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Factor Analysis on Resident's Satisfaction of the Efficient Rural Development Projects: Focusing on the Rural Development Projects under the Block Grants System in Buyeo

효율적인 농산어촌지역개발사업을 위한 주민만족요인분석 -부여군 포괄보조금제도하에 지역개발사업을 중심으로-

  • Yoon, Jun Sang (Konju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Regional Development) ;
  • Park, Eun Byong (Konju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Regional Development)
  • 윤준상 (공주대학교 지역개발학부) ;
  • 박은병 (공주대학교 지역개발학부)
  • Received : 2012.11.15
  • Accepted : 2012.12.10
  • Published : 2012.12.30

Abstract

The study present the findings divide into brand naming, image, positioning. The farms built trust by consumer relationship with the farm brand. The results of the study provide insights for agricultural marketers who intend to design brand stories that align with their produce. This study is a regional case study of the factor analysis which explain residents' satisfaction of the efficient rural development projects under the Block Grants System in Buyeo. This study attempted to proceed the empirical survey of 353 residents who live in one 'town(eup)' and 13 'village(meon)' in Buyeo-gun and analyzed through SPSSWIN. The results of the satisfaction analysis in the local development projects satisfied with the overall average 3.16 and then empirically verified the important factors of the 'cultural and leisure activities', 'learning environment', 'jobs and working conditions', 'transportation'. The factor analysis of 12 variables united into three factors, the first Factors are 'transportation', 'learning environment', 'social welfare', 'cultural and leisure activitie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Health and Medical Services'. The second factors are 'crimes and accidents', 'environmental management', 'neighbor relations and social participation', and the third factors united into 'income and consumption activities', 'job creation' which imply the economic variables, and 'residential environment' as the common category.

이 연구는 포괄보조금제도하에 효율적인 농산어촌지역개발사업의 추진을 위하여 지역개발사업의 수혜자이자 참여자로서 지역주민만족을 설명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수행하였다. 부여지역을 사례지역으로 부여읍과 13개의 면에 거주하는 35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에는 SPSSWIN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부여군에서 지역개발사업의 만족도는 전체평균은 3.16 으로 비교적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12개의 변수들은 3가지의 요인으로 묶여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요인 1은 '교통편의', '교육환경', '사회복지', '문화 및 여가활동', '정보통신', '보건 및 의료서비스'의 변수 즉, 편리한 삶, 안정된 삶, 즐기는 삶과 건강한 삶을 나타내는 변수가 공통된 범주로 묶이고, 요인 2는 '범죄 및 사고', '환경관리', '이웃관계 및 사회참여'의 변수 즉, 안전한 삶, 쾌적한 삶과 즐기는 삶을 나타내는 변수를 공통된 범주로 묶이고, 요인 3은 '소득 및 소비활동'과 '일자리창출'을 나타내는 경제적인 삶과 '주거환경'이 공통된 범주로 묶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창현, 박양호, & 박인권. (2006). 지역특성을 고려한 농촌활성화 방안. 국토연구원.
  2. 농림수산식품부.한국농어촌공사. (2009). 포괄보조금 시행에 따른 농어촌 지역종합개발 평가기법개발.
  3. 농촌진흥청. (2009). 농산어촌 지역개발 분야 포괄보조사업수립 가이드라인.
  4. 박경, & 구자인. (2006). 중앙.시군단위 농어촌 지역개발사업 추진체계 정비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5. 박대식, & 최경환. (2002), 농촌주민의 삶의 질 측정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6. 박은병, 김성록, & 윤준상. (2012). 포괄보조금제도하의 농산어촌지역개발에 대한 주민참여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농촌지도와 개발, 한국농촌지도학회, 19(2), 435-464. https://doi.org/10.12653/jecd.2012.19.2.435
  7. 유석춘, 박해광, & 송복. (1996). 한국인의 삶의 질에 대한 연구: 지역 및 주거실태와 만족도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 2.
  8. 이석주, & 윤상헌. (2009). 포괄보조금 제도하의 지역특화발전을 위한 '테마클러스터형 지역개발방식'에 대한 소고. 농촌계획, 15(4), 51-57.
  9. 이양수. (2007). 참여정부 지역개발정책 패러다임평가: 지역혁신체제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연구, 9(1), 1-17.
  10. 이양수. (2009). 참여정부와 신정부의 지역개발정책평가와 전망. 한국지방자치연구, 10(4), 25-46.
  11. 이영균, & 김동규. (2007). 지역주민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1(4), 223-250.
  12. 이원섭. (2005). 국가균형발전정책의 평가와 향후과제. 국토, 290호, 59-67.
  13. 이주용, & 김선주. (2011). 포괄보조금제도하에서 효율적인 농어촌지역개발을 위한 사업평가지표 연구. 한국농공학회논문집, 53(1), 한국농공학회, 57-62. https://doi.org/10.5389/KSAE.2011.53.1.057
  14. 장덕기. (2009). 농어민 삶의 질에 대한 만족도와 요인분석:전남지역 4개 시군 농업인조사를 중심으로, 전남비전21, 전남발전연구원.
  15. 장덕기, & 채종훈. (2010). 전남지역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권역 농어민의 만족도와 개선과제. 리전인포, 제220호, 전남발전연구원.
  16. 정영숙. (1995). 지역별 주거만족도와 생활환경만족도: 도시,농촌, 어촌지역주민을 중심으로. 한국주거학회지, 6(2), 113-121.
  17. 조영숙, 황대용, & 고정숙. (2004). 농촌주민의 지역사회만족도와 지역공동체 의식.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5(4), 113-125.
  18. 지역발전위원회. (2009). 기초생활권발전계획수립매뉴얼.
  19. Goudy W.J.. (1977). Evaluation of local attributes and community satisfaction in small town. Rural Sociology, 42(3), 371-382.

Cited by

  1. 전북 「보고가는 마을」 운동에 대한 고찰 vol.20, pp.2, 2013, https://doi.org/10.12653/jecd.2013.20.2.0341
  2. 읍·면 소재지 종합정비사업의 성과경로 분석 vol.25, pp.2, 2012, https://doi.org/10.7851/ksrp.2019.25.2.0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