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bone bruise associated with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전방십자인대 손상과 관련된 골멍의 패턴 분석

  • Jung, Dae-Won (Department of Orthropaedic Surgery, Maryknoll Hospital) ;
  • Kim, Chang-Wa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University of Inje, Busan Paik Hospital) ;
  • Baik, Jong-Mi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University of Inje, Busan Paik Hospital) ;
  • Seo, Seung-Suk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Bumin Hospital)
  • 정대원 (부산 메리놀병원 정형외과) ;
  • 김창완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산백병원 정형외과) ;
  • 백종민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산백병원 정형외과) ;
  • 서승석 (부민병원 정형외과)
  • Published : 2012.03.31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acute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injury and bone bruise using the survey for location and incidence of bone bruise.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 2006 to Feb. 2010, 87 knees from who had complaint a traumatic knee pain were diagnosed as acute ACL tear using MRI evaluation. Associated injury, location and incidence of bone bruise were analyzed using MRI. The location of bone bruise on the MRI was classified as medial, central and lateral area on anteroposterior and lateral view of femur and tibia. The bone bruise was classified with Costa Paz classification. Results: Bone bruise of injury during daily living activity were located at medial area on coronary view and anterior area on sagittal view of distal femur, at medial area on coronary view and anterior area on sagittal view of proximal tibia (p=0.024, p=0.021, p=0.025 and p=0.029, respectively). Bone bruise of injury during sports activity were located at lateral area on coronary view and central area on sagittal view of distal femur, at lateral area on coronary view and posterior area on sagittal view of proximal tibia (p=0.014, p=0.015, p=0.018 and p=0.017, respectively). Bone bruise patterns due to traffic accident were inconclusive (p=0.264, p=0.254, p=0.229 and p=0.267, respectively). Conclusion: Injury mechanism of acute ACL injury from activities of daily living or sports activities compared to that of traffic accident showed a more consistent bone bruise patterns. Special attention to acute ACL tear must be paid in case of bone bruise at lateral tibial plateau and lateral femoral condyle.

목적: 슬관절 손상 원인에 따른 골멍의 위치 및 빈도를 조사하여 전방십자인대 손상과 골멍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외상성 슬관절 동통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 중 MRI 촬영 이후 전방십자인대 손상이 진단된 환자 8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슬관절 MRI를 이용하여 동반된 구조물 손상 및 그에 따른 골멍의 위치 및 빈도를 분석하였다. 골멍의 위치는 대퇴골과 경골에 대해 전후방 및 측방의 MRI 영상으로 나누고 각각의 영역에 대하여 다시 내측, 중앙, 외측 3구역으로 분류하였다. 골멍은 Costa Paz가 제시한 분류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일상 생활 손상은 전체 87예 중 32예(37%), 스포츠 손상은 22예(25%), 교통사고 손상은 33예(38%)로 나타났다. 일상생활 손상의 경우 대퇴골에서는 내과의 전방 부분, 경골에서는 고평부 전방의 내측부에 골멍이 나타났다(각각 p=0.024, p=0.021, p=0.025, p=0.029). 스포츠 손상은 대퇴골에서는 외과의 중심 부분과 경골에서는 고평부 후방의 외측부에서 골멍이 나타났다(각각 p=0.014, p=0.015, p=0.018, p=0.017). 교통사고 손상은 대퇴골과 경골에서 골멍이 전반적으로 관찰되었다(각각 p=0.264, p=0.254, p=0.229, p=0.267). 결론: 일상 생활 손상이나 스포츠 손상의 경우 손상 기전이 교통사고 손상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골멍의 분포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골멍이 경골 외측 고평부 및 대퇴골 외과에 있는 경우에는 스포츠 손상에 의한 전방십자인대 손상을 강력히 의심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