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rtistic Achievement of Abstract Animation and Contemporary Significance

추상 애니메이션의 예술적 성과와 현대적 의의

  • 손국환 (동의대학교 디지털콘텐츠공학과) ;
  • 박성대 (동의대학교 디지털콘텐츠공학과)
  • Received : 2012.04.10
  • Accepted : 2012.05.29
  • Published : 2012.06.28

Abstract

This paper historically sheds the new lights on the artistic worth and achievement of abstract animation in the animation genre, and presents the contemporary significance and importance of abstract animation through the study on the avant-garde characteristic and the works of abstract animation artist, including Mirai Mizue. Though abstract animation which is artists' experimental work dealing with speed and movement of image has an essential role for the development of modern visual culture and animation, it is losing meaning and value because of the commercialism and capitalism of digital contents industry. Therefore, this paper first presents that the study of experimental animation like abstract animation contributes to the diversification and improvement of digital contents industry then it discusses the effect on the contemporary digital contents industries, next analyze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comtemporary evolution of abstract animation, which is diversified from modernism to contemporary art, and finally discuss the experimental feature and expression of abstract animation.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 장르에서 추상애니메이션이 갖는 가치와 예술적 성과를 역사적으로 재조명하고 미즈에 미라이 (Mirai Mizue)를 비롯한 추상애니메이션 작가의 작품세계와 아방가르드적 특성의 연구를 통해 추상 애니메이션의 현대적 의의와 그 중요성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추상애니메이션은 이미지의 시간성과 운동성을 다루는 예술가들의 실험적 작품으로 현대 시각문화와 애니메이션의 발달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영상 콘텐츠 시장의 대중성이라는 특징 때문에 상업화와 흥행에 치중되어 그 가치를 잃어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추상 애니메이션과 같은 실험 애니메이션이 애니메이션 산업을 포함한 영상 콘텐츠 산업의 다양화와 질적 향상에 기여하는 현대적 의의가 있음을 밝히고 현대 산업에 미치는 영향도 살펴본다. 또한 모더니즘으로 시작하여 다양화되고 있는 추상애니메이션의 발전과정과 현대적 진화, 그리고 추상 애니메이션의 실험적 특성과 표현방법들에 대해 논의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안나 모진스카, 20세기 추상미술의 역사, 시공사, p.8, 1998.
  2. 칸딘스키, 점,선,면, 열화당, p.185, 1983.
  3. 김희진, 작품'a Trip'제작을 통해 표출된 추상 애니메이션의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 p.16, p.27, p.40, 2002.
  4. 박유신, 김재웅, "시각문화교육에서 추상 애니메이션이 가지는 교육적 가능성", 미술교육논총 제22권, 제3호, pp.131-156, 2008.
  5. 루이스 쟈네티, 영화의 이해, 현암사, p.191, 1993.
  6. 김경애, "애니메트릭스에 나타난 추상적 메타포 표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7권, 제4호, pp.141-149, 2007(4).
  7. 김혁, 김지홍, "그래픽 영화의 영향을 통 Norman McLaren의 애니메이션 작품 세계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2007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제5권, 제1호, pp.1-5, 200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