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Core Competencies of Science-Gifted Students Based on Teachers' and Students' Perspectives

과학영재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에 대한 교사와 학생 인식

  • Received : 2012.07.03
  • Accepted : 2012.09.27
  • Published : 2012.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re competencies of science-gifted students based on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 16 core competencies of science-gifted students were draw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control, self-directed learning, knowledge in one's academic area, research, English, writing, leadership, communication skill, cooperation, and spirit of service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Second, teachers perceived self-directed learning, thinking skills, interests in one's academic area, motivation as the most important core competencies among the 16. Also, teachers perceived the educational program to raise self-control, cooper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Further discussion was reviewed.

본 연구는 과학영재들이 미래의 과학자로서 성공적인 삶을 영위하고, 높은 성취를 달성하기 위해 길러주어야 할 핵심역량에 대해 과학영재 학생들과 교원들을 대상으로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과학영재 학교에서 요구되는 16가지 핵심역량 항목을 도출하고 각 항목에 대해 중요도와 학생의 현재수준을 비교 분석하여 핵심역량에 대한 교육적 요구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핵심역량 수준에 대해 교사는 사고력을 가장 높게 평가하였지만 학생들은 연구 및 탐구능력을 가장 높게 인식하였다. 그리고 교사는 협동능력을 가장 낮게 평가하였지만 학생들은 자기효능감을 낮게 평가하였다. 둘째, 교사들은 자기주도적 학습태도, 사고력, 교과에 대한 흥미, 학습동기가 과학영재 들에게 길러주어야 할 중요한 역량으로 지각하였으며, 자기조절능력, 협동정신,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에 대한 교육적 요구 수준이 높은 것으로 인식하였다. 끝으로 과학영재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기반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동일, 오헌석, 송영숙, 고은영, 박상민, 정은혜 (2009). 대학 교수가 바라본 고등교육에서의 대학생 핵심역량: 서울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아시아교육 연구, 제10권, 제2호. 195-214.
  2. 서우석(2000). 초중등학교에서의 직업기초능력개발. 제 4차 KRIVET 정책포럼 발표자료. 한국직업능력개발원.
  3. 소경희(2006). 학교지식의 변화요구에 따른 대안적 교육과정 설계방향 탐색. 교육과정연구, 제24권, 제3호, 39-59.
  4. 손민호(2006). 실천적 지식의 일상적 속성에 비추어 본 역량의 의미: 지식기반사회? 사회기반지식. 교 육과정연구, 제24권, 제4호, 1-25.
  5. 유현숙, 김남희, 김안나, 김태준, 이만희, 장수명 (2002). 국가 수준의 생애능력 표준설정 및 학습체제질 관리 연구 I. 서울:한국교육개발원.
  6. 유현숙, 김태준, 이석재, 송선영(2004). 국가 수준의 생애능력 표준설정 및 학습체제질 관리 연구 III. 서울:한국교육개발원.
  7. 윤현진, 김영준, 이광우, 전제철(2007). 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비전연구 I .서울:한국교육과정평가원.
  8. 이광우, 민용성, 전제철, 김미영, 김혜진(2008). 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비전연구 II. 서울:한국교육과정평가원.
  9. 이광우, 전제철, 허결철, 홍원표(2009).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안 연구. 서울:한국교육과정평가
  10. 이돈희(1999). 지식기반사회의 도래와 교육의 새 로운 위상. 이돈희 외(편). 지식기반사회와 교육. 교육 부정책연구보고서. 1-22
  11. 정현철, 김환남, 이영주, 채유정, 이범진(2011). 영재학교 현황 및 제도개선 방안 연구. 대전: KAIST 과 학영재교육연구원.
  12. DeSeCo(2005).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executive summary. Retrieved October 25, 2008 from http://www. oecd.org
  13. McClelland, D. C. (1973).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Vol.28, No.1, pp.1-14. https://doi.org/10.1037/h0034092
  14. Parry, S. R.(1996). The question for competencies. Training & Development Journal, July, pp.48-56.
  15. Rychen, D. S., & Salganik, L. H.(2003). Key Competencies for a Successful Life and a Well- Functioning Society. Cambridge: Hogrefe & Huber Publishers.
  16. Sparrow, P. R.(1996). Competency based pay too good go be true. People Management, December, pp.22-25.
  17. Spencer, L. M. Jr., & Spencer, S. M.(1998). Competence at work :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New York: John Wiley.
  18. White, R. W. (1959). Motivation reconsidered: the concept of competence. Psychological Review, Vol 66, No.5. pp. 297- 333. https://doi.org/10.1037/h0040934

Cited by

  1. Study on Korean Science Teachers' Perception in Accordance with the Trends of Core Competencies in Science Education Worldwide vol.34, pp.6, 2014,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6.0535
  2. 음악영재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전문가 델파이 조사: 교육목표 및 교과목을 중심으로 vol.24, pp.5, 2014, https://doi.org/10.9722/jgte.2014.24.5.807
  3. The Research Trends in Core Competency Education in Finland: With Special Emphasis on the Analysis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ol.19, pp.3, 2015, https://doi.org/10.24231/rici.2015.19.3.645
  4. 중학교 과학 영재들의 공학 설계 과정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vol.37, pp.5, 2012,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5.835
  5. 집단지성을 활용한 폴리매스(Polymath) 활동 사례 vol.37, pp.4, 2012, https://doi.org/10.7858/eamj.2021.0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