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pplication and Need of Korean Popular songs as the Educational Contents

교육적 콘텐츠로의 한국 대중가요의 활용과 필요

  • Received : 2012.02.14
  • Accepted : 2012.03.27
  • Published : 2012.04.28

Abstract

The social and cultural influence about the popular music in Korea has been increased and the industry of popular culture has been also growing compared with other fields. In addition to this, many universities in Korea tends to establish departments of popular music for undergraduate and graduate program. Firstly, this paper suggest that the analysis of popular songs can be raised the academic value by the modern music theory. Secondly, the database of Korean popular songs should be built up so that popular songs can be classified to various aspects such as composers, musical style etc. As a result, Korean popular music deserves special consideration not just for the industrial value but for the contents of music education. Furthermore, these research can contribute that popular songs should be regarded and applied as a educational contents for the academic development and social improvement.

한국의 대중가요는 문화적 그리고 사회적 영향력이 점점 커지고 있으며 산업적 규모도 다른 예술적 장르보다 비중이 높다. 또한 대학 등과 같은 교육기관의 전공신설과 대학원 과정에서의 실용음악 분야가 크게 증가하면서 대중가요는 사회문화적 경향뿐만 아니라 교육적 그리고 학술적 연구대상으로의 가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전통적 측면의 음악분야에서와 마찬가지로 한국의 대중가요는 교육적 콘텐츠로써 활용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학술적 연구대상으로 대중가요의 정립과 분석을 그 활용 방안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또한 대중가요의 작곡가와 시대별 가요경향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의 필요와 효과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대중음악에 대한 학술적 발전과 다양한 사회적 활용의 기반이 마련되어질 수 있으며 또한 예술교육의 내용적 측면에서도 많은 부분 기여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박경자, "한국 대중가요에 나타난 일본음계의 고찰-요나누끼 음계를 중심으로", 한국음악학논문집, p.534, 1994.
  2. 이수완, "아도르노와 대중음악", 낭만음악 , 통권71호, pp.23-45, 2006.
  3. 이혜숙, 손우석, 한국 대중음악사, 리즈앤북, 2003.
  4. 문화체육관광부, 음악산업진흥 중기계획, 2009.
  5.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2007 음악산업백서, 2008.
  6. http://www.gaonchart.co.kr/main/section/album/list.gaon
  7.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2008 음악산업백서, 2009.
  8.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2009 음악산업백서, 2010.
  9.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2009음악산업백서, 2010.
  10. 오지선, 한국근대 음악교육, 예솔, 2003.
  11. 이정선, "대학 실용음악교육의 시작과 학과 개설 형태", 음악교육연구, 제38집, pp.120-121, 2010.
  12.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2006, 2009 음악산업백서, 2007, 2010.
  13.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2006-2009 음악산업백서, 2007-2010.
  14. Allen Forte, The American Popular Ballad of the Golden Era, 1924-1950,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5.
  15. Elizabeth West Marvin and Richard Hermann (Ed.), Concert music, rock, and jazz since 1945: Essays and Analytic Studies, University Rochester Press, 2002.
  16. Steve Larson, "Schenkerian Analysis of Modern Jazz: Questions about Method," Music Theory Spectrum, Vol.20, No.2, pp.209-241, 1998. https://doi.org/10.1525/mts.1998.20.2.02a00020
  17. 김요한, "공연예술 장르의 콘텐츠 구축 -개별 작품의 DB 구축 사례를 중심으로",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제14권, pp.185-202, 2005.
  18. 조국정, 석혜정, "영화 비주얼 이펙트 제작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자료검색 시스템 제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집, 제9권, 제6호, pp.92-102,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6.092
  19. 한혜진, "뮤지컬 문화공연 콘텐츠의 원소스 멀티유즈 활용방안", 한국콘텐츠학회 2006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제4권, 제2호, pp.180-184,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