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Tl$ 게이트 심근관류 SPECT 및 심초음파의 좌심실 구혈률 상관관계 비교

The Correlation Analysis of Ejection Fraction: Comparison of $^{201}Tl$ gated Myocardial Perfusion SPECT and Echocardiography

  • 윤순상 (서울아산병원 핵의학과) ;
  • 류재광 (서울아산병원 핵의학과) ;
  • 차민경 (서울아산병원 핵의학과) ;
  • 이종훈 (서울아산병원 핵의학과) ;
  • 김성환 (서울아산병원 핵의학과)
  • Yoon, Soon Sang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
  • Ryu, Jae Kwang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
  • Cha, Min Kyung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
  • Lee, Jong Hu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
  • Kim, Sung Hwa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 투고 : 2012.08.21
  • 심사 : 2012.10.02
  • 발행 : 2012.10.27

초록

좌심실 용적 및 구혈률은 관상동맥질환 환자의 치료에 있어 예후예측 및 경과 관찰에 매우 중요한 지표이며, 현재 게이트 심근관류 SPECT (Myocardial perfusion SPECT)를 이용하여 심근관류 이상을 진단하는 동시에 좌심실 용적 및 구혈률(Ejection fraction, EF)을 측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게이트 심근관류 SPECT와 심초음파(Echocardiography)로 산출한 좌심실 용적 및 구혈률이 높은 상관성을 가진다는 많은 보고들이 있으나 심근관류결손의 유무와 정도에 상관없이 비교되었으며, 제한된 환자들에서 비교 분석이 시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Tl$ 게이트 심근 관류 SPECT에서 부하기(G-Stress) 및 휴식기(G-Rest) 좌심실 구혈률을 관류 결손 여부와 성별, 심실 용적에 따라 심초음파와 비교하여 그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1년 4월부터 2012년 5월까지 본원에서 $^{201}Tl$ 게이트 심근관류 SPECT 검사와 심초음파를 일주일 내 시행한 환자 중 성인 291명(남:여=165:126, 평균나이 $64.6{\pm}10.8$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정상으로 진단받은 환자 190명과 가역성 관류결손, 고정 관류결손으로 판정 받은 환자 58명, 43명을 대상으로 연구 분석하였다. 데이터 분석에는 QGS (Quantitative gated SPECT)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였고, 자동화된 방식으로 EF, 확장기말 용적(End-diastolic volume, EDV), 수축기말 용적(End-systolic volume, ESV)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심근관류결손의 가역성 여부와 성별을 기준으로 게이트 심근 관류 SPECT에서의 부하기/휴식기와 심초음파에서의 EF, EDV, ESV를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measures anova)과 Bland-Altman 분석을 이용하여 차이를 비교하고, pearson 상관계수를 구하여 각각의 상관관계를 분석 하였다. 전체 환자 중 부하기와 휴식기, 심초음파에서의 EF는 높은 상관관계(G-Stress와 G-Rest r=0.909, G-Stress와 EC r=0.833, G-Rest와 EC r=0.825)를 나타냈으나, 전체 환자 중 EF, EDV, ESV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관류 결손 여부에 따른 EF값의 차이는 정상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1), 관류 결손이 있는 환자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가역성 관류결손, 고정 관류결손 p<0.01). 성별에 따라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정상 군 중 남성에서의 EF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p>0.05), 여성에서의 EF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여성환자 중, 좌심실용적으로 분류하였을 때 평균 확장기말 용적보다 적은 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평균 보다 큰 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01}Tl$ 게이트 심근 관류 SPECT 중 부하기 및 휴식기에서의 좌심실 구혈률과 심초음파와의 상관관계는 전체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EF, EDV, ESV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관류 결손의 정도, 성별, 좌심실 용적은 LVEF의 정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거라 사료되며,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Purpose : Gated myocardial perfusion SPECT provides not only myocardial perfusion status, but various functional parameters of left ventricle (LV).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jection fraction (EF) for correlation and difference between $^{201}Tl$ gated myocardial perfusion SPECT and echocardiography depending on extent of perfusion defect, gender and LV volumes. Materials and Methods : From April 2011 to May 2012, we analyzed 291 patients (male:female =165:126; mean: $64.6{\pm}10.8$ years) who were examined both $^{201}Tl$ gated myocardial perfusion SPECT and echocardiography at less than 7 days apart in our hospital. 101 patients showed perfusion defect and the rest of the people without any defect. We applied automatic analysis (Quantitative gated SPECT, QGS), and calculated EF, End-diastolic volume (EDV) and End-systolic volume (ESV) from Stress (G-Stress) and Rest (G-Rest) studies. And we analyzed the correlation and difference for EF between $^{201}Tl$ gated SPECT and echocardiography. Results : The correlation of LVEF among G-Stress, G-Rest and echocardiography was quite a good (G-Stress vs. G-Rest: r=0.909, G-Stress vs. echocardiography: r=0.833, G-Rest vs. echocardiography: r=0.825).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DV, ESV and EF in total patients (p<0.01). The norma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EF (p<0.01) and the group with perfusion defect also 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a group with reversible defect: p<0.01, fixed defect: p<0.01) depending on extent of perfusion defect. We analyzed difference in normal group by gender. In norma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p>0.05) in EF from men.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0.01) from women. When we classified two groups by average size of EDV in Korean wome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 group of above average size of EDV (p>0.05). Conclusion : When compared among Stress and Rest of $^{201}Tl$ gated SPECT and echocardiography, we confirmed that there was a good correlation for LVEF.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ree studies. And extent of perfusion defect, gender and LV volumes are independent determinants of the accuracy of LVEF. So, it is hard to compare and interchange quantitative indices among modalities. We should take additional researches to prove results of our stud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