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사이버가정학습 효과성 영향요인 분석

The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Impact of Cyber Home Learning on Elementary Grade

  • 신수범 (공주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한국교육학술정보원) ;
  • 신성욱 (공주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한국교육학술정보원)
  • Shin, Soo-Beom (Dept. of Computer Education,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Korea Educational Research & Information Service) ;
  • Shin, Sung-Wook (Dept. of Computer Education,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Korea Educational Research & Information Service)
  • 투고 : 2012.02.08
  • 심사 : 2012.03.07
  • 발행 : 2012.03.31

초록

본 연구는 사이버가정학습의 효과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선행연구들을 분석하고 효과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 요인들을 선별했다. 본 연구에서는 효과성을 학생들의 수업참여 의도로 가정했고 이 의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는 수업의 가치성, 사이트 사용성 그리고 주관적 규범 등으로 간추렸다. 우리는 이 요인들을 바탕으로 설문지를 작성하였고 경기도 지역 초등학교 6학년 학생에게 설문을 배포, 수합하여 확인요인분석 과정을 거쳤다. 그리고 설문을 수정하고 수정된 설문지를 학생들에게 재투입을 하였다. 여기서 얻어진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연구가설을 설정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분석 결과 설정된 연구모형과 가설이 모두 수용되었다. 이외에도 본 연구에는 본 연구의 제한사항과 연구 제언이 포함되어 있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previous studies and collected important factors that can have an impact on the effectiveness of Cyber Home Learning. We were supposed to regard the effectiveness as an intention to attend the class. We selected the instructional value, website usability, subjective norms as factors that can have an impact to this intention. We conducted the survey based on these factors. We distributed and collected data from 6th grade elementary students in Kyungki Province. And also we perform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fter modifying the survey, we gave it again to the students. Finally we were able to establish my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They are accepted through the result of the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oreover, included in this study are the restrictions and suggestion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