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대구시 소방권역별 접근성 분석을 이용한 구조대 재편방안

A Study on Reorganization of Rescue Team by Using Analysis of Accessibility on Fire Station Area in Daegu City

  • 투고 : 2012.07.04
  • 발행 : 2012.09.25

초록

In a fire situation, the priority is fast and safe rescue. Therefore, because of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rescue team, specify the criteria of equipments as act. But it can't be helped appear vulnerable area according to the problems such as province fiscal conditions and budget. in this study suggest improvemen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tual road and emergency vehicles through accessibility analysis. In the process of vulnerable area deduction, the area of service area is wider, the larger number of vulnerable buildings. And analyze that especially approximately 77% of the entire are vulnerable buildings. Jung-gu, Daegu, the center of the approach is only 3% of vulnerable buildings, but as a whole of Daegu, Within 5 minutes from the rescue team are difficult to access the building by about 30 percent. In order to improve it, Station of jurisdiction that need to be adjusted or additional installations proposed regional strategy for the reorganization. According to the proposed strategy to evaluate the improvement, vulnerable about the whole building from 140,000 to 70,000 could be reduced by half. Alternative to reduce the vulnerability of buildings according to the percentage reduction in overall approximately 30-16% can be reduced. If use the result of study, it will be able to set priorities of expansion of rescue team, and utilized to predict macroscopic vulnerable area in Daegu city.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한국연구재단

참고문헌

  1. 정규동, 이지수, 최준호, 홍원화, 대구시 소방권역별 접근성 분석을 통한 구조대 도달 취약지 도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pp.170-173, 2012. 05
  2. 이선영, GIS를 이용한 소방활동 발생의 공간적 분포와 출동 체계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3. 제진주, 소방력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소방력 배치제도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4. 송희종, GIS 접근성 분석을 활용한 소방서 방재 서비스 권역 조정,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5. 김근영, 수도권지역의 최대수용인구 입지이론에 의한 소방서 입지선정, 대한국도.도시계획학회, 38(3), pp.317-324, 2003
  6. 이홍섭, 韓.日소방환경 및 소방력 운용에 관한 비교분석 : 서울, 토쿄를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7. 김희철, 특수 소방차량의 효율적인 재배치 방안에 관한연구 : 광주광역시 소방관서를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8. 홍원화, 김동식. 전규엽, 대구지하철화재 소방 활동 조사 분석을 통한 지하 공간 대형화재 시 소방 활동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0(11), pp. 203-302, 2004
  9. 김경아, 119안전센터 서비스 공간적 범위에 대한 연구 : 서울 특별시를 대상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10. 최진종, 한국의 소방력 배치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11. 류태창, 다기준의사결정을 이용한 응급시설의 공간입지 분석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12. 양병윤, GIS를 활용한 응급의료지의 효과적 분포 : 강원영 동권역의 응급의료를 대상으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13. 홍원화, 김태현, 전규엽, 대구지하철화재 현장수습체계 분석을 통한 신도시 재난대응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0(10), pp. 303-310, 2004
  14. 백동승, GIS를 이용한 도시방재 시스템 구축방안 연구 : - 대구광역시 소방지리정보시스템을 중심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7(4), pp.109-118. 2004.
  15. 백동승, 도시재난관리체제에 관한 연구 : -소방을 중심으로, 안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16. 도영희, 택지개발 사업지구의 보행생활권역 예측과 중심가로망 설정에 관한 연구 :- 신서혁신도시 사례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17. Petak, W.J, Emergency management : A challenge for public administration
  18. Mushkatel, A. H, Emergency management and the intergovernmental system, PAR. vol 45
  19. 방호실무 I II III, 경상북도 소방학교, 2010
  20. 대구 소방본부 홈페이지, http://119.daegu.go.kr/
  21. ESRI 홈페이지, http://www.esri.com/libr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