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Culture Education in Childhood English

어린이 영어 문화교육에 관한 분석

  • 이승은 (광주여자대학교 어린이영어교육학과)
  • Received : 2012.02.09
  • Accepted : 2012.04.17
  • Published : 2012.05.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uide efficient ways to teach cultural aspects in Korean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through analyzing many studies on elementary English culture education. In global era, English education must be performed based on understanding of other various cultures for authentic communication. However, Korean elementary students have difficulty to approach or to be exposed to the culture of English speaking countries. Elementary English culture education is neither well organized nor performed for some reasons. The reasons are as follows. Frist, English teachers are not confident with the culture and they consider themselves not having enough experiences and knowledge to teach. They were not taught cultural aspects and the cultural aspects were not emphasized. Second, there are not appropriate culture related teaching materials in the textbooks and teachers' guide books. Therefore, necessary cultural aspects should be selected by English education experts and provided in the textbooks and teachers' guide books. Those two books should be systematically connected. Elementary English teachers should have more opportunities to understand and experience other various cultures. Language is a part of culture and culture is a part of language. Acquiring the second language is acquiring its culture. The culture education for authentic communication is accomplished from managing cultural aspects in textbooks and cultivating English teachers with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of target culture.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 초등학교 영어 교육에서 문화 요소의 효율적 지도방법을 안내하고자 한다. 논문의 목적을 위해서 초등영어 문화교육에 관한 많은 연구들을 분석하였다. 국제화 시대에 의사소통을 위한 영어교육은 다양한 타 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한국 초등학교 학생들은 영어권 나라의 문화에 노출되거나 접근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초등영어 문화교육이 잘 이루어지지 못하는 데는 다음과 같은 이유가 있다. 첫째, 영어교사들이 목표 문화에 대한 자신감이 없고 자신들 스스로 문화교육을 위한 충분한 경험과 지식이 없다고 간주한다. 영어교사들 역시 문화요소에 대해 배우지 못했고 문화요소가 강조되지 않았었다. 둘째,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에 문화 관련된 적절한 교수내용이 없다. 그러므로 필수적인 문화 요소는 영어교육 전문가들에 의해서 채택되고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되어야 한다.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는 체계적으로 연관성을 가져야 한다. 초등 영어 교사들은 다양한 문화를 경험하고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늘려야 할 것으로 본다. 언어는 문화의 일부이고 문화는 언어의 일부이다. 제 2언어 습득은 제 2문화 습득이기도 하다. 초등 영어 교과서에서 문화요소를 심도 있게 다루고 문화에 대한 이해와 경험을 갖춘 교사가 양성 되었을 때 진정한 의사소통을 위한 영어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현숙, 초등학교 영어과 다문화 지도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2. 김귀석, 이수경, "초등영어 문화교육의 현황과 개선 방향", 언어학, 제2권, 제11호, pp.61-90, 2003.
  3. 김용완, 영어교육의 문화적 주제들과 과정 설계, 동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4. 김익환 "문화적 요소가 영어교육에 미치는 영향", 영어교육연구, 제32호, pp.7-24, 2006.
  5. 김종헌, 초등학교 영어교과서 분석을 통한 비언어적 지도요소의 추출 및 효율적 지도 방안, 춘천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6. 김진석, "초등영어교육과정에서의 문화 관련 성취기준 및 소재목록 설정 방안 연구", 한국초등영어교육, 제21권, 제1호, pp.191-208, 2010.
  7. 김진철, "초등영어 교육과정상의 문화요소지도에 관한 연구(I)",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논총 24집, pp.49-72, 2004.
  8. 김진철, 초등영어교수법, 서울: 학문사, 1998.
  9. 김희중, 초등영어 학습에 있어서의 문화지도 방안 연구, 인천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10. 김혜련, "초등영어에 있어 문화지도", 초등영어교육, 제2호, pp.210-228, 1996.
  11. 노승희, 상호문화적인 교육을 위한 중학교 영어 교과서 연구, 전남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2. 박옥희, "국제어로서의 영어 문화 교육", 미국학논집, 제40권 제2호, 2008.
  13. 박용규, 박주경, "초등영어 지도교사의 문화가치관과 문화교육에 관한 인식", 영어영문학 21, 제24권, 제2호, pp.139-159, 2011.
  14. 박상옥, 영어교수기법, 서울: 신아사, 2000.
  15. 박상옥, 교사를 위한 영어교수법, 서울: 신아사, 2010.
  16. 박약우, 초등영어교재연구, 서울: 경문사, 2010.
  17. 박원, "문화와 영어교육", 영어교육연구, 제20호, pp.1-21, 2000.
  18. 양현정, 영어와 문화 통합교육을 위한 학습 지도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영어교육과, 석사학위논문, 2007.
  19. 이상용, 초등영어교육에서의 효율적 영미 문화지도, 인천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20. 이영희, "영어의 세계화와 초등 영어 문화 교육", 한국초등교육, 제16호, 제1권, pp.399-430, 2005.
  21. 이완기, 차경환, "초등영어 문화교육의 내용과 지도방법 연구", 영어교육, 제54호, 제1권, pp.327-372, 1999.
  22. B. H. Douglas, Principles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5th Ed.), New York: Longman, 2006.
  23. S. Cook, "College students' perspectives on culture learning in required French course," The American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NY., 1996.
  24. Fries, Charles C. "Teaching and Learning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Ann Arbor: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45
  25. D. Hymes, "Language in culture and society," New York: Harper and Row, 1964.
  26. J. S. Kim, "Special issues on culture & education conten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7, No.3, 2009.
  27. C. Kramsch, Language and Culture, Oxford :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28. D. Lavine, J. Baxter, and P. McNulty, The culture puzzle. New York: Prentice Hall, 1987.
  29. S. McKay, Teaching English as an international language,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30. R. M. Paige, H. Jorstad, F. Klein, and J. Colby, "Culture learning in language education: CARLA Working Paper" 15. Minneapolis, MN: University of Minnesota, CARLA, 1999.
  31. H. Seelye, Teaching culture: Strategies for intercultural communication, Lincolnwood IL.: National Textbook Company, 1984.
  32. M. G. Taylor, "Songs as a linguistic and cultural resource in the intermediate Italian class," Foreign Language Annals, Vol.6, pp.465-469, 1980.

Cited by

  1. Investigating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Instruction in Korean Elementary School English Textbooks vol.14, pp.4,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4.4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