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Landslide Risk Assessment Using HyGIS-Landslide

HyGIS-Landslide를 이용한 산사태 발생 위험도 평가

  • Park, Jung-Sool (Water Resources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
  • Kim, Kyung-Tak (Water Resources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
  • Choi, Yun-Seok (Water Resources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 박정술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실) ;
  • 김경탁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실) ;
  • 최윤석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실)
  • Received : 2011.11.01
  • Accepted : 2012.03.08
  • Published : 2012.03.31

Abstract

Recently, forest soil sediment disasters resulting from locally concentrated heavy rainfall have been occurring frequently in steep slope areas. The importance of landslide hazard map is emerging to analyze landslide vulnerable area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HyGIS-Landslide based on Hydro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n order to analyze forest soil sediment disaster in the mountainous river basin. HyGIS-Landslide is one of HyGIS components designed by considering the landslide hazard criteria of Korea Forest Service. It could show the distribution of landslide hazard areas after calculating the spatial data. In this system, the user could reset the weight of hazard criteria to reflect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landslide area. This component provided user interface that could make the latest spatial data available in the area of interest. HyGIS-Landslide could be applied to the surveyor's compensation score and it was possible to reflect the landslide risk exactly through it. Also, it could be used in topographic analysis techniques providing spatial analysis and making topographical parameters in HyGIS. Finally the accuracy could be acquired by calculating the landslide hazard grade map and landslide mapping data. This study applied HyGIS-Landslide at the Gangwon-do province sample site. As a result, HyGIS-Landslide could be applied to a decision support system searching for mountainous disaster risk region; it could be classified more effectively by re-weighting the landslide hazard criteria.

최근 급증하고 있는 국지성 집중호우로 인해 급경사지를 중심으로 산지토사재해가 빈발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예방과 취약지역 분석을 위해 산사태 위험지도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지하천유역의 토사재해 위험지역 분석을 목적으로 수자원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HyGIS-Landslide 콤포넌트를 개발하였다. HyGIS-Landslide는 산림청의 산사태 위험지 판정기준 및 등급기준을 토대로 수치공간자료의 연산결과를 분류한 후 산사태 위험성을 제시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위험지 판정기준의 가중치를 사용자가 재 설정할 수 있도록 구현하여 산사태 발생공간의 지역적 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콤포넌트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을 대상으로 현시성 있는 공간자료를 활용할 수 있으며 조사자의 점수보정 과정을 반영하여 시스템 활용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HyGIS-Landslide는 HyGIS가 제공하는 지형분석 기능을 통해 사용자 편의를 확보할 수 있으며 산사태 발생구역도와의 중첩연산을 통해 위험지 분류결과의 검증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인제군의 시험유역을 대상으로 HyGIS-Landslide를 적용하였으며 산사태 맵핑결과와의 중첩비교를 통해 모형의 활용성을 평가하고 위험지 판정기준의 가중치를 재조정하여 위험지역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류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국토해양부

References

  1. 과학기술부. 2007. HyGIS 개발. 11쪽.
  2. 박재국, 양인태, 전근우. 2009. 광대역 산사태관리를 위한 공간정보기술. 방재연구 11(3):33-44.
  3. 배민기, 정규원, 박상준. 2009. 환경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산사태 발생위험 예측도 작성: 경상북도를 중심으로. 한국환경과학지 18(11):1189-1197. https://doi.org/10.5322/JES.2009.18.11.1189
  4. 산림청. 2005. 장마철 산림재난 대책수립을 위한 '산사태 발생 위험지도'제작. 산림청보도자료. 1-2쪽.
  5. 소방방재청. 2009. 산사태재해 예측 및 저감기술 개발 협동연구과제 보고서 -GIS기반 산사태 위험 분석 시스템 개발. 19-159쪽.
  6. 손정우, 김경탁, 이창헌, 최철웅. 2009. 항공사진과 GIS를 이용한 인제지역 산사태 분석.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17(2):61-69.
  7. 오치영, 김경탁, 최철웅. 2009. SPOT영상과 GIS분석을 이용한 인제 지역의 산사태 특성분석.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5(5):445-454.
  8. 윤홍식, 이동하, 서용철. 2009. GIS 기법 및 발생자료 분석을 이용한 산사태 위험지도 작성.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2(4):59-73.
  9. 이사로, 김윤종, 민경덕. 2000. 산사태 공간 정보시스템 개발 및 산사태 공간 정보의 활용. 한국GIS학회지 8(1):141-153.
  10. 이승기, 이병두, 정주상. 2005. GIS를 이용한 산사태 위험지 판정 모델의 개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8(4):81-90.
  11. 이창우. 2010. 산지토사재해 조기경보체제 구축 현황과 과제. 방재연구 12(1):131-145.
  12. 임업연구원. 1999. 산지사면 붕괴발생 위험도 구분. 임업연구사업보고서(산림환경 5-1). 246-273쪽.
  13. 정규원, 박상준, 이창우. 2008. 산사태 발생위험 예측을 위한 판정기준표의 작성 -경상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임학회지 97(3):332-339.
  14. 정주상, 이병두, 이승기. 2002. 산사태 예측을 위한 산지사면 입지해석 모듈의 개발. 한국임학회지 91(1):34-41.
  15. 조명희, 조윤원. 2009. 기상과 지형자료를 통합한 산사태 위험지 예측 기법 개발 -울진지역을 대상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2(2):1-10.
  16. 최경. 2001. 산사태 예보와 위험지 판정기술.방재연구 3(4):15-27.
  17. 산사태위험지 관리시스템. http://sansatai.foa.go.kr.

Cited by

  1. Review of Landslide Forecast Standard Suitability by Analysing Landslide-inducing Rainfall vol.14, pp.3, 2014, https://doi.org/10.9798/KOSHAM.2014.14.3.299
  2. Analysis of Leaf Node Ranking Methods for Spatial Event Prediction vol.17, pp.4, 2014, https://doi.org/10.11108/kagis.2014.17.4.101
  3. Assessing the Cost of Damage and Effect of Adaptation to Landslides Considering Climate Change vol.10, pp.5, 2018, https://doi.org/10.3390/su10051628
  4. 국지적 산사태 발생 예보를 위한 레이더 자료의 활용성 평가 vol.15, pp.2, 2013, https://doi.org/10.17663/jwr.2013.15.2.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