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Actual Use Condition of Public Open Spaces

공공공지 분포특성과 이용실태에 관한 연구

  • 김경수 (부산발전연구원 녹색도시연구실)
  • Received : 2012.01.31
  • Accepted : 2012.04.09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sent use condition of 145 public open spaces which have not been executed in the Busan Metropolitan City Area. The unexcused public open spaces are analyzed by the zoning, size, shape type and the development planning. First, in terms of the distribution rate by zoning, it is found that the majority of unexecuted public open spaces are located in residential area, especially in the third general residential area. Second, the most shape types are linear forms and the next are indeterminate form and fixed types. Lastly, just a few of the unexecuted public open spaces have the development plan and those are mostly to create a small park or rest area.

본 연구는 부산시역내 미 집행된 공공공지 145개소에 대한 실태분석 및 이용현황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우리는 미집행 공공공지를 용도지역별, 면적별, 형태별, 조성계획 수립유무에 따라 분석하였다. 부산시역내 미집행 공공공지시설의 용도지역별 분포에서는 주거지역내 포함된 공공공지가 다수를 차지하였으며, 특히 제3종 일반주거지역의 비율이 높은 편이었다. 형태별 분포에서는 선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부정형과 정형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미집행 공공공지시설의 활용계획 수립유무를 보면, 전체 미집행 공공공지 중 대부분이 조성계획이 수립되지 않은 상태이며, 계획이 수립된 경우는 녹지 및 쉼터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부산발전연구원

References

  1. 김철홍, 박재홍. 2008. 물리적 측면에서 본 공공공지의 활성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0(3):83-93.
  2. 부산발전연구원. 2010. 미집행 공공공지시설 정비방안에 관한 연구. 17-27쪽.
  3. 서정숙. 2001. 건축외부공간의 공공공지 이용실태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0-62쪽.
  4. 양광식, 고석찬. 2008. GIS를 활용한 소규모 국유지의 개발가능성 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1(3):107-117.
  5. 여창환, 김재익. 2007. GIS를 활용한 도시개발과 기반시설의 합리적 연계.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4):46-59.
  6. 이지혜, 이우종. 2006. 특별계획구역에서의 공공공지 확보방안 연구-서울시 지구단위계획을 대상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06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371-380쪽.
  7. 최막중, 황규현. 2002. 공공공지 및 공개공지 인센티브 기준의 실효성. 국토계획 37(3):91-103.

Cited by

  1.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Spatial Characteristics by TOD Planning Elements of Subway Station Areas in Seoul vol.16, pp.2, 2013, https://doi.org/10.11108/kagis.2013.16.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