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비슬산 진달래나무군락지의 식생특성과 관리방안

Management Methods and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Rhododendron mucronulatum Habitat in Mt. Biseul

  • 박인환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 조광진 (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Park, In-Hwa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Cho, Kwang-Ji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2.04.23
  • 심사 : 2012.06.07
  • 발행 : 2012.06.30

초록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vegetation of Rhododendron mucronulatum habitat in Mt. Biseul to recommend basic information for syn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methods. The survey was carried out from May to July, 2011 and totally 46 vegetation data including 42 families 93 genera 108 species 16 varieties and 5 form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mong the investigated 129 taxa, the numbers of rare plant resources were summarized as 19 taxa; The rare plants designated by Korea Forest Service,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and the endemic plants were listed as 3 taxa, 15 taxa and 4 taxa, respectively. Rhododendron mucronulatum habitat of Mt. Biseul was classified into 3 plant communities (Carex lanceolata-Rhododendron mucronulatum community, Potentilla dickinsii-Selaginella rossii community, Carex lanceolata-Quercus mongolica community). Carex lanceolata-Rhododendron mucronulatum community was subdivided into Tripterygium regelii subunit and Miscanthus sinensis for. purpurascens subunit by human interference degree. And synecology, syndynamics, synchorology of these plant communities were identified, and Site-species ordination analysis by Principal Coordinate Analysis (PCoA) reflected that human impact, soil moisture condition were main ecological factors determining the distribution pattern of classified plant communities. Therefore these plant communities correspond to quite distinctive 4 habitat types : unstable-dry type=Miscanthus sinensis for. purpurascens subunit, unstable-moderate type=Tripterygium regelii subunit, stable-dry type=Potentilla dickinsii-Selaginella rossii community, stable-moderate type=Carex lanceolata-Quercus mongolica community. Finally, through the vegetational diagnosis, proper management methods such as a limit on the access of visitors, planting of native woody plants after removing unwanted vines or grass were suggested.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기억. 2009. 참꽃을 피워라. 달성 비슬산 개화율 60-70% 원인 못창자 발동동. 영남일보 2009년 4월 2일.
  2. 김종원. 2004. 자연과 인간. 서울 : 월드사이언스.
  3. 김종원.이율경. 2006. 식물사회학적 식생조사와 평가방법. 서울 : 월드사이언스.
  4. 국립수목원. 2010.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한국특산식물목록. [검색 2010년 7월 20일]. 인터넷주소 : http://www.nature.go.kr/.
  5. 남영우. 1970. 진달래의 입지선택에 관한 연구. 한국식물학회지 13(3) : 25-31.
  6. 박소영.안영희.이석창.최창호. 2008. 함박꽃 나무의 분포와 자생지 생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 가을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17(1) : 569-570.
  7. 박수현. 2009. 세밀화와 사진으로 보는 한국의 귀화식물. 서울 : 일조각.
  8. 배병호.이호준. 1999. 식생보전을 위한 소나무림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22(1) : 21-29.
  9. 산림청. 2000. 산림과 임업기술 제2권. 대전 : 산림청 사유림지원과.
  10. 송천영.이종석. 2003. 한국 자생 화목류 진달래, 철쭉, 개나리 및 수수꽃다리의 시기별 화아 분화 과정. 한국원예학회지 44(3) : 373-380.
  11. 안득수.김창환. 2001. 지리산 바래봉 일대 철쭉속(Rhododendron) 군락의 식생과 경관 복원에 관한 연구. 한국산림휴양학회 5(1) : 73-85.
  12. 안영희.현영남. 2009. 중국 장백산의 진달래과 식물분포와 생태적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9(2) : 35-39.
  13. 이우철. 1996.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서울 : 아카데미서적.
  14. 이재석.임안나. 1998. 우리나라 진달래와 철쭉 자생지의 토양특성과 잎의 무기성분함량.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연구논문집 57 : 141-149.
  15. 이창복. 2003. 원색대한식물도감. 서울 : 향문사.
  16. 이호준.김종홍.전영문.정흥락. 2003. 영종도 삼림식생의 군락생태. 한국생태학회지 26(5) : 223-236.
  17. 전영권.손명원. 2004. 대구 비슬산지 내 지형자원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0(1) : 53-66.
  18. 정용규. 1995. 남한의 임연군락에 대한 군락분류학적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조광진. 2004. 한반도 동남단일대의 소나무림과 해송림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특성.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채창수. 2010. 비슬산 참꽃 볼품없어지다. YTN 2010년 5월 9일.
  21. 한국산지보전협회. 2006. 나무건강. 서울 : 서울대학교 출판부.
  22. 현영남. 2010. 중국 장백산의 진달래과 식물분포와 생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환경부. 2006.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지침. 과천 : 환경부.
  24. Becking, R. W. 1957. The Zurich-Montpellier school of phytosociology. Bot. Rev. 23 411-488. https://doi.org/10.1007/BF02872328
  25.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lolgie 3rd ed. Wien : Springer.
  26. Gauch. H. G. 1982. Multivariate analysis in community ecology. Combridge university. 298p.
  27. Kim, J. W..Y. I. Manyko. 1994. Syntaxonomical and synchor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ol-temperate mixed forest in the southern Sikhote Alin. Russian Far East. Kor. J. Ecol. 17(4) 391-413.
  28. Westhoff, V..E. van der Maarel. 1973. The Braun-Blanquet approach. In. R.H. Whittaker, ed., Ordination and Classification of Community. Dr. W Junk b. v., The Hag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