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Mammographic Units in Some Area

일부지역 유방촬영장치의 현황 및 특성에 관한 연구

  • Park, Jin-Young (Dept. of Radiology Inje University Haeundae Hospital) ;
  • Baek, Seong-Min (Dept. of Nuclear Medicine Kosin University Gospel Hospital)
  • 박진영 (인제대학교 해운대백병원 영상의학과) ;
  • 백성민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핵의학과)
  • Received : 2012.02.07
  • Accepted : 2012.04.24
  • Published : 2012.04.30

Abstrac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250 mammographic units in total installed and used in the areas for this study, and 36 units were used in general hospitals, 53 units in hospitals and 116 units in clinics. That is, the units in clinics accounted for 50% out of the whole units. As for the image acquisition method, it was found there were 131 units using F/S, 67 units using CR and 7 units using DR respectively. At present, F/S system was mainly used in the areas. As for the materials of target/filter, it was found that Mo/Mo was mostly used (66%), followed by Mo/Rh (25%). As for the size of focus, both 0.1 mm for small focus and 0.3 mm for large focus were mainly used for the units.

일부지역의 전체 유방촬영장치는 205대가 설치 사용되고 있었으며 종합병원에는 36대, 병원 53대, 의원은 116대가 사용되고 있었다. 즉, 의원의 비중이 전체의 50%를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가 있었다. 영상획득방법 별에서는 필름 스크린(film screen)이 131대, 컴퓨터 방사선촬영장치(computed radipgraphy)가 67대, 디지털 방사선촬영장치(digital radiography)가 7대 순으로 나타났다. 현재까지는 주로 필름 스크린 시스템이 이용되고 있었다. target/filter의 재료는 대부분 Mo/Mo이 사용되었으며(66%), 그 다음으로는 Mo/Rh이 사용되고 있었다(25%). 초점의 크기는 소초점용은 0.1 mm, 대초점으로는 0.3 mm를 주로 사용하고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문우경, "유방촬영술의 임상영상평가", 대한방사선의학회지, Vol. 49, pp.507-511, 2003.
  2. 보건복지가족부, "유방엑스선검사에서의 환자선량 권고량 가이드라인", 방사선안전관리 시리즈, No. 16, 2008.
  3. 손은주, 김은경, 고경희, "유방촬영술 팬톰영상의 실태분석", 대한방사선의학회지, Vol. 49, pp.421-425, 2003.
  4. 최준일, 나동규, 김학희, "영상의학검사의 정도관리", 대한방사선의학회지, Vol. 50, pp.317-331, 2004.
  5. 권대철, 이은미, 박범, "유방촬영술에서 압력과 두께 측정", 대한방사선기술과학지, Vol. 26, No. 2, pp.29-33, 2003.
  6. 김형철, "유방 X-선 촬영시 피폭선량에 대한 조사 연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 Vol. 27, No. 4, pp.55-58, 2004.
  7. 대한방사선의학회 유방방사선연구회, "유방촬영술 정도관리 핸드북", 서울, 2003.
  8. Kimme-Smith C, Wang J, DeBruhl N, Basic M, Bassett LW, "Mammograms obtained with rhodium vs molybdenum anodes : contrast and dose differencs". AJR Am J Roentgenol, 162, pp.1313-1317, 1994. https://doi.org/10.2214/ajr.162.6.8191989
  9. Dance DR, Skinner CL, Young KC, Beckett JR, Kotre CJ., "Additional factors for the estimation of mean glandular breast dose using the UK mammography dosimetry protocol", Phys Med Biol, Vol. 45, pp.3225-3240, 2000. https://doi.org/10.1088/0031-9155/45/11/308
  10. BJ McParland , MM Boyd, "A comparison of fixed and variable kVp technique protocols for film-screen mammography". British Journal of Radiology, Vol. 73, pp.613-626, 2000. https://doi.org/10.1259/bjr.73.870.10911785

Cited by

  1. 유방촬영 시 방사선관계종사자의 위치에 따른 공간선량평가 vol.39, pp.3, 2012, https://doi.org/10.17946/jrst.2016.39.3.01
  2. 디지털 유방단층촬영의 피폭선량 경감을 위한 수동 촬영조건의 가이드라인 제시 vol.39, pp.4, 2016, https://doi.org/10.17946/jrst.2016.39.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