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management strategies through aesthetic landscape assessments for landscape units in the Han River riparian(HRR) area. First, this research reclassified the HRR into "natural," "artificial," "agricultural," and mixed landscape types and selected 37 representative case areas(about $1km{\times}1km$). This study found 71 landscape units in consideration of topography and land surface classification. Landscape assessment consisted of landscape quality and landscape integration assessment. The criteria for assessing landscape quality were "naturalness," "interest," "uniqueness," and "landscape function." "Landscape quality" was ranked into five grades using a matrix. The landscape integration assessment consisted of an inner integration assessment in each landscape unit and outer integration assessment among landscape units. As a result of the field study, case sites were found to have 4,288 landscape units and an area of $42.8km^2$. The forest area was found to have the most space with $11,580,905m^2$(27.1%), while the wet lands had just $52,348m^2$(0.1%). In the landscape quality assessment, about 30.5% of the total area consisted of landscape units that scored highest in "naturalness". In the landscape integration assessment, about 39.3% of the total area consisted of landscape units which scored highest in "integration", denoting visual interrelation and harmony. The existence of disparities in landscape quality in accordance with the form of the landscaping was determined using a Oneway ANOVA, with "naturalistic" landscaping scoring the highest and "artificial" landscaping scoring lowest.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making the HRR area a more ecologically sound and visually attractive landscape space. It is recommended that the aesthetical and ecological value of the landscape unit should be assessed simultaneously in the future.
본 연구의 목적은 한강 수변을 대상으로 경관단위에 기반한 심미적 경관평가를 통해 수변경관의 관리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먼저, 한강 수변을 자연형, 인공형, 농경지형, 혼합형의 수변유형으로 구분한 후, 대표적인 사례지 36개소(약 $1km{\times}1km$)를 선정하였다. 그 후, 지형과 지피의 경관생태적 측면을 고려하여 총 71개의 경관단위를 설정하였다. 경관평가기준은 경관질과 경관통합성으로 구분하였다. 경관질은 자연경관미, 흥미성, 희귀성, 경관기능을 평가기준으로, Matrix기법을 통해 5등급 평가체계로 평가하였다. 경관통합성 평가는 경관단위 내부통합성과 경관단위간 외부통합성으로 구분된다. 현장조사를 통해 평가한 결과, 전체 사례대상지의 경관단위수는 4,288개이며, 총면적은 약 $42.8km^2$이었다. 경관단위별로 분석한 결과, 산림지가 전체 면적의 약 27.1%($11,580,905m^2$)로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으며, 습지가 전체 면적의 0.1%($52,348m^2$)로 가장 낮았다. 경관질 평가에서는 전체 면적의 약 30.5%가 '상'으로 평가받아 높은 자연경관미를 가지고 있었다. 경관통합성 평가에서, 전체 면적의 39.3%가 인접 경관단위간의 통합성이 '상'으로 나타나, 경관단위간의 시각적 연계성과 조화성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수변유형에 따라 경관질 등급의 차이가 있는지를 Oneway ANOVA를 통해 검정한 결과, 자연유형의 경관질 등급이 뚜렷하게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한강 수변을 생태적으로 건강하고 경관적으로 아름다운 공간으로 조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각 경관단위가 가지고 있는 심미적 가치와 생태적인 가치를 동시에 평가해볼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