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eaning of Pre-service Educare Teachers' Experiences about Child Safety Management Classes based on Problem Based Learning (PBL)

문제중심학습(PBL)을 적용한 아동안전관리 수업이 예비보육교사에게 주는 경험의 의미

  • 서영희 (동부산대학교 사회복지과) ;
  • 정혜영 (대동대학교 유아교육과)
  • Published : 2012.02.29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pre-service educare teachers' experience about child safety management classes based on Problem Based Learning (PBL).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thirty five sophomores majoring in Social Welfare, and fifteen weeks of data were collected. The participants were given five problems that were related with real situations. During the given period, they made documents from reflective journals, group or individual interviews, and online community resources. Analyzing the documents sheds light on the meaning of the pre-service educare teachers' experie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educare teachers found themselves recovering confidence, earning recognitions from others, and pursuing their study. Second, they showed continuous conflicts not only with the PBL approach but also with themselves and group members. Finally, they experienced mutual help and interactions among the group members thorough their cooperative learning and they realized the meaning of cooperative learning by means of comparisons and re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s the applicability of PBL to the educare teacher training courses and points out specific ways to alleviate the conflicts in applying PBL to class needs in future studies.

본 연구는 보육교사양성과정의 아동안전관리 수업에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예비보육교사들에게 주어지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아동안전관리 교과목을 수강하는 사회복지과 2학년 35명을 대상으로 15주간 진행되었다. 연구참여자들에게 총 5개의 문제가 주어졌고,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수집된 성찰저널, 조별 면담 및 개별수시 면담 자료, 그리고 온라인으로 진행된 그룹별 커뮤니티 자료 등을 통해 예비보육교사들이 가지게 되는 경험들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예비보육교사는 첫째, 자신에 대한 발견으로 자신감을 회복하고 인정받는 자신, 공부하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고 둘째, 자신과 문제중심학습과 그룹 구성원들간의 끊임없는 갈등을 경험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서로 협력하는 학습을 통하여 그룹 구성원간의 조력과 상호작용을 경험하고, 그룹 간의 비교와 참조를 통해서 협동학습이 주는 의미를 깨닫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보육교사 양성과정에서의 PBL 적용가능성이 확인되었고 추후 PBL 적용에서 갈등을 완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안 모색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미량(1999). 구성주의 교수-학습이 아동의 사회 도덕성에 미치는 효과.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강인애, 김선자(1998). PBL에 의한 수업설계와 적용: 초등 사회과 수업사례. 교육공학연구, 14(3), 1-31.
  3. 강인애(2003). 우리시대 구성주의. 서울: 문음사.
  4. 고윤희(1996). 웹기반 초등학교 정보통신윤리교육 시스템의 효과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5. 권혜진(2007). 예비교사를 위한 웹 기반 PBL 적용 과정 탐색 : 유아 안전사고 사례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6. 권혜진(2008).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웹기반 문제중심학습 모듈 구성 및 적용 - 안전교육을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2(3), 283-310.
  7. 김동일(2005). 학업상담을 위한 학습전략 프로그램. 서울: 학지사.
  8. 김선구, 이대균(2011). 예비유아교사의 유아과학교육을 위한 PBL교수학습모형의 개발 및 효과. 유아교육연구, 31(2), 283-310.
  9. 김선자(1998). 구성주의에 의한 초등학교 사회과 수업 설계 및 적용: 문제 중심 학습 방법에 의한 사례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김설희, 김동기(2009). 취위생 교육과정의 문제중심학습이 학습동기와 자기학습주도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구강보건학회지, 33(1), 82-89.
  11. 김승용, 김동환, 조남기(2010). 문제중심학습(PBL)을 통한 레저스포츠 지도자 양성과정 교육생의 학습동기 및 자기효능감에 관한 탐색. 한국체육학회지, 49(3), 281-292.
  12. 김영찬(1990). 교육연구법으로서의 문화기술법. 서울: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13. 김용익(2004). 문제중심학습(PBL)을 교육대학교 "초등 생활기술 교육(ESTE)"에 적용하기 위한 방안모색. 한국실과교육학회지, 17(2), 1-17.
  14. 김지현(2010). 예비 음악교사 교육에서 블로그 기반 문제중심학습 음악 수업 모형 개발. 음악교육연구, 38, 241-272.
  15. 김진영, 박홍준, 전영국(2011). 교육방법 및 프로그램 : PBL 기반의 Net Logo를 이용한 교육용 콘텐츠 저작이 예비중등교사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공학교육학회, 14(4), 29-38.
  16. 김현정(2001). 구성주의에 근거한 문제중심학습이 자기주도적 학습력 신장에 미치는 효과.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김홍래, 김혜정(2008). 예비교사 교육을 위한 웹기반 문제중심학습과 e-포트폴리오의 적용에 관한 연구.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2(2), 223-234.
  18. 나용주(2000). 사회과 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과 탐구학습이 학업성취도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남궁선혜, 임진형(2006). 유아예비교사를 위한 교과교육론 PBL 수업설계 적용 연구. 육아지원연구, 1(1), 67-94.
  20. 노진형(2011). 유아과학교육 강좌에서 문제중심학습(PBL)에 대한 예비교사의 경험. 아시아교육연구, 12 (1), 93-117.
  21. 박도순(1995). 교육연구방법론. 서울: 문음사.
  22. 서울중앙지방법원(2009. 09. 30). 2008 가합 1977 손해배상 판결. 2011. 12. 20. http://www.scourt.go.kr/dcboard/DcNewsViewAction.work?bub_name=¤tPage=undefined&searchWord=어린이집&searchOption=&seqnum=6345&gubun=44에서 검색함.
  23. 서혜정, 서영숙(2009). 구성주의 관점 형성을 위한 유아수학교육 강좌에서의 경험. 유아교육연구, 29(3), 165-190.
  24. 송재홍(2008). 대학생의 학업 자해행동 예측에 있어서 자아개념 명료성과 성취목표 및 교실목표구조 지각의 역할. 교육심리학연구, 22(1), 35-53.
  25. 수원지방법원(2010. 05. 20). 2009 가합 16103 손해배상 판결. 2011. 12. 20. http://www.scourt.go.kr/dcboard/DcNewsViewAction.work?bub_name=¤tPage=undefined&searchWord=어린이집&searchOption=&seqnum=6892&gubun=44에서 검색함.
  26. 신좌섭(2006). 의학분야에서 PBL 운영의 실제. 강릉대학교 NURI 사업단 교수법 워크샵 자료.
  27. 양미화(2003). 문제중심학습(PBL)이 학업성취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오만록(1999). 구성주의에 근거한 문제중심학습이 학업성취와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교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9. 이동명, 고호경, 장윤영(2010). 예비수학교사교육에서 중고등학교 학생의 오개념 지도 방안 활성화를 위한 PBL 적용 사례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3(1), 69-88.
  30. 이성일(2004). 문제중심학습을 통한 지도가 영어학습에 미치는 효과.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임진형(2011). 유아교원양성과정에서 문제중심학습(PBL) 적용 실행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2. 장경원(2006). 온라인 PBL에서 학습자들의 문제해결 활동 특성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2(3), 33-63.
  33. 장경원(2008). 문제중심학습환경에서 예비교사들의 자기효능감 변화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8(2), 1-25.
  34. 장정아(2005). 온라인 문제기반학습 설계모형 개발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5. 장진철(2004). 문제중심 학습모형에 따른 놀이학습이 문제해결력 및 학습성향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교 1학년 '수학'을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6. 정명화, 박성미, 신경숙(2005). 전문대학생의 학과적응 증진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 효과. 교육학연구, 43(1), 1-24.
  37. 조연순, 우재경(2003). 문제중심학습(PBL)의 이론적 기초: 지식관과 교육적 가치. 교육학연구, 41(3), 571-600.
  38. 최봉선(2007). 문제중심학습 수업이 유아예비교사의 자기주도 학습에 미치는 영향. 교육발전연구, 23(1), 85-107.
  39. 최정임(2007). 대학수업에서의 문제중심 학습 적용 사례연구: 성찰일기를 통한 효과성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23(2), 35-65.
  40. 최정임, 장경원(2010). PBL로 수업하기. 서울: 학지사.
  41. 최길성, 이승희(2011). 전문대학 기초학습능력 향상 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4), 468-476.
  42. 현정은, 정명화(2010). 학습 컨설팅 프로그램이 전문대학 학생의 자기조절 학습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사고개발, 6(2), 25-49.
  43. 홍기칠, 김세찬(2004). 웹기반 문제중심학습이 자기주도적 학습력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대구교육대학교 논문집, 39, 537-571.
  44. 황선영(2003). 문제중심학습(PBL)이 간호학생의 학업성취도, 비판적 사고력, 학습태도 및 동기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5. Maslow, A. (1968). Toward a psychology of being. New York: Van Nostrand.
  46. Barrows, H. S. (1985). How to design a problem-based curriculum for the preclinical years.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47. Bogdan, R. C., & Biklen, S. K. (2006).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ories and method (5th ed.). Boston, MA: Allyn & Bacon.
  48. Blumber, P., & Sparks, J. A. (1999). Tracing the evolution of critical evaluation skills in students' use of the internet. Bulletin of Medical Library Association, 87, 200-204.
  49. Kincheloe, J. L. (2005). Critical constructivism prime. New York: Peter Lang.
  50. Loo, R., & Thorpe, K. (2002). Using reflective learning journals to improve individual and team performance. Team Performance Management, 8(5), 134-139. https://doi.org/10.1108/13527590210442258
  51. Savin-Baden, M. (2000). Problem-base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 Untold Stories. PA: SRHE and Open University Press.
  52. Barrows, H. S. (2000). Problem-based learning applied to medical education, IL: Board of Trustress of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53. Lieux, E (2000). A skeptic's lood at PBL. In B. Duch, S. Groh, D. Allen (Ed.), The power of problem baased learning sterling. VI: Stylus publishing, U.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