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하천 제방 비탈면 녹화용 자생 지피식물의 종자발아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Seed Germination of Native Plants for Revegetation on the Slope of River bank

  • Cho, Yong Hyeo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Kim, Eun Su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of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Kang, Hee Kyoung (Dept. of Horticultur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Cheong, Yong Moo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2.02.16
  • 심사 : 2012.03.26
  • 발행 : 2012.04.30

초록

To investigate the attributes of seed germination of the plants for greening of river bank slope, low-temperature treatment, chemical treatment, plant hormones treatment, and stratification were conducted using the seeds of 6 herbs growing naturally around river banks, such as Setaria glauca and faberii,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Miscanthus sinensis, Pennisetum alopecuroides, Lespedeza cuneata and the seeds of 3 shrubs, such as Lespedeza bicolor., Rosa multiflora, Spiraea prunifolia for. simpliciflora. The findings are as follows. In case of herbs, Setaria glauca and faberii. have stone seeds. In the treatment with $H_2SO_4$, they were germinated through dormancy breaking, even though there were some differences depending on immersion time, and the germination rate of Setaria faberii was a bit higher than that of Setaria glauca. The germination rate of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was low in the treatment with $GA_3$, NAA, and the plant hormone, but the seed germination rate has improved and the germination rate of Miscanthus sinensis and Pennisetum alopecuroides showed the improved seed germination rate in low temperature treatment. In case of Lespedeza cuneata and bicolor, the leguminous plants, the treatment with $H_2SO_4$ was most effective for the improvement of seed germination and the decrease in germination time. Only Spiraea prunifolia for. simpliciflora, the rose among 3 woody plants showed the seed germination rate above 50% without any additional treatment. Thus, it was thought to be appropriate for greening. Rosa multiflora showed the attribute of germination in a dark condition at low temperature through stratification, despite its low germination rate. Based on the results as above, with respect to the greening using directly collected seeds, Miscanthus sinensis, Pennisetum alopecuroides, and Spiraea prunifolia for. simpliciflora are suitable for greening, because they do not need any additional treatment, and Lespedeza cuneata and bicolor are also suitable for greening becaus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germination rate and reduce the germination time through the treatment on the seeds before sowing.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우생.이장호.이명구. 2001. 개갑 인삼종자의 발아 적정 저온감응기간. 한국인삼연초연구원 24(4) : 167-170.
  2. 김남춘.윤증서.배선우.손원주.정성철. 2002. 비탈면 조기수림화를 위한 녹화용 식물의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5(6) : 72-85.
  3. 김남춘. 1997. 주요 초본식물의 비탈면 파종적기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5(2) : 62-72.
  4. 김석현. 2004. 갈대와 띠 종자의 정선기술 개발. 한국잔디학회지 18(1) : 29-36.
  5. 김원식. 2009. 한강 하천 제방 호안공법에 따른 식생분포 특성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진석.김태준.유창모.조광연. 1993. 강아지풀 종자의 종별 발아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잡초학회. 13(1) : 27-28.
  7. 김진석.김태준.조광연. 1996. 강아지풀 종류별 종자발아특성과 제초반응 차이. 한국잡초학회지. 16(3) : 187-193.
  8. 김태구. 2003. 한지형 잔디류의 발아촉진을 위한 종자처리효과. 밀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10.
  9. 김혜주. 2008. 자연형하천계획.설계. 태림문화사. p.122.
  10. 남광우. 2004. 몇 가지 미세 야생식물의 정선기술.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20.
  11. 농촌진흥청 원예연구소. 1999. 시험연구보고서. 1998. p.203.
  12. 박상길.김상두.김가야. 2001. 동천하구의 친자연형 하천공법에 관한 연구. 도시연구보 11(1) : 65-73.
  13. 서동욱. 2009. 녹화용 자귀나무. 참싸리. 비수리. 낭아초와 안고초의 발아에 미치는 세균의 영향.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17.
  14. 서형민. 2004. 직파조림을 위한 파종립의 종자처리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12. p.35.
  15. 안영희.이택주. 1997. 자생식물대백과. 생명의 나무.
  16. 안영희.정연택. 2005. 녹화용으로 유망한 자생 화본과 식물의 발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녹지환경디자인학회 1(1) : 24-30.
  17. 윤중서. 2001. 온도에 따른 녹화용 식물의 발아율.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16.
  18. 이종석.한승원. 2007. 제주도 자생 참억새의 종자발아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0(1) : 11-14.
  19. 임재홍.김동욱.장성완. 1999. 비탈면녹화용 몇가지 자생식물의 종자발아특성.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2(3). p.28.
  20. 임채신.오주열.석용철.김도한. 2010. 채종시기 및 GA3처리가 적수크령 종자의 발아율 향상에 미치는 영향. 농업생명과학연구. 44(6) : 1-7.
  21. 전기성.우보명. 1999. 사면 녹화용 외래초종과 재래 목.초본식물의 적정 파종량 및 혼파비에 관한 연구(1).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2(2) : 33-42.
  22. 정연택. 2004. 녹화용 자생 화본과 식물개발을 위한 자생지 및 발아특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12.
  23. 최규창.이춘석. 1999. 자연형 하천 식생복원을 위한 달뿌리풀. 물억새. 솔새. 수크령의 녹화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2(2) : 70-77.
  24. 최정권. 2002. 도시하천의 생태적 보전과 복원. 도시문제 37(4) : 42-55.
  25. 최충호.서병수.김선영.박우진. 2007. 열탕처리시간이 자귀나무 종자의 수분흡수 및 발아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원식물학회지. 20(4) : 267-271.
  26. 허영진.김민호.차고운.안태영. 2010. 붉나무.참싸리.비수리 종자의 침지 처리가 발아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3(2) : 42-51.
  27. 환경부. 2009. 생태계교란야생동식물자료집 p.99.
  28. 황판금. 2005. 라벤더 종자발아에 미치는 온도. 광 및 Priming 처리의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20.

피인용 문헌

  1. Germination Characteristics and Maturity by Production Time of Chamaecrista nomame, Lespedeza cuneata and Lespedeza bicolor Seed in Fabaceae Plant vol.27, pp.4, 2014, https://doi.org/10.7732/kjpr.2014.27.4.359
  2. Community Formation Comparison of Herbaceous Perennials planted on Urban Stream Levee Slope vol.42, pp.1, 2014, https://doi.org/10.9715/KILA.2014.42.1.133
  3. Germination Characteristics and Shape of Indigofera amblyantha Seed for Slope Revegetation vol.17, pp.2, 2014, https://doi.org/10.13087/kosert.2014.17.2.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