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ndard Translation of Terms of Korean Medicine through Consideration of Chinese-Korean Collated Medical Classics - With focus on 『Eonhaegugeupbang』, 『Eonhaetaesanjipyo』 and 『Eonhaetaesanjipyo』 -

언해의서 비교고찰을 통한 한의학용어의 번역표준안 - 『언해두창집요』, 『언해구급방』, 『언해태산집요』를 중심으로

  • Ku, Hyunhee (Medical History and Literature Research Group,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
  • Kim, Hyunkoo (Medical History and Literature Research Group,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
  • Lee, JungHyun (Medical History and Literature Research Group,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
  • Oh, Junho (Medical History and Literature Research Group,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
  • Kwon, Ohmin (Medical History and Literature Research Group,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 구현희 (한국한의학연구원 문헌연구그룹) ;
  • 김현구 (한국한의학연구원 문헌연구그룹) ;
  • 이정현 (한국한의학연구원 문헌연구그룹) ;
  • 오준호 (한국한의학연구원 문헌연구그룹) ;
  • 권오민 (한국한의학연구원 문헌연구그룹)
  • Received : 2012.10.31
  • Accepted : 2012.11.29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This article set out to develop an old Chinese - modern Korean collated terminology by analyzing and paralleling Chinese-Korean translational terms relevant to Korean medicine at a minimum meaning unit from "Eonhaegugeupbang", "Eonhaetaesanjipyo" and "Eonhaetaesanjipyo". Those are composed of original Chinese texts and their subsequent corresponding Korean translations. It tries to make a list of translational standards of Korean medicine terms by classifying the cases of translational ambiguity in terms of disease, body position, thumbnail-pressing acupuncture method, and disease-curing method. The above-mentioned ancient books are medical classics written by Huh Jun, the representative medical physician, and published by the Joseon government. Thus, they are appropriate enough as historically legitimate medical documents, from which are drawn out words and terms to form an old Chinese - modern Korean collation dictionary. This collation glossary will contribute to the increased relevance of data ming, or information retrieval. in a database system and information search engine of massive Korean medical records, by means of providing a novel way to obtaining synchronized results between the original writings of old Chinese and the secondary translated ones of modern Korean. The glossary will promote the collective but consistent translation of numerous old archives of Korean medicine and in other related fields as well.

Keywords

References

  1. 안상우 외 역. 언해두창집요. 한국한의학연구원. 2011.
  2. 안상우 외 역. 언해구급방. 한국한의학연구원. 2011.
  3. 안상우 외 역. 언해태산집요. 한국한의학연구원. 2011.
  4. 홍윤표 외 간. 17세기국어사전. 태학사. 1995.
  5. 남광우. 교학고워사전. (주)교학사. 1997.
  6. 한글학회 편. 우리말큰사전V.4(고어편). 어문각. 1992.
  7. 신경철. 국어자석연구. 태학사. 1993.
  8. 윤석희, 김형준 역. 동의보감. 동의보감출판사. 2006.
  9. 노석선. 原色 皮膚科學, (주)아이비씨기획. 2006.
  10. 강유리. 救急簡易方諺解와 東醫寶鑑湯液篇의 약재명에 대한 비교. 공주대 대학원. 2004.
  11. 강진주. 15.16세기 의약서 언해의 표기와 음운 현상 연구. 전북대 대학원. 2012.
  12. 김민수. 언해두창집요의 의사학적 고찰. 경희대 대학원. 2003.
  13. 김중권. 許浚의 諺解救急方, 諺解痘瘡集要, 諺解胎産 集要에 관한 書誌學的 硏究. 중앙대 대학원. 1994.
  14. 김현진. 救急方諺解의 표기법과 음운현상 연구. 공주대대학원. 2010.
  15. 원순옥. 救急方諺解의 語彙 硏究. 대구효성가톨릭대 대학원. 1996.
  16. 육신영. 언해태산집요에 대한 번역 연구. 동국대 대학원. 2008.
  17. 윤혜정. 諺解救急方의 국어학적 연구. 서울 숙명여대. 1996.
  18. 정순덕. 구급방의 의사학적 연구. 경희대대학원. 2009.
  19. 정은아. 許浚의 諺解胎産集要에 對한 硏究. 경희대대학원. 2003.
  20. 채인숙. 17세기 醫書諺解의 국어학적 고찰. 한양대 대학원. 1986.
  21. 강순애. 새로 발견된 내의원자본 언해두창집요의 연구. 서지학회. 2000.
  22. 김남경. 구급 간이방의 국어학적 연구. 한국어문연구. 2000;70.
  23. 김남경. 諺解救急方下의 국어학적 고찰. 국어사연구. 2004;4.
  24. 김남경. 구급방류 구문연구-증세구문을 중심으로. 민족문화논총. 2003;33.
  25. 김남경. 구급방류 의서의 구문 연구-처방과 관련된 구문을 중심으로. 語文硏究. 2007;53.
  26. 김남경. 구급방류 의서의 언해 비교-동일 원문을 대상으로. 언어과학연구. 2005;32.
  27. 김영신. 救急方諺解 상하의 어휘 고찰-붙임(어휘 색인). 수련어문학회. 1976;4.
  28. 김유범. 언해태산집요의 국어학적 특징에 대하여. 국어사연구. 2009;9.
  29. 김중권. 諺解救急方의 서지학적 연구. 서지학연구. 1994;10.
  30. 김중권. 諺解胎産集要의 서지적 연구. 서지학연구. 1993;9.
  31. 김중권. 諺解痘瘡集要 서지학적 연구. 현대사회과학연구. 1994;5.
  32. 김희경. 한자어의 번역 어휘 연구. 한국어문학회. 2011;112.
  33. 박영섭. 救急方諺解 上.下에 나타난 한자 對譯語 및 어휘 연구(2). 강남대논문집. 2002;39.
  34. 박영섭. 救急方諺解 上.下에 나타난 한자 對譯語 및 어휘 연구(1). 강남대논문집. 2001;37.
  35. 박영섭. 胎産集要諺解에 나타난 한자 對譯어휘 硏究(1). 인문과학논집. 2004;13.
  36. 박영섭. 胎産集要諺解에 나타난 한자 對譯어휘 硏究(2). 인문과학논집. 2005;14.
  37. 석주연. 조선 시대 의학서 언해류에 나타난 분류사의 종류와 기능. 우리말 글. 2011;51.
  38. 원순옥. 구급방(언해)의 희귀 어휘 연구. 한국말글학회. 2003;20.
  39. 이경옥. 救急簡易方諺解의 表記法 硏究. 단국어학. 1991;1.
  40. 이미향. 신자료 언해본 침구경험방의 국어학적 고찰. 국결학회. 2003.
  41. 이태욱. 언해태산집요에 나타난 17세기 국어 부정법 고찰. 언어과학연구. 2003;24.
  42. 이현숙. 언해 벽온신방과 언해 납약증치방의 역사적 의의-이화여대 소장본을 중심으로. 언해과학연구. 2003;24.
  43. 장영길. 諺解臘藥症治方의 희귀어휘 연구. 반교어문 연구. 2006;21.
  44. 장영길. 동국대 경주도서관본 諺解痘瘡集要에 대하여. 불교어문논집. 2004;9.
  45. 정순덕. 許浚의 諺解救急方에 관한 硏究. 한국의사학회. 2003;16(2).
  46. 최미현. 救急簡易方에 반영된 한자음의 변화 양상. 우리말연구. 2008;22.
  47. 최미현. 諺解胎産集要와 東醫寶鑑의 원문 대조 연구(1). 우리말연구. 2009;25.
  48. 최미현. 언해태산집요에 반영된 한자음의 변화 양상에 대하여. 새얼어문논집. 2007;19.
  49. 최미현. 언해 의서류의 역주 방법 연구. 국어사연구. 2011;12.
  50. 최중호. 언해태산집요의 약재명 한자음 연구. 한말연구. 2008;22.
  51. 최충기. 구급방류 의서의 치료구문 연구. 민족문화논총. 2009;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