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ainfall Variations of Temporal Characteristics of Korea Using Rainfall Indicators

강수지표를 이용한 우리나라 강수량의 시간적인 특성 변화

  • Hong, Seong-Hyun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 Kim, Young-Gyu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 Lee, Won-Hyun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 Chung, Eun-Sung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홍성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설공학부) ;
  • 김영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설공학부) ;
  • 이원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설공학부) ;
  • 정은성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설시스템디자인공학과)
  • Received : 2011.06.27
  • Accepted : 2012.01.19
  • Published : 2012.04.30

Abstract

This study suggests the results of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for rainfall data in the Korean Peninsula. We got the index of the rainfall amount, frequency and extreme indices from 65 weather stations. The results could be easily understood by drawing the graph, and the Mann-Kendall trend analysis was also used to determine the tendency (up & downward/no trend) of rainfall and temperature where the trend could not be clear. Moreover, by using the FARD, frequency probability rainfalls could be calculated for 100 and 200 years and then compared each other value through the moment method, maximum likelihood method and probability weighted moments. The Average Rainfall Index (ARI) which is meant comprehensive rainfalls risk for the flood could be obtained from calculating an arithmetic mean of the RI for Amount (RIA), RI for Extreme (RIE), and RI for Frequency (RIF) and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rainfalls have been mainly classified into Amount, Extremes, and Frequency. As a result, these each Average Rainfall Indices could be increased respectively into 22.3%, 26.2%, and 5.1% for a recent decade. Since this study showed the recent climate change trend in detail, it will be useful data for the research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본 연구에서는 과거에서부터 기록된 우리나라 65개의 관측소들을 대상으로 강수량 데이터를사용하여 강수빈도와 극한 지표들을 산출해 냄으로써, 지표에 따라 지역별 분포를 살펴보고 시공간적인 증 감율에 대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그 결과를 시계열로 도시함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지만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는 경우에는 통계적 방법인 Mann-Kendall 경향성 분석을 실시하여 이에 대해 파악하였다. 더불어 FARD를 이용하여 100년과 200년의 빈도확률강수량을 산정하고 이를 비교하였다. 강우특성을 크게 Amount, Extreme, Frequency로 분류하고 각각의 지수를 강우량 지수(Rainfall Index for Amount), 강우극치 지수(Rainfall Index for Extremes), 강우빈도 지수(Rainfall Index for Frequency)로 정의하고 RIA, RIE, RIF를 산술평균하여 홍수에 대한 종합적인 강우 위험도를 나타내는 평균 강우지수(Average Rainfall Index, ARI)를 산정하였다. 그 결과 과거에 비해 최근 10년간 강우량의 정량적인 평가 특성은 양적으로 22.3%, 극치사상 발생측면은 26.2%, 빈도측면은 5.1% 증가하였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연구의 결과는 최근 우리나라 기후변화 경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으므로 기후변화 대비 적응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2005). 삽교천수계 유역종합치수계획. 건설교통부.
  2. 경민수, 김형수, 김병식 (2009). "기후변화가 한반도 일 강수량의 빈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자원학회 2009년도 학술발표회 초록집, 한국수자원학회, pp. 129-133.
  3. 권영문, 박진원, 김태웅(2009). "강우량의 증가 경향성을 고려한 목표연도 확률강우량 산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9권, 제2B호, pp. 131-139.
  4. 권원태, 부경온, 허인혜(2007). "한반도 최근 10년 기후특성." 한국수자원학회 07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278-280
  5. 김보경, 김병식 (2009). "B2 기후변화시나리오와 극한지수를 이용한 기후변화가 극한 강우 발생에 미치는 영향분석."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Vol. 29, No. 1B, pp. 23-33.
  6. 김정희, 김태훈, 오재호 (2002). "한반도에서의 기후변동 특성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2002년 학술발표회 논문집(II), 한국수자원학회, pp. 1242-1245.
  7. 문기호, 경민수, 김형수 (2010). "극한강우를 고려한 SIR알고리즘과 Bootstrap을 활용한 강우빈도해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30권, 제4B호, pp. 367-377.
  8. 손태석, 신현석 (2010).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 경향성 및 유출과의 탄성도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30권, 제5B호, pp. 497-507.
  9. 오태석, 김은철, 문영일, 안재현 (2009). "빈도별 확률강우량을 초과하는 시간강우사상의특성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9권, 제6B호, pp. 513-526
  10. 이상복, 김경덕, 허준행(2004). "강수자료에 대한 변동성 및 경향성 해석." 한국수자원학회 04학술 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696-700.
  11. 이재준, 장주영, 곽창재 (2010). "각종 수문기상인자의 경년별 특성변화분석(I):기본통계량, 경향성을 중심으로."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3권, 제4호, pp. 409-419.
  12. Goodess, C. (2005). STARDEX, Statistical and Regional dynamical Downscaling of Extremes for European regions, UK.
  13. Ekstrom, M., Fowler, H.J., Kilsby, C.G., and Jones, P.D. (2005). "New estimates of future changes in extreme rainfall across the UK using regional climate model integrations. 2. Future estimates and use in impact studies." Journal of Hydrology, Vol. 300, Issues 1-4, pp. 234-251. https://doi.org/10.1016/j.jhydrol.2004.06.019
  14. Flowler, H.J. (2005). "Are extremes increasing? Changing rainfall patterns in Yorkshire." The Yorkshire and Humberside Regional Review, Vol. 15, No. 1, pp. 21-24.
  15. Jung, I.W., Bae, D.H., and Kim, G. (2010). "Recent trends of mean and extreme precipitation in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Vol. 31, No. 3, pp. 359-370.
  16. Karl, T.R. and Eastering, D.R. (1999). "Climate extremes: Selected review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Climate Change, Vol. 42, No. 10, pp. 309-325. https://doi.org/10.1023/A:1005436904097
  17. Kunkel, K.E., Pielke, Jr. R.A., and Changnon, S.A. (1999). "Temporal fluctuations in weather and climate extremes that cause economic and human health impacts: A review."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Vol. 80, No. 3, pp. 437-442.
  18. Mann, H.B. (1945). "Nonparametric test against trend." Econometrica, Vol. 13, pp. 245-259. https://doi.org/10.2307/1907187
  19. Nicholls, J.M. (1996). "Economic and social benefits of climatological information and services: A review of existing assessments." World Climate Applications and Services Programme, WMO/TD No. 78, pp. 37.
  20. Yue, S., and Hashino, M. (2003). "Long term trends of annual and monthly precipitation in Japan."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9, Issue 3, pp. 587-596. https://doi.org/10.1111/j.1752-1688.2003.tb03677.x

Cited by

  1. Comparison of Precipitation Characteristics using Rainfall Indicator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vol.33, pp.6, 2013, https://doi.org/10.12652/Ksce.2013.33.6.2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