레'(Kildren)라는 인간과 비인간의 사이에서 유동하는 신체를 제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현대세계의 자본화되고 물화된 신체를 재현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 그 신체가 처한 극단적 불안이 현대세계의 노동 유연화에 따른 '불안'과 '장소상실' 현상을 반영하고 있음을 밝혀 보았다. 4장에서는 미장센과 디자인 그리고 연출의 측면에서 현대세계의 '일상성'이 신체에 남긴 '기억'과 '습관'의 측면을 분석했다. 5장에서는 이런 현대세계에 대한 현실 인식을 바탕으로 오시이 마모루가 근대공간에서 어떻게 '도주'하고자 하는가를, 근대적 일상을 어떻게 '전유'하려 하는지를 살펴보았다. 6장 결론에서는 이러한 오시이 마모루의 작품이 지닌 의미와 가치를 해석해 보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기 드보르, 스펙타클의 사회, 현실문화 연구, 1996.
  2. 김준양, 이미지의 제국 일본 열도 위의 애니메이션, 한나래, 2006.
  3. 김필호, 탈주의 공간을 위하여, 푸른숲, 1997.
  4. 다비드 르 브르통, 홍성민 역, 근대성과 육체의 정치학, 동문선, 1990.
  5. 데이비드 하비, 구동회.박영민 역, 포스트모더니티의 조건, 한울, 1989.
  6. 데이비드 하비, 최병두.이상율.박규택 역, 희망의 공간: 세계화, 신체, 유토피아, 한울, 2000.
  7. 류우동, 아니메의 시인 오시이 마모루, 백산출판사, 2005.
  8. 미셸 푸코, 오생근 역, 감시와 처벌, 감옥의 역사, 나남, 1994.
  9. 스티븐 J. 볼.제임스 D. 마샬.케이스 호스킨.데이브 존스, 이우진 역, 푸코와 교육_푸코를 통해 바라본 근대교육의 계보학, 청계, 2007.
  10. 아르놀트 하우저, 백낙청 역,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창작과 비평사, 1999.
  11. 안토니오 네그리.마이클 하트, 윤수종 역, 제국, 이학사, 2002.
  12. 앙리 르페브르, 양영란 역, 공간의 생산, 에코리브르, 2011.
  13. 앙리 르페브르, 박정자 역, 현대세계의 일상성, 기파랑, 2005.
  14. 에드워드 렐프, 김덕현.김현주.심승희 역,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05.
  15. 에드워드 소자, 이무용 외 역, 공간과 비판사회이론, 시각과 언어, 1997.
  16. 오시이 마모루, 황상훈 역, 블러드 더 라스트 뱀파이어, 야수들의 밤, 황금가지, 2000.
  17. 요모타 이누히코, 강태웅 역, 일본영화의 래디컬한 의지, 소명출판, 2011.
  18. 이진경, 근대적 시.공간의 탄생, 그린비, 2010.
  19. 이진경 편저, 모더니티의 지층들, 그린비, 2007.
  20. 장 보드리야르, 이상률 역, 소비의 사회, 그 신화와 구조, 문예출판사, 1991.
  21. 홍은영, 푸코와 몸에 대한 전략, 철학과 현실사, 2004.
  22. 요코타 마사오.코이데 마사시.키후네 도쿠미츠, 오시이 마모루의 장편 애니메이션에 있어서의 자폐적 세계로부터 엔터테인먼트로, 만화애니메이션연구, 통권9호(2005), pp.336-352.
  23. 최민규, "일본 애니메이션에서 보여지는 리얼리즘의 특성연구: 콘 사토시 감독의 작품을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05,2).
  24. 정한석, 공중격투신에서 전혀 새로운 카메라 기법을 사용했다, 씨네21, 2008년 10월 5일(672호), http://www.cine21.com/do/article/article/typeDispatcher?mag_id=53259&page=1&menu=&&keyword=&sdate=&edate=&reporter=.
  25. <공각기동대> (Ghost In The Shell, 1995).
  26. <달로스> (Dallos, 1983).
  27. <블레이드 러너> (Blade Runner, 1982).
  28. <스카이 크롤러> (The Sky Crawlers, 2008).
  29. <아바론> (Avalon, 2001).
  30. <인랑> (Jin-Roh, The Wolf Brigade, 1999).
  31. <천사의 알> (Mystical Egg Of The Angels, Angel's Egg, 19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