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Bryson, H. Norman, A. Michael, and K. Moxey, Visual Culture: Image and Interpretations, Hanover and London: Wesleyan University Press. 1994. (엄묘섭, "시각문화의 발전과 루키 즘", 문화와 사회 통권 5권, p.76, 2008, 재인용.)
- 엄묘섭, "시각문화의 발전과 루키즘", 문화와 사회 통권 5권, p.76-77, 2008,
- 최수영, "시각문화 속 미적 체험에 관한 매체적 고찰",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Vol.23, p.276.
- 최수영, "시각문화 속 미적 체험에 관한 매체적 고찰",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Vol.23, p.287.
- 최수영, "시각문화 속 미적 체험에 관한 매체적 고찰",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Vol.23, p.279.
- 김기덕, 신광철, "문화․콘텐츠․인문학", 문화콘텐츠 입문, 인문콘텐츠 학회, 북코리아, p.24, 2006.
- 정창권,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북코리아, p.17, 2009.
- 정창권,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북코리아, p.24, 2009.
- 한글학회, 우리말 큰 사전, 1991.
-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 조은예, 최인수, "재미에 관한 아동의 암묵적 지식과 플로우와의 관계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p.118, 2008.
- Izard, E. Carroll, The Psychology of Emotion, New York: Plenum Press. (재인용, 이재록․구혜경, "재미(Fun) 광고 효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제9-3호, p.223, 2007.)
- 고동우, "여가 경험의 변화 과정: 재미진화모형",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 논문집, p.466, 2002.
- J. F. Herbart, General theory of pedagogy, derived from the purpose of education. In J. F. Herbart(Ed.), Writing on education, 2, pp.9-155. 참조
- J. Dewey, Interest and effort in education, NY: Houghton Mifflin Company참조
- M. Csikszentmihalyi, Creativity Flow and the psychology of discovery and invention, NY: Harper Collins, 1996.
- 윤홍미, 안신호, 이승혜, "우리를 즐겁게 하는 것들: 재미 유발요소에 대한 탐색적 연구", '96연차대회 학술발표논문집, 한국심리학회, p.492. 1996.
- D. E. Berlyne, "Novelty and curiosity as determinants of exploratory behaviorm,"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Vol.41, 1950, pp.68-80. 재인용, ibid., p.495.
- D. E. Berlyne, "Novelty and curiosity as determinants of exploratory behaviorm,"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Vol.41, 1950, pp.68-80. 재인용, ibid., p.494.
- 조은예, 최인수, "재미에 관한 아동의 암묵적 지식과 플로우와의 관계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p.119, 2008.
- 조은예, 최인수, "재미에 관한 아동의 암묵적 지식과 플로우와의 관계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p.120, 2008.
- 김은영, "감정동사 유의어의 의미연구-즐겁다, 무섭다의 유의어를 중심으로", 한국어 의미학, Vol.14, pp.121-147, 2004.
- W. Kintsch, "Learning from Text Levels of Comprehension, or: Why Would Read a Story Anyway," Poetics, Vol.9, No.1, 1980, pp.7-98. 재인용, 이재록, 구혜경, op.cit., p.224.
- W. Kintsch, "Learning from Text Levels of Comprehension, or: Why Would Read a Story Anyway," Poetics, Vol.9, No.1, 1980, pp.7-98. 재인용, 이재록, 구혜경, op.cit., p.225.
- 조관연, "인문학적 시각에서의 문화콘텐츠 분석", 인문콘텐츠학회, 문화콘텐츠 입문, 북코리아, 2006.
- 박영원, 시각적 유머의 생산과 의미작용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87-95, 2001.
- 조관연, "인문학적 시각에서의 문화콘텐츠 분석", 인문콘텐츠학회, 문화콘텐츠 입문, 북코리아, 2006., pp.310-312.
- 박영원, 광고디자인기호학, 범우사, pp.185-186, 2006.
- J. R. Cashill, "Packaging Pop Mythology," in New Languages, ed. T.H. Ohlgren and L.M. Berk (New Jersey: Prentice-Hall, 1977), p.79. (재인용, 정성호, 광고메시지 분석을 위한 기호학적 연구, 중앙대학교 광고홍보연구소, 광고홍보연구 제3호, p.53. 1996. )
- R. Barthes, Mythologies, London: Granada, p.109, 1981.
- J. Fiske, Introduction to Communication Studies, London: Methuen, 1982.
- Umberto Eco, "The Influence of Roman Jakobson on the Development of Semiotics," in D. Amstrong and C. H. Van Schooneveld(eds.), Roman Jakobson(Lisse: The Peter de Ridder Press, 1977), p.45.
- R. Jakobson, "Linguistics and Poetics," in Krystyna Pomorska and Stephen Rudy(eds.), Roman Jakobson: Language and Literature(Cambridges: Harvard University Press, 1987), pp.62-94, (박정순, op.cit., p.83에서 재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