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Dance Students' Self-Leadership and the Cognitive Flexibility

대학 무용전공자의 셀프리더십과 인지적 유연성과의 관계

  • Received : 2012.02.21
  • Accepted : 2012.03.12
  • Published : 2012.03.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leadership and the cognitive flexibility of the university students who are majoring in dance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in the field of dance instruction. Participants were the students majoring in dance who are enrolled in the dance department of the four-year universities nationwide and 282 data have been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analytical method for verification of hypothesis wa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be performed at a significance level of ${\alpha}$=.05. As the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gained. First, the constructive thinking pattern among the sub-factors of self-leadership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flexibility of preferred varieties which is a sub-factor of cognitive flexibility. However, the behavior-oriented and natural reward self-leadership did not have influence on the diversity preferred flexibility. Second, the natural reward and constructive thinking pattern among the sub-factors of self-leadership have positive influence on the flexibility of preferred complexity which is a sub-factor of cognitive flexibility while the constructive thinking pattern flexibility was shown as exercising a very powerful influence. But the behavior-oriented self-leadership did not have influence on the flexibility of preferred complexity.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무용전공자의 셀프리더십과 인지적 유연성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이러한 결과를 무용지도 현장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전국의 4년제 대학 무용학과에 재학 중인 무용전공자들이며, 최종분석에는 256개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가설검증을 위한 분석 방법은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였으며, 유의수준은 ${\alpha}$=.05 수준에서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셀프리더십의 하위요인 중 건설적 사고패턴 셀프리더십은 인지적 유연성의 하위요인인 다양성선호 유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행위중심, 자연적 보상 셀프리더십은 다양성선호 유연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셀프리더십의 하위요인 중 자연적 보상과 건설적 사고패턴 셀프리더십은 인지적 유연성의 하위요인인 복잡성선호 유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특히 건설적 사고패턴 유연성이 매우 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행위중심 셀프리더십은 복잡성선호 유연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Keywords

References

  1. C. C. Manz, "Self-leadership : Toward an expanded theory of self-influence processes in organization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1, pp.585-600, 1983.
  2. 김명주, 김정련, "무용전공자이 완벽주의 성향이 자기효능감 및 공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제10권, 제2호, pp.232-240, 2010.
  3. 김연선, "셀프-리더십이 팀웍과 자기 효능감,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특급호텔 Wine & Dining Restaurant 을 중심으로", 세종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4. 김지은, "서번트 리더십, 셀프-리더십, 조직 공정성이 조직유효성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호텔레스토랑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5. 안상태, "학교장의 변혁적, 거래적 리더십이 코치의 셀프리더십,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6. 장제익, "체육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조직헌신 및 직무만족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7. 남원희, "직업무용단의 멘토관계기능과 단원들의 셀프리더십 및 직무긴장, 혁신행동, 팀효과성의 인과적 관계분석", 단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8. 백운옥, "무용전공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자기 관리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9. 김쌍언, "상사특성, 조직특성, 개인특성과 구성태도간의 관계에 대한 셀프ㅡ리더십의 매개효과에 관한연구", 울산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10. J. J. Canas, I. Antoli, I. Fajardo, and L. Salmeron, "Cognitive inflexibility and the development and use of stategies for solving complex dynamic problems: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training," Theoretical Issues in Ergonomics Science, Vol.6, No.1, pp.95-108, 2005. https://doi.org/10.1080/14639220512331311599
  11. A. Bandur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Vol.84, pp.51-67, 1977.
  12. 홍숙지, "개인 유연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성균관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3. D. L. Paulhus and C. L. Martine, "Functional flexibility: A new conception of interpersonal flexibilit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5, pp.88-101, 1988. https://doi.org/10.1037/0022-3514.55.1.88
  14. R. Helson, T. Elliot, and J. Leigh, "Number and quality of roles: A longitudinal personality view,"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Vol.14, pp.83-101, 1990. https://doi.org/10.1111/j.1471-6402.1990.tb00006.x
  15. 하순복, "셀프 리더십의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에 관한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6. 송보라, 이기학 자기개념 복잡성과 심리적 적응 관계에서의 이지적 유연성 및 자기개념 명확성의 매개효과 모형 검증, Korean Journs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2009.
  17. C. C. Manz and H. P. Jr. Sims, "New Super leadership: Leading Others to Lead Themselves," San Francisco, CA:Berrett- Koehler, 2001.
  18. 김남현, 슈퍼리더십, 경문사, 2002.
  19. S. Williams, "Personality and self-leadership,"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Vol.7, No.2, pp.139-155, 1977. https://doi.org/10.1016/S1053-4822(97)90020-6
  20. 홍순복, "세무공무원의 셀프리더십이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제10권, 제10호, pp.326-333, 2010.