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n Narrative Structure of TV Audition Reality Show : Focusing on the and

텔레비전 오디션 리얼리티 쇼의 서사구조 분석 : <스타오디션 위대한 탄생>과 <슈퍼스타 K2>를 중심으로

  • 최소망 (공주대학교 대학원 영상광정보공학과) ;
  • 강승묵 (공주대학교 영상광정보공학부)
  • Received : 2012.03.30
  • Accepted : 2012.04.19
  • Published : 2012.06.28

Abstract

This study has attempted to explore the way to construct the reality and its implication of the narrative elements in TV Audition Reality Show.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first of all, two audition reality show has added the special tasks to characters based on the competition and has developed the dramatic events sequentially. And they has suggested the course of way between survival and fail, that is, inclusion and exclusion. As that results, audiences has be immersed in the process of the justification of the star(hero) myth and the dealings of musical elements to see dramatized show of narrative. And they knew audition reality show as non-real fiction, so they enjoyed the pleasure spontaneously. These means that the empowered media reproduced the illusion like star(hero) with the purpose of the commercial and political aim and one of the ideology to acquiesce in the appropriateness of the competition.

본 연구는 텔레비전 오디션 리얼리티 쇼의 서사 구성요소들이 현실을 구성하는 방식과 그 함의를 분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MBC TV의 <스타오디션 위대한 탄생>과 Mnet의 <슈퍼스타 K2>를 대상으로 서사구조 분석을 시도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분석대상 오디션 리얼리티 쇼는 등장인물들 간의 경쟁을 기반으로 연속적으로 사건이 전개되고 각각의 사건마다 생존과 탈락, 즉 선택과 배제의 경로가 제시되고 있었다. 그 결과 시청자들은 사실이 아닌 서사가 사실적으로 극화된 쇼를 보면서 영웅(스타) 신화를 정당화하고 음악적 구성요소들이 거래되는 과정에 몰입하게 된다. 동시에 시청자들은 오디션 리얼리티 쇼가 사실이 아님(non-real)을 인식하고 자발적으로 즐거움을 만끽하기도 한다. 이런 결과는 미디어의 정치경제적 권력화가 영웅이라는 허상을 부단히 재생산하면서 경쟁의 당위를 묵인하는 신자유주의적 이데올로기 중의 하나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종수, "오디션 리얼리티쇼와 현대여성의 '통과 의례': <도전 슈퍼모델> 서사분석을 중심으로", 미디어 젠더 & 문화, 제9권, pp.51-164, 2008.
  2. R. Kilborn, "How real can you get? Recent developments in 'reality television' ", European Journal of Communication, Vol.9, pp.421-439, 1994. https://doi.org/10.1177/0267323194009004003
  3. R. E. Dubrofsky, "The bachelor: Whiteness in the Harem," Critical Studies in Media Communication, Vol.23, No.1, pp.39-56, 2006. https://doi.org/10.1080/07393180600570733
  4. C. Sparks, Reality TV: The Big Brother Phenomenon, International Socialism, 2007.
  5. J. M. Jones, "Show Your Real Face," New Media & Society, Vol.5, No.3, pp.400-421, 2003. https://doi.org/10.1177/14614448030053006
  6. 박미애, "오디션 열풍! '위탄'보단 '슈스케' 허각.김성주 '최고' ", http://starin.edaily.co.kr/news/NewsRead.edy? SCD=EA31&newsid=01095526596277784&DCD=A10102, 2011.6.2.
  7. R. Kilborn and J. Izod, An Introduction to Television Documentary: Confronting Reality, Manchester: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997.
  8. J. Caldwell, "Prime-time Fiction Theorizes the docu-real," in J. Friedman(ed.), Reality Squared: Televisual on the Real, Piscataway: Rutgers University Press, 2002.
  9. J. Jagodozinkin, "The Perversity of (reality) TV: A Symptom of Our Times," Journal for the Psychoanalysis of Culture & Society, Vol.8, No.2, pp.320-329, 2003. https://doi.org/10.1353/psy.2003.0035
  10. 이종수, TV 리얼리티: 다큐멘터리, 뉴스, 리얼리티쇼의 현실구성, 한나래, pp.55-81, 2004.
  11. 강태영, 윤태진, 한국 TV 예능오락 프로그램의 변천과 발전, 한울아카데미, pp.92-138, 2002.
  12. S. Barnet-Weiser and L. Portwood-Stacer, "I Just Want to be Again!: Beauty Pageants, Reality Television and Post-feminism," Feminist Theory, Vol.7, No.2, pp.255-272, 2006. https://doi.org/10.1177/1464700106064423
  13. R. Barthes, Image-Music-Text, trans, S. Hearth, London: Fontana, 1977.
  14. S. Chatman, Story & Discourse: Narrative Structure in Fiction & Film,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pp.18-22, 1978.
  15. E. M. Foster, Aspect of the Novel. 1927, 이성호 역, 소설의 이해, 문예출판사, pp.26-95, 1987.
  16. T. Todorov, The poetics of prose, trans. R. oward, 1977, 류제호 역, 산문의 시학, 예림기획, 2003.
  17. S. Chatman, Story & Discourse: Narrative Structure in Fiction & Film,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pp.191-192, 1978.
  18. S. Chatman, Story & Discourse: Narrative Structure in Fiction & Film,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pp.167-187, 1978.
  19. R. E. Scholes and R. Kellogg, The Nature of Narrative, 1968, 임병권 역, 서사의 본질, 예림기획, pp.270-271, 2001.
  20. M. Bal, Narratology: Introduction to the Theory of Narrative, 1980, 한용환, 강덕화 공역, 서사란 무엇인가, 문예출판사, pp.49-56, 1992.
  21. M. J. Toolan, Narrative: A Critical Linguistic Introduction, 1988, 김병욱, 오연희 공역, 서사론: 비평언어학적 서설, 문예출판사, pp.133-137, 1993.
  22. M. Bal, Narratology: Introduction to the Theory of Narrative, 1980, 한용환, 강덕화 공역, 서사란 무엇인가, 문예출판사, p.31, 1992.
  23. M. Bal, Narratology: Introduction to the Theory of Narrative, 1980, 한용환, 강덕화 공역, 서사란 무엇인가, 문예출판사, pp.33-40, 1992.
  24. H. Lefebvre, The Critique of Everyday Life, 1991, 박정자 역, 현대 세계의 일상성, 기파랑, 2005.
  25. J. Campbell, The Hero with a Thousand Face, 1949, 이윤기 역, 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 민음사, 1998.
  26. V. Christopher, The Writers Journey, 1998, 함춘성 역, 신화, 영웅 그리고 시나리오 쓰기, 무수우, 2005.
  27. 홍숙영, "가상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장르적 특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호, pp.202-212,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1.202
  28. C. Feilitzen and O. Linne, "Identifying With Television Character," Journal of Communication, Vol.25, pp.51-55, 1975.
  29. 이종수, "오디션 리얼리티쇼와 현대여성의 '통과 의례': <도전 슈퍼모델> 서사분석을 중심으로", 미디어 젠더 & 문화, 제9권, pp.59-61, 2008.
  30. D. J. Boorstin, THE IMAGE: A Guide to Pseudo-Enents in America, 1962, 정태철 역, 이미지와 환상, 사계절, 2004.
  31. J. Friedman, "Attraction to Distraction: Live Television and the Public Sphere," in J. Friedman(ed.), Reality Squared: Televisual Discourse on the Real, Piscataway: Rutgers University Press, pp.138-154, 2002.

Cited by

  1. Fun Factors of a Reality Show Program vol.14, pp.1,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1.097
  2. ‘Healed to imagine’: healing discourse in Korean popular culture and its politics vol.17, pp.4, 2016, https://doi.org/10.1080/14755610.2017.12886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