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on Emotional Intelligence of Multicultural Primary School Students in Rural Areas

농촌다문화 초등학교 학생의 사회적 지지 및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이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 이창식 (한서대학교 아동청소년복지학과) ;
  • 박지영 (고구려대학교 다문화복지과) ;
  • 임인택 (한서대학교 평생교육과)
  • Received : 2012.11.15
  • Accepted : 2012.12.10
  • Published : 2012.12.30

Abstract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emotional intelligence, social support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of multicultural primary school students in rural areas. All of the students for the study were sampled from three multicultural primary schools in rural areas. About 10% among them were from multicultural family students. First, the result indicated that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support and open communication with their parents. Seco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unicultural family and multicultural family in social support,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ird,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peer and family support were predi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of multicultural primary school students in rural areas. The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strategy for multicultural primary school in rural ares were suggested.

이 연구는 농촌 다문화 초등학교 학생들의 발달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사회적지지 및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과 정서지능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이러한 변인들이 일반 및 다문화가정 학생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적지지, 개방적 의사소통 및 정서지능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반면 정서지능과 부모-역기능적 의사소통과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사회적지지,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정서지능은 농촌소규모 다문화초등학교 일반가정 및 다문화가정 학생 간에 차이가 없었다. 셋째, 회귀분석 결과 농촌다문화 초등학교 학생들의 정서지능은 친구지지와 가족지지가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민수(2001). 부모와 자녀의 정서지능 관계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고영숙(2003). 또래환경 및 또래관계의 질이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교육과학기술부(2010). 다문화가정 자녀 현황.
  4. 교육인적자원부(2006). 다문화가정의 자녀교육실태 조사.
  5. 권해수(2011). 농촌국제결혼가정 자녀의 청소년기 경험에 관한 연구. 농촌지도와 개발, 18(1), 35-72.
  6. 김경숙(2003). 아동의 정서지능과 스트레스 통제감 및 대처행동과의 관계.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김미호(1989). 부모, 학동기 자녀간의 의사소통과 자녀의 사회적 행동특성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승권(2010). 한국 다문화가족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정책적 함의. 보건복지포럼, 165.
  9. 김승권, 김유경, 조애저, 김혜련, 이혜경, 설동훈, 정기선, 심인선(2009). 2009년 전국 다문화가족실태조사 연구. 보건복지가족부.법무부.여성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정책보고서 2010-06.
  10. 김선희(2011). 다문화 사칙연산 프로그램개발.적용을 통한 다문화사회 적응능력 신장방안. 충청남도교육청.
  11. 김정옥(2005). 부모의 촉진적 의사소통 수준과 자녀의 정서지능관의 관계.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김정이(2008). 모(母) 및 교사의 정서표현과 유아 정서지능간의 관계.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김태경(2006). 아동의 정서지능과 또래 및 친구관계.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김혜미, 원서진, 최선화(2011).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차별경험과 심리적 적응: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2(1), 117-149.
  15. 문용린(1996). IQ와 EQ 무엇이 다르고 무엇이 중요한가. 서울 : 한국지역사회교육중앙협의회.
  16. 문용린(1997). EQ가 높으면 성공이 보인다. 서울: 글이랑.
  17. 문은식(2005). 부모의 사회성 지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의 관계. 교육학연구, 43(3), 87-112.
  18. 박윤경, 이소연(2009).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생활 실태에 대한 조사연구. 시민교육연구, 41(1), 41-71.
  19. 서현, 이승은(2007). 농촌지역 국제결혼 가정 자녀가 경험하는 어려움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2(4), 25-47.
  20. 송성자, 정문자(1994) 경험적 가족치료 : Satir 이론과 기법. 서울 : 중앙적성출판사.
  21. 양순미(2007). 농촌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양육태도 및 초등학교 아동의 학교생활적응.행복감.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559.
  22. 양영미(2003).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이 아동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윤지원(2009). 초등학생의 정서지능,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윤형숙(2005). 외국인 출신 농촌주부들의 갈등과 적응. 지방사와 지방문화, 8(2), 299-338.
  25. 이순형(2007). 농촌 다문화가족의 현황과 적응 문제. 한국지역생활과학회 학술대회자료집, 13-27.
  26. 이지영(2010). 부모-자녀 의사소통양식, 가족응집력, 스트레스가 청소년의 외톨이성향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이혜경(2005).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5, 147-166.
  28. 임연기(2006). 한국 농촌교육 정책의 변천과 그 특성 및 과제. 교육행정학연구, 4(4), 27-49.
  29. 정명희(1988).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유형과 청소년 문제행동과의 상관연구. 성심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정미애(2005). 유치원 교사의 정서표현지각과 유아의 정서지능간의 관계.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 최현(2009). 초등학생의 부모와의 의사소통 방식과 정서지능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 터더이 아리온사나, 유서구(2011). 몽골이주가정 자녀 학교적응의 영향요인: 다문화 특성과 사회적 지지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32, 17-203.
  33. 한만길(2008). 학교 특색 살리기 추진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34. 한미현(1996). 아동의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 지각과 행동문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5. 황기아, 방문희(1992).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유형과 청소년의 대인관계 성향과의 관계. 동아대학교 대학원 논문집. 263-289.
  36. Diamond, M., & Jones, S. L.(1983). Social support: A review and theoretical integration. In P. L. Chinn (Ed.), Advances in nursing theory development (pp. 235-249). Rockville, MD: Aspen.
  37. Ginott, H(1959). & Lebo, D(1961). Play therapy limits and theoretical orientations. Journal of Counsulting Psychology, 25(4), 337-340. https://doi.org/10.1037/h0045565
  38. Goleman, D.(1995) Emotional intelligence: Why it can matter more than IQ. New York: Bantam Books.
  39. Maguire, L.(1996). 사회지지체계론: 기초이론과 실천사례(장인협, 오세란 역). 서울: 사회복지실천연구소.
  40. Mayer, Salovey & Caruso(2000). Emotional Intelligence Meets Traditional Standards for an Intelligence. Intelligence, (4), 267-298.
  41. Nolten, P. W.(1994).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Social Support: The Development of the Student Social Support Scale.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42. Salovey, P. & Mayer, J. D(1990).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Identification of Emotion. Intelligence, 245-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