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국토해양부
References
- 과학기술부. 2007. HyGIS 개발. 11쪽.
- 박재국, 양인태, 전근우. 2009. 광대역 산사태관리를 위한 공간정보기술. 방재연구 11(3):33-44.
- 배민기, 정규원, 박상준. 2009. 환경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산사태 발생위험 예측도 작성: 경상북도를 중심으로. 한국환경과학지 18(11):1189-1197. https://doi.org/10.5322/JES.2009.18.11.1189
- 산림청. 2005. 장마철 산림재난 대책수립을 위한 '산사태 발생 위험지도'제작. 산림청보도자료. 1-2쪽.
- 소방방재청. 2009. 산사태재해 예측 및 저감기술 개발 협동연구과제 보고서 -GIS기반 산사태 위험 분석 시스템 개발. 19-159쪽.
- 손정우, 김경탁, 이창헌, 최철웅. 2009. 항공사진과 GIS를 이용한 인제지역 산사태 분석.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17(2):61-69.
- 오치영, 김경탁, 최철웅. 2009. SPOT영상과 GIS분석을 이용한 인제 지역의 산사태 특성분석.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5(5):445-454.
- 윤홍식, 이동하, 서용철. 2009. GIS 기법 및 발생자료 분석을 이용한 산사태 위험지도 작성.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2(4):59-73.
- 이사로, 김윤종, 민경덕. 2000. 산사태 공간 정보시스템 개발 및 산사태 공간 정보의 활용. 한국GIS학회지 8(1):141-153.
- 이승기, 이병두, 정주상. 2005. GIS를 이용한 산사태 위험지 판정 모델의 개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8(4):81-90.
- 이창우. 2010. 산지토사재해 조기경보체제 구축 현황과 과제. 방재연구 12(1):131-145.
- 임업연구원. 1999. 산지사면 붕괴발생 위험도 구분. 임업연구사업보고서(산림환경 5-1). 246-273쪽.
- 정규원, 박상준, 이창우. 2008. 산사태 발생위험 예측을 위한 판정기준표의 작성 -경상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임학회지 97(3):332-339.
- 정주상, 이병두, 이승기. 2002. 산사태 예측을 위한 산지사면 입지해석 모듈의 개발. 한국임학회지 91(1):34-41.
- 조명희, 조윤원. 2009. 기상과 지형자료를 통합한 산사태 위험지 예측 기법 개발 -울진지역을 대상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2(2):1-10.
- 최경. 2001. 산사태 예보와 위험지 판정기술.방재연구 3(4):15-27.
- 산사태위험지 관리시스템. http://sansatai.foa.go.kr.
Cited by
- Review of Landslide Forecast Standard Suitability by Analysing Landslide-inducing Rainfall vol.14, pp.3, 2014, https://doi.org/10.9798/KOSHAM.2014.14.3.299
- Analysis of Leaf Node Ranking Methods for Spatial Event Prediction vol.17, pp.4, 2014, https://doi.org/10.11108/kagis.2014.17.4.101
- Assessing the Cost of Damage and Effect of Adaptation to Landslides Considering Climate Change vol.10, pp.5, 2018, https://doi.org/10.3390/su10051628
- 국지적 산사태 발생 예보를 위한 레이더 자료의 활용성 평가 vol.15, pp.2, 2013, https://doi.org/10.17663/jwr.2013.15.2.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