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Urban Planning on Spatial Equity - An Analysis on the Accessibility Change to Urban Cultural Facilities by Income Class Factor in the Daejeon Metropolitan City Using GIS -

도시계획사업이 공간적 형평성에 미치는 효과 - GIS를 이용한 대전광역시 도로건설사업의 소득계층간 접근성 변화 분석 -

  • Received : 2012.03.02
  • Accepted : 2012.04.16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As the quality of life grows, the role of cultural facilities in urban areas is becoming more important. However, due to various reasons, the location of these facilities shows the geographical imbalance between urban regions. Even though provision of road network can improve this kind of urban problem, in many countries, the provision of urban infrastructure plays a role which is magnifies the cultural gap between regions and socio-economic class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inequality of accessibility to cultural facilities is shown over the period. Cross-sectional data shows that the higher the income of a region, the higher the accessibility index(AI) of the zone to cultural facilities at any time. Next, the provision of road network contributes the improvement of AI of high income region. Finally the provision of new facilities has a tendency that these kind of facilities are located to make AI of high income zone better. It means that the decision making by city government intensifies the geographical inequality. This result would be very useful i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for determining the number and the location of cultural facilities and other similar urban infrastructure as well. Also it will be helpful for the selection of optimal location which considered not only physical distances but also social equal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계획사업의 일환인 도로건설사업으로 인한 문화시설에의 접근성 변화를 산정하고, 이를 존별 소득계층에 기반하여 비교함으로써 도시계획사업의 공간적 형평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을 위하여 대전광역시의 76개 존을 기초생활수급자 비율에 따라 고소득지역과 저소득지역으로 구분하였다. 2000년 이후 준공된 주요 간선도로인 대전천 하상도로와 갑천 도시고속화 도로의 건설에 따른 주요 문화시설에의 접근성 지수 개선효과를 분석한 결과, 시설 유형별 및 개개 시설의 규모별 가중치를 반영하지 않은 경우에는 0.26%, 이들 가중치를 반영한 경우에는 0.73%의 접근성 지수 개선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이를 소득수준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가중치를 반영하지 않은 경우에는 각각 0.30%와 0.21%, 그리고 가중치를 반영한 경우에는 0.89%와 0.54%로 고소득지역과 저소득지역간의 접근성 지수 개선 효과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는 이들 도로의 건설로 인하여 고소득자 거주지역이 보다 큰 효과를 본 것으로서 계획사업에 의하여 공간적 형평성이 개선되지 못하고 오히려 확대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계획사업 중 도로건설사업에 따른 소득계층 간 영향을 분석하였지만 이와 같은 방법론은 다른 대부분의 공공재 공급에 대해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최근 발달된 고급 GIS 등의 분석기법을 활용하면 보다 광범위한 방법론의 개발과 적용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계획의 결과로서 효율성과 형평성에 대한 논의가 보다 활발해 질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개발연구원. 1981. 지역분석을 위한 계량적 접근방법. 517쪽.
  2. 김광식, Bach. L. 1988. 도시공공서비스 시설의 입지분석. 국토계획 23(3):81-96.
  3. 김대은, 김장환, 신흥범. 2010. 대구광역시 공공체육시설의 공간적 분포 특성과 시설 접근성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15(5):33-48.
  4. 김상봉. 2006. 공공투자사업평가의 형평성 적용에 관한 논고와 대안탐색. 도시행정학보 19(1): 51-74.
  5. 대전광역시. 2004. 대전문화예술 중장기 발전계획.
  6. 서현진, 전병운. 2011. 대구시 도시근린공원의 접근성에 따른 환경적 형평성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4(4):221-237.
  7. 손정렬, 오수경. 2007. GIS 공간분석기법을 이용한 서울시 노인주간보호시설의 접근성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3(5):576-594.
  8. 엄상근, 이승일. 2008. 녹지접근성 평가모형의 개발과 적용 - 평촌과 산본 신도시를 대상으로. 국토계획 43(3):263-273.
  9. 원광희. 2003. 고속도로건설에 따른 지역간 접근성 변화분석. 도시행정학보 16(1):49-81.
  10. 윤대식. 2010. 도시모형론. 홍문사, 서울.
  11. 윤정미, 이신훈. 2010. 효율성과 형평성을 고려한 공공시설 입지분석에 관한 연구 - 금산군 문화시설을 대상으로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2):1-10.
  12. 이건학. 2010. 동 통폐합에 따른 동주민센터의 입지 변화 분석과 최적 입지 모델링 - 공간적 효율성 및 형평성 접근. 대한지리학회지 45(4):521-539.
  13. 임유라, 추장민, 신지영, 배현주, 박창석. 2009. 소득계층요인에 따른 자연녹지와 도시공원의 접근성 분석. 국토연구 44(4):133-146.
  14. 임윤택. 2002. 환경혐오시설의 적정입지 모형: 수도권 도시 폐기물 소각장 입지사례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6쪽.
  15. 임윤택. 2005. GIS를 활용한 도시 문화시설 분포의 불균등성 측정. 성남발전연구 6(1):119-137.
  16. 조대헌. 2004. 공간적 형평성(spatial equity) 의 평가 방법에 대한 연구: 도시 공공서비스 에의 접근성을 중심으로. 지리교육논집 48:100-120.
  17. 조응래. 1993. 도로건설이 지역간 접근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9쪽.
  18. Bach, L. 1981. The problem of aggregation and distance for analysis of accessibility and access opportunity in location-allocation models. Environment and Planning A 13:955-973. https://doi.org/10.1068/a130955
  19. Downey, L. 2003. Spatial measurement, geography, and urban racial inequality. Social Forces 81(3):937-954. https://doi.org/10.1353/sof.2003.0031
  20. Marsh, M.T. and D.A. Schilling. 1994. Equity measurement in facility location analysis: a review and framework.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74(1):1-17. https://doi.org/10.1016/0377-2217(94)90200-3
  21. McAllister, D.M. 1976. Equity and efficiency in public facility location. Geographical Analysis 8:47-63.
  22. Nicholls, S. 2001. Measuring the accessibility and equity of public parks: a case study using GIS. Managing Leisure (6):201-219.
  23. Pearce, J.R., E.A. Richardson, R.J. Mitchell and N.K. Shortt. 2010. Environmental justice and health: the implications of the socio-spatial distribution of multiple environmental deprivation for health inequalities in the United Kingdom. Transactions of the Institute of British Geographers 35:522-539. https://doi.org/10.1111/j.1475-5661.2010.00399.x
  24. Talen, E. 1997. The social equity of urban service distribution: an exploration of park access in Pueblo, Colorado, and Macon, Georgia. Urban Geography 8(6):521-541.
  25. Talen, E. 1998. Visualizing fairness: equity maps for planners.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64(1):22-38. https://doi.org/10.1080/01944369808975954
  26. Talen, E. and L. Anselin. 1998. Assessing spatial equity: an evaluation of measures of accessibility to public playgrounds. Environment and Planning A 30:595-613 https://doi.org/10.1068/a3005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