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ative Study on the Goodness of Fit in Spatial Econometric Models Using Housing Transaction Prices of Busan, Korea

부산시 실거래 주택매매 가격을 이용한 공간계량모형의 적합도 비교연구

  • Chung, Kyoun-Sup (Dept. of Public Admin.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Kim, Sung-Woo (Institute of Public Polic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Lee, Yang-Won (Dept. of Spatial Information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정건섭 (부경대학교 행정학과) ;
  • 김성우 (부경대학교 공공정책연구소) ;
  • 이양원 (부경대학교 공간정보시스템공학과)
  • Received : 2011.11.11
  • Accepted : 2012.02.02
  • Published : 2012.03.31

Abstract

The OLS(ordinary least squares) method is widely used in hedonic housing models. One of the assumptions of the OLS is an independent and uniform distribution of the disturbance term. This assumption can be violated when the spatial autocorrelation exists, which in turn leads to undesirable estimate results. An alterative to this, spatial econometric models have been introduced in housing price studies. This paper describes the comparisons between OLS and spatial econometric models using housing transaction prices of Busan, Korea. Owing to the approaches reflecting spatial autocorrelation, the spatial econometric models showed some superiority to the traditional OLS in terms of log likelihood and sigma square(${\sigma}^2$). Among the spatial models, the SAR(Spatial Autoregressive Models) seemed more appropriate than the SAC(General Spatial Models) and the SEM(Spatial Errors Models) for Busan housing markets. We can make sure the spatial effects on housing prices, and the reconstruction plans have strong impacts on the transaction prices. Selecting a suitable spatial model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housing policy of the government.

주택시장 분석에 널리 사용되는 헤도닉 방법은 OLS(ordinary least squares) 모형을 이용하는데, 이는 오차가 독립적이며, 평균이 0이고, 분산이 일정하다는 가정에 기초한다. 그러나 공간 자기상관이 존재할 경우에는 이러한 가정에 위배되며, 공간효과를 제대로 반영하지 않으면 왜곡된 추정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최근 이에 대한 대안으로 공간계량모형이 도입되고 있는데, 이 연구에서는 OLS 모형과 공간계량모형의 적합도를 비교 평가하고자 한다. 부산시 실거래 주택매매 가격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OLS를 이용한 기존의 헤도닉 모형보다는 공간자기상관을 고려한 공간계량모형들이 보다 설명력이 높았다. Dubin이 제시한 기준과 Log Likelihood 기준을 통해 볼 때 공간계량모형 중에서는 공간자기회귀모형(spatial autoregressive model: SAR)모형의 적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주택가격에 있어서의 공간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재건축 추진여부가 아파트 매매가격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적절한 공간계량모형의 선택은 정부의 주택정책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

References

  1. 국토연구원. 2004. 공간분석기법. 한울아카데미. 438쪽.
  2. 김성우, 정건섭. 2010. 주택정책을 위한 헤도닉모형 평가에 관한 연구: 공간계량모형을 중심으로.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0(3):115-134.
  3. 김종원. 2000. 주택시장에서 공간자가상관의 검증 및 회귀계수의 추정. 경제학연구 48(2):155-173.
  4. 김태경, 박헌수. 2008. 주택가격을 결정하는 공간적 특성들의 시계열적 영향력 변화 분석. 국토계획 43(3):145-166.
  5. 박기호. 2004. 근린가중행렬이 공간적 자기상관 추정에 미치는 형향 : 서울시를 사례로. 서울도시연구 5(3):67-83.
  6. 박헌수, 정수연, 노태욱. 2003. 공간계량경제모형을 이용한 아파트가격과 공간효과분석. 국토계획 38(5):115-125.
  7. 서경천, 이성호. 2001. 공간적 자기회귀모델과 토지시장분할에 의한 효율적 지가추정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6(4):77-94.
  8. 이성우, 윤성도, 박지영, 민성희. 2006. 공간계량모형응용. 박영사. 447쪽.
  9. 이현석, 박성균. 2010. 공간자기상관을 고려한 권역별 등급별 오피스 임대료 결정요인분석. 국토계힉 45(2):165-177.
  10. 임재현. 1998. 주택특성가격이론의 발전 모색.한국행정학보 32(1):247-261.
  11. 최열, 이백호. 2006. 공간자기상관과 주변용도지역에서 접근성을 고려한 주거지 내 지가추정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1(5):45-60.
  12. 허윤경. 2007. 도시별 주택가격의 공간적 영향력 검증: 서울과 부산의 아파트 가격을 중심으로. 주택연구 15(4):5-23.
  13. Anselin, L. 1988. Spatial Econometrics: Method and Models. Kluwer Academic Publishers, Dordrecht, Netherlands. 304pp.
  14. Can, A. 1992. Specification and estimation of hedonic housing price model. Regional Science and Urban Economics 22(3):453-473. https://doi.org/10.1016/0166-0462(92)90039-4
  15. Dubin, R.A. 1988. Estimation of regression coefficients in the presence of spatially autocorrelated error terms. The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70:466-474. https://doi.org/10.2307/1926785
  16. Dubin, R.A. 1998. Spatial Autocorrelation: A Primer. Journal of Housing Research 7:304-327. https://doi.org/10.1006/jhec.1998.0236
  17. Dubin, R.A. 2004. Spatial lags and spatial errors revisited: some monte carlo evidence. Advances in Econometrics 18:75-98. https://doi.org/10.1016/S0731-9053(04)18002-X
  18. LeSage, J.P. 1998. Spatial Econometrics. Web Book. http://www.spatialeconometrics.com.
  19. Pace, R.K. 1997. Performing large spatial regressions and autoregressions. Economics Letters 54:283-291. https://doi.org/10.1016/S0165-1765(97)00026-8
  20. Pace, R.K. 2003. Spatial Statistics Toolbox 2..0.
  21. Rosen, S. 1974. Hedonic prices and implicit markets : product differentiation in pure competition.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82(1):35-55.
  22. Tobler, W. 1970. A computer movie simulating urban growth in the detroit region. Economic Geography 46:234-240. https://doi.org/10.2307/143141
  23. http://rt.mltm.go.kr.
  24. http://renewal.busan.go.kr.

Cited by

  1. Prediction of apartment prices per unit in Daegu-Gyeongbuk areas by spatial regression models vol.26, pp.3, 2015, https://doi.org/10.7465/jkdi.2015.26.3.561
  2. An Empirical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OD Planning Elements and Subway Ridership in Busan Metropolitan City vol.17, pp.3, 2014, https://doi.org/10.11108/kagis.2014.17.3.147
  3. A Study on the Exploratory Spatial Data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of Longevity Population and the Scale Effect of the Modifiable Areal Unit Problem(MAUP) vol.16, pp.3, 2013, https://doi.org/10.11108/kagis.2013.16.3.040
  4. A Spatial Statistical Approach on the Correlation between Walkability Index and Urban Spatial Characteristics -Case Study on Two Administrative Districts, Busan- vol.32, pp.4_1, 2014, https://doi.org/10.7848/ksgpc.2014.32.4-1.343
  5. 서울시 영재교육기관의 공간적 분포특성 분석 vol.25, pp.5, 2012, https://doi.org/10.9722/jgte.2015.25.5.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