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Land Value Analysis Using Space Syntax and GWR

공간구문론 및 지리적 가중회귀 기법을 이용한 지가분석

  • 김혜영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 전철민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Received : 2012.03.05
  • Accepted : 2012.04.18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Existing studies on land values tend to show the use of simple euclidean distances as the accessibility variable and OLS as the analysis method. However, applying such euclidean distance-based accessibility to dense CBD areas has limitations in the incorporating the characteristics of network structure whereas using OLS, the typical method for non-spatial data, tends to exclude spatial effects of spatial data. In this study, we analyzed land values focusing on the revised accessibility variables and the analytical technique that can include spatial effects. First, we adopted space syntax theory in order to consider not simple shortest distances along the streets but distances based on street network structure. Second, we compared OLS with GWR that includes spatial effects. Third, we used different size grid-cells for the spatial units considering MAUP theory and applied them to Gangnam-gu area. Each cell was analyzed for overall influence of independent variables using OLS, and coefficients were presented by GWR which enables local analysis and visualization. As a result, we found that suggested accessibility variables have a meaningful effects for land value analyses, and we were able to verify that GWR produces improved results compared to OLS. Also, we observed that the resulting values vary depending on the sizes of spatial units.

대부분의 지가분석 연구들은 접근성 변수로서 단순 직선거리를 사용하고, 분석방법으로는 OLS를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단순한 거리개념의 접근성을 밀집된 도시지역에 적용시키는 것은 도로 네트워크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으며, 또한 일반데이터를 위한 분석방법인 OLS는 공간데이터가 가진 공간효과를 고려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선된 접근성 변수의 개발과 공간효과를 반영한 분석기법에 초점을 두어 지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접근성 변수인 도로는 단순한 거리가 아닌 도로네트워크 형태를 고려한 기법인 space syntax를 도입하였다. 둘째, 공간효과를 고려한 GWR을 OLS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셋째, MAUP 이론을 고려하여 크기가 다른 grid-cell을 이용한 공간단위를 설정하였으며, 이를 강남구에 적용하였다. 더 나아가 각 cell별로 OLS를 통해 독립변수들의 전반적인 영향력을 해석하고, 각 계수들을 국지적인 분석과 도식화가 가능한 GWR을 통해 표현하였다. 분석결과, 접근성 변수는 지가분석에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며 GWR이 OLS보다 개선되었고, 공간단위설정에 따라 결과 값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

References

  1. 강찬덕. 2010. GWR 접근법을 활용한 부동산 감정평가 모형 연구 : 서울시 아파트를 사례로. 부동산연구 20(2):107-132.
  2. 김영욱. 2003. Space Syntax를 활용한 공간 구조속성과 공간사용패턴의 상호관련성 연구. 국토계획 38(4):7-17.
  3. 문종민. 2004. 공간구조를 고려한 도심지역의 업종별 입지특성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5쪽.
  4. 민웅기. 2007. 지가변동에 따른 도시공간구조 분석. 전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1쪽.
  5. 손지완. 2010. GWR 방법을 통한 지가추정의 공간적 변동성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0쪽.
  6. 이성우. 2006. 공간계량모형응용. 박영사. 422쪽.
  7. 이인혜. 2010. Space Syntax를 활용한 공간 구조특성의 지가산정방식 도입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0쪽.
  8. 임현식, 김영욱, 반영운. 2002. 도시공간구조와 지가의 상호관련성에 관한 연구 : 인사동 지역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8(7): 133-140.
  9. 정우화. 2009. 서울시 대중교통 이용자의 체류 공간 분포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4쪽.
  10. 정찬희, 윤재훈, 최무혁. 2010. 대구시 도심. 부도심정책이 도시공간발달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 부도심계획 공간구조분석 및 각 생활권중심지구와의 접근성과 지가의 비교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6(11): 245-255.
  11. 조동기. 2009. 건강 관련 삶의 질의 사회인구 학적 상관요인에 대한 공간분석. 한국인구학 32(3):1-20.
  12. Akaike, H. 1974. A new look at the statistical model identification. IEEE Transactions on Automatic control 19(6):716-723. https://doi.org/10.1109/TAC.1974.1100705
  13. Anselin, L. 1988. Spatial Econometrics: Methods and Models.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chsers, Dordrecht, Netherlands. 304pp.
  14. Carlton, M. and A.S. Fotheringham. 2009.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 white paper. http://ncg.nuim.ie/ncg/GWR/GWR_WhitePaper.pdf.
  15. Farber, S. and M. Yates. 2006. A comparison of localized regression models in a hedonic price context. Canadian Journal of Regional Science 3:405-420.
  16. Fotheringham, A.S., C. Brunsdon and M. Charlton. 2002.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the Analysis of Spatially Varying Relationships. John Wiley and Sons Ltd, England. 282pp.
  17. Hillier, B. 1996. Space is the Machin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 Hillier, B. 2007. Space is the Machin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68pp.
  19. Hillier, B. and J. Hanson. 1984. The Social Logic of Spa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93pp.
  20. Hillier, B., R. Burdett, J. Peponis and A. Penn. 1987. Creating life: or, does architecture determine anything?. Architecture and Behaviour 3(3):233-250.
  21. Openshaw, S. 1984. The modifiable areal unit problem. Concepts and Techniques in Modern Geography 38. Norwich : Geo Books.
  22. Peponis, J., C. Zimring and Y.K. Choi. 1990. Finding the building in wayfinding. Environment and Behaviour 25(5):555-590

Cited by

  1. Analyzing the Changes of Spatial Structure and Officially Assessed Land Price by Using Space Syntax vol.19, pp.1, 2016, https://doi.org/10.11108/kagis.2016.19.1.043
  2. Analysis of Eunpyeong New Town Land Price Using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vol.23, pp.5, 2015, https://doi.org/10.12672/ksis.2015.23.5.065
  3. Classification Analysis of Road Network-Based Land Use Considering Spatial Structure vol.17, pp.1, 2014, https://doi.org/10.11108/kagis.2014.17.1.024
  4. Application of fuzzy combination operators to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s in Seoul, Korea 2015, https://doi.org/10.1080/10106049.2015.1027290
  5. The Effect of the Regional Factors on the Variation of Suicide Rate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alysis Approach vol.24, pp.2, 2014, https://doi.org/10.4332/KJHPA.2014.24.2.143
  6. 지가 추정을 위한 공간내삽법의 정확성 평가 vol.20, pp.3, 2017, https://doi.org/10.11108/kagis.2017.20.3.125
  7. 공간분석·데이터마이닝 융합방법론을 통한 산업안전 취약지 등급화 방안 vol.40, pp.4, 2012, https://doi.org/10.11627/jkise.2017.40.4.147
  8.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odel of the Determinants Affecting the Price for the Apartment House using the Integrating Geospatial and Statistical Information vol.28, pp.1, 2012, https://doi.org/10.35149/jakpg.2018.28.1.002
  9. A Study on the Housing Sub-Market Classification Using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Model in Seoul, Korea : Focused on Accessibility to the Major Employment Centers Based on Real-Time Route Guid vol.54, pp.7, 2012, https://doi.org/10.17208/jkpa.2019.12.54.7.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