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Vertical Fragmentation of the Regional Industries : Using Average Propagation Length in the Multi-Regional Input-Output Table in 2005

지역 산업의 생산 분화 과정 분석 : 2005년 지역 간 투입산출표의 평균전파길이 추정

  • Kim, Eui-June (Department of Agricultural Economics and Rural Develop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
  • Yi, Yoo-Jin (Department of Agricultural Economics and Rural Develop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
  • Chang, Jae-Won (Department of Agricultural Economics and Rural Develop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
  • Choi, Eun-Jin (Department of Agricultural Economics and Rural Develop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 김의준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지역정보전공) ;
  • 이유진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지역정보전공) ;
  • 장재원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지역정보전공) ;
  • 최은진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지역정보전공)
  • Received : 2011.11.30
  • Accepted : 2012.01.15
  • Published : 2012.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cess of vertical fragmentation of regional industries in Korea using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index (RCA) and Average Propagation Length (APL). First of all, the competitiveness in regional export and substitution of regional imports were strong in the Electricity, Gas, and Water supply sector in Gyeongnam, and consumer-oriented Manufacturing sector in Incheon, Gyeongnam, and Gwangju. The high values of the APL were also found in the regions with common similarity with respect to the industrial structure and the sectors with indirect effects. In addition, the industrial sectors with high quality of infrastructure, and endowed services tended to be located in the beginning of the production chain. FInally, since manufacturing and service sectors in Seoul has higher APL, they could lead the growth of other related industries as key sectors, in the production fragment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지역 산업의 수직적 생산 분화를 분석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5년 16개 지역 간 산업연관표를 대상으로 현시비교우위지수를 적용하여 지역 산업의 이출경쟁 및 이입대체 능력을 분석하였고 평균전파길이를 추정하여 산업의 분화 정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로 우선, 경남지역에서는 전기가스수도업에 대해, 인천, 광주 지역에서는 소비제조업에 대해 이출 경쟁력 및 이입 대체 경쟁우위가 나타났다. 또한 평균전파길이는 해당 지역이 공간적, 사회경제적으로 인접할수록, 간접 생산유발효과의 비중이 클수록 높게 나타났다. 산업기반이 발달한 지역일수록, 타 산업에 중간재를 공급하는 기능이 강할수록 생산 사슬 내에서 전방에 위치하였다. 마지막으로 대규모 공단 입지 지역의 제조업 및 서울 소재 서비스업은 전, 후방 평균전파길이가 모두 길게 나타나 이들 산업의 분화 정도가 높으며 산업군의 동반성장을 유도하는 선도 산업의 성격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