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iprocal Peer Review and Revision in Writing

동료 간 상호리뷰와 글 수정행동

  • Received : 2012.01.20
  • Accepted : 2012.02.22
  • Published : 2012.03.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how students revised their writing after reciprocal peer review and how their revision activities were influenced by the review. Undergraduates in physics class wrote a laboratory reports, exchanged comments with peers, and revised their reports afterward based on the comments they received from their peers. The comparison between the original and the revised drafts showed that students were mainly concerned with micro-meaning revisions, focusing on making changes on individual words, clauses, and sentences. Revisions that dealt with macro-meaning of the texts were not as frequent. Giving and receiving comments influenced later revision activities. Receiving comments on micro-meaning of the texts led to a significant increase in both micro- and macro-meaning revisions. Receiving comments on macro-meaning of the texts, however, did not prompt relevant revision activities. Even when students engaged in macro revision, it was negatively related to writing performance gains in one subgroup, suggesting that even after peers point out macro-problems in their writing, students are not competent to solve the problems yet.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more efforts are needed to help them to understand and manipulate the macro-meaning structure of the texts.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이 물리학 실험 보고서를 작성하고 동료들과 보고서에 대한 코멘트를 주고받은 후 보고서를 어떻게 수정하였는지, 특히 동료와 코멘트를 주고받는 과정이 글 수정활동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살펴보았다. 보고서 초안과 수정본 간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학생들은 글의 좁은 의미 단위를 주로 수정하였고, 글의 전체 의미 구조, 구성, 조망 같은 글의 포괄적인 의미에 대한 수정은 드물었다. 동료와 글에 대한 코멘트를 주고받는 활동이 수정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살펴본 결과, 글의 작은 의미 단위를 지적하는 코멘트를 받은 경우 좁은 의미 단위의 수정이 촉진되었다. 그러나 글의 포괄적인 의미 측면을 지적하는 코멘트의 경우, 학생들이 이러한 코멘트를 많이 제공하고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넓은 의미 단위의 수정으로 잘 연결되지 않았다. 즉, 학생들이 상호리뷰에서 코멘트를 제공하고 받는 경험이 이후 수정행동에 영향을 주었으나, 그 영향은 주로 좁은 의미 단위의 수정에 국한되어 있었고 포괄적인 의미 단위 차원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동료의 지적을 받은 다음에도 수정이 잘 일어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수정이 이루어진 경우도 효과적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좋은 글의 표면적인 특징뿐만 아니라 의미 차원의 특징, 특히 글의 전체를 아우르는 넓은 의미 차원의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할 수 있는 방략을 습득하는 것이 글쓰기에 중요함을 시사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