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vestigation of Coastal Erosion Status in Geojin Port Area

거진항 일대의 해안 침식 현황 조사 연구

  • 김인호 (국립강원대학교 건설방재공학과) ;
  • 송동섭 (국립강원대학교 건설방재공학과)
  • Received : 2012.01.30
  • Accepted : 2012.02.20
  • Published : 2012.02.29

Abstract

Coastal erosion and its impact on human activities as well as the economic damage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of coastal area is one of major concern in the national policies. In this study, we conducted physical investigations to evaluate effects of erosion in the Geojin beach, which is located nearby the Geojin Port, for a detecting of shoreline change and beach cross-sectional area. The results showed that significant coastal erosion of the Geojin beach has occurred by the complex resources of natural factor, such as rising sea level, storm surges, high wave, and man-made construction. Especially, due to the sand supplement from Jasan river, the section which is nearby the estuary of Jasan river is maintained as a stable beach, whereas beach erosion of the other site in GW04 section has been increased indeed. Therefore, we suggest that it is need to continuous monitoring using DGPS and various surveying techniques to prevent beach erosion onto the GW04 section.

인간의 활동뿐만 아니라 연안 지역의 경제적 피해와 환경 보존에 미치는 해안 침식의 영향은 여러 국가 정책 중에서 주요 관심사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거진항 지역에 위치한 해변을 대상으로 해안 침식의 영향을 판단하기 위한 해안선 변화 및 해빈 단변에 대한 물리적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는 해수면 상승, 폭풍, 고파랑 및 인위적 건축물에 의한 복잡한 원인들에 의하여 거진 해변에서 명확한 해안 침식이 일어나고 있는 것을 보여주었다. 특히, 자산천 하구 부근에서는 표사 유입으로 인한 안정된 해빈폭을 유지하고 있었으나, 나머지 구간에서는 해빈폭의 전진 현상보다는 후퇴 현상이 증가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GW04 지역은 해안침식에 대하여 불안정한 상태에 놓여 있다고 판단되며, DGPS와 다양한 측량 조사 방법에 의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관찰이 필요하다고 본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원도 (2010), 해안침식지역 물리조사용역 보고서, 환동해출장소.
  2. 강원도 (2011), 2010년도 연안침식모니터링 보고서, 환동해출장소.
  3. 고성군 (2010), 고성군 해안침식 실태조사 및 방지대책 수립 용역 보고서, 고성군청.
  4. 김무홍, 남수용 (2005), 우리나라 연안침식 모니터링의 현황 및 향후계획(상), 항만, 한국항만협회, 통권96호, pp. 27-41.
  5. 김인호, 김진훈, 최재석, 송동섭 (2010), 강원도 해안침식 지역 물리조사 연구,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한국지리정보학회, pp. 146-147.
  6. 김인호, 송동섭 (2011), 항공 및 위성사진을 이용한 동해안 해빈 변화 분석,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한국지리정보학회, pp. 114-115.
  7. 위광재, 정재욱 (2006), LiDAR 데이터를 이용한 해안선 추출 알고리즘 개발,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24권, 제2호, pp. 209-215.
  8. 이재원, 김용석 (2007), RTK-GPS와 항공사진을 이용한 해안선 변화량 분석,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25권, 제3호, pp. 191-198.
  9. 이형석, 김인호 (2007), DGPS를 이용한 해안선 변화 조사 및 분석-강원도 강릉시 연안을 중심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한국지리정보학회, 제10권, 제2호, pp. 1-10.
  10.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6), 해안개발사업에 따른 해안침식 영향 저감방안 연구 보고서.
  11. 해양수산부 (2004), 연안침식 모니터링 체계구축(I) 용역 보고서.
  12. Ariana, M., R. Larry, and O. M. Allen (2011), Coastal construction trends in response to coastal erosion: an opportunity for adaptation, J. of Coastal Conservation, Vol. 15, No. 1, pp. 61-72. https://doi.org/10.1007/s11852-010-0120-5
  13. Hsu, T. W., T. Y. Lin, and I. F. Tseng (2007), Human Impact on Coastal Erosion in Taiwan, J. of Coastal Research, Vol. 23, No. 4, pp. 961-973.
  14. Lorenzo, F., A. Alonso, and J. L. Pages (2007), Erosion and accretion of beach and spit systems in northwest Spain: A response to human activity, J. of Coastal Research, Vol. 23, No. 4, pp. 834-845.

Cited by

  1. KOMPSAT-2 영상과 항공 LiDAR 자료를 이용한 3차원 해안선 매핑 vol.33, pp.1, 2012, https://doi.org/10.7848/ksgpc.2015.33.1.23
  2. 비디오 영상 기반의 해운대 해빈 변동특성 vol.31, pp.1, 2012, https://doi.org/10.5574/ksoe.2017.31.1.060
  3. A numerical model study for simulation of rocky coast evolution and erosion using cosmogenic nuclides: A case study along the Dunduri and Dokdo shore platform in Korea vol.57, pp.2, 2021, https://doi.org/10.14770/jgsk.2021.57.2.1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